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1년이상 근로자도 입사일 기준 연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근로기준법에서 정의하는 연차유급휴가는 기본적으로 입사일을 기준으로하며, 4년차의 경우는 16개의 연차가 부여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9
0
0
그만둔지 오래된 회사퇴직금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14일이내 임금을 지급해야하며, 미지급시 임금체불에 해당합니다.지급을 지연하는 경우 그 사유가 존속하는 기간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미지급된 임금에 대하여 지연이자가 붙으며, 만약 사용자가 미지급하는 경우 관할 노동청에 체불임금확인서를 받아서 법률구조공단에 소액체당금 신청이 가능합니다.임금채권은 3년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퇴직후 퇴직금과 급여 지급이 늦을경우 신고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14일이내 임금을 지급해야하며, 미지급시 임금체불에 해당합니다.지급을 지연하는 경우 그 사유가 존속하는 기간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미지급된 임금에 대하여 지연이자가 붙으며, 만약 사용자가 미지급하는 경우 관할 노동청에 체불임금확인서를 받아서 법률구조공단에 소액체당금 신청이 가능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3
0
0
퇴직금 총 금액 산정시 최종 3개월 금액 기준은?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상여금이나 보너스를 포함해서 계산을 합니다. 평균임금으로 기본적으로 계산을 하기 떄문에 평균임금은 통상임금과 다르게 실제 받은 임금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각 종 수당을 합친금액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직무와 상이한 작업을 부당하게 받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76조의2(직장 내 괴롭힘의 금지) 사용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이하 “직장 내 괴롭힘”이라 한다)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근로기준법 제76조의3(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조치) ①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② 사용자는 제1항에 따른 신고를 접수하거나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③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기간 동안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하여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근로자(이하 “피해근로자등”이라 한다)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해당 피해근로자등에 대하여 근무장소의 변경, 유급휴가 명령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피해근로자등의 의사에 반하는 조치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④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결과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피해근로자가 요청하면 근무장소의 변경, 배치전환, 유급휴가 명령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⑤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결과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지체 없이 행위자에 대하여 징계, 근무장소의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징계 등의 조치를 하기 전에 그 조치에 대하여 피해근로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⑥ 사용자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신고한 근로자 및 피해근로자등에게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직무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는 관할 노동청에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직장내괴롭힘
21.03.13
0
0
안녕하십니까 퇴직금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닙니다. 기본적으로 퇴직금은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시점에 받아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퇴직금의 중간사유는 본인명의 주택을 구입하거나, 파산선고 및 6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보호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을때 지급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동일 근로시간 이중취업이 불법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사에서 규정하는 겸업금지에 대한 위반조항이 없다면 이중취업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헌법에서 모든 국민에 대한 직업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겸업을 금지하는 조항이 없다면 이중취업이 가능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1.03.13
0
0
호봉제인 경우 육아휴직시 호봉인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육아휴직의 경우도 근속기간으로 인정합니다. 기본적으로 법에서 보장하는 육아휴직에 대해서는 근속기간이 인정되니 당연히 이에대한 호봉제가 인정이 되는 것입니다. 인정된 호봉은 퇴직금에 근속기간에도 반영을 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3
0
0
60세 정년의 직장인은 연장 연령 증가를 기대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우서 노후 걱정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추세이지만, 회사에 기본적으로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노동시장에서는 연장되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회사에 사정마다 다른사항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말씀드리기는어려운 점 양해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실업급여 상용직 일용직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가능합니다. 일용직의 경우 고용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를 합산해서 계산하므로, 이에 대해서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을 충족한 경우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3
0
0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