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국내 증권사중 미국주식 공매도를 제공하는 증권사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주식 공매도는 생각보다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우리나라 증권사 중에서 일부만 가능하게 해놨거든요. 일단 대표적으로 키움증권, 미래에셋, NH투자증권 정도가 미국주식 공매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주식을 빌려서 매도할 수 있는 종목이 한정돼 있고, 증권사마다 별도 조건이나 최소 예탁금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5
0
0
지금 비트코인 살까요 이더리움살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시장 분위기 보면 괜히 손이 근질거리긴 하죠. 그래도 냉정하게 보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여전히 양대 축입니다. 안정성만 따지면 비트코인 쪽이 낫고, 기술 발전이나 생태계 확장성 생각하면 이더리움이 더 재밌긴 합니다. 알트코인은 리스크가 너무 크고, 단기 수익 노리는 게 아니라면 굳이 손댈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현실적으로는 비트코인 70, 이더리움 30 정도 비율로 나눠서 조금씩 분할 매수하는 게 그나마 안전한 선택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5
0
0
부실기업을 피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겉보기엔 멀쩡한데 속은 썩은 경우가 많습니다. 부실기업을 걸러낼 땐 숫자보다 흐름을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은 늘어나는데 영업이익이 줄거나, 부채비율이 계속 오르고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면 위험 신호로 봐야 합니다. 또 감사의견이 적정이 아닌 경우, 임원 교체가 잦거나 내부 거래가 많을 때도 찜찜한 부분입니다. 그냥 보기엔 성장하는 회사처럼 보여도, 돈이 실제로 돌지 않으면 결국 부실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5
0
0
새출발기금 재산에 포함되는 범위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틀릴까 봐 괜히 입 다물게 되는 거, 그거 진짜 많습니다. 특히 요즘은 한마디 잘못하면 바로 모른다 낙인찍히니까요. 사실 틀리는 게 무서워서가 아니라, 그 뒤에 따라오는 평가가 피곤해서 그런 거죠. 그래서 아예 말 안 하고 조용히 있는 게 더 안전하다고 느끼는 겁니다. 근데 그렇게 되면 결국 배움의 기회도 같이 닫히는 거라, 좀 씁쓸하긴 합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틀리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가 돼야 서로 배우는데, 아직은 그런 여유가 잘 안 생기는 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15
0
0
왜 코인 가격 하락하면 코인 유튜버들이 잠수를 탈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가격 오를 땐 다들 갑자기 전문가처럼 나와서 이제 시작이다 이런 말 쏟아내잖아요. 근데 가격 떨어지면 조용해져요. 그냥 잠수. 현실적으로 보면, 구독자 반응이 싸늘해지고 조회수도 확 줄어드니까 그게 두려운 거예요. 결국 유튜버들도 수익이 걸려 있으니까요. 또 하나는, 하락장일 땐 뭘 분석해도 부정적인 얘기밖에 안 나와요.괜히 틀리면 욕먹고 신뢰 잃으니까 차라리 쉬는 거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5
5.0
1명 평가
0
0
암호화폐 거래의 건전성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시장이 워낙 불투명하다 보니 세력이 판 깔았다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어요. 실제로 보면 거래소나 큰 자금이 움직일 때 시장이 급변하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 근데 그게 꼭 불법적인 조작이라고 단정하긴 어려워요. 구조상 몇몇 큰 지갑이 시장 심리를 흔드는 건 맞지만, 그게 시장의 특성이기도 하거든요. 전통 금융처럼 감시 체계가 촘촘하지 않아서 그런 오해도 많고요. 다만 내부 정보 이용이나 거래소 자체 개입 같은 건 규제 당국이 계속 들여다보는 중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5
5.0
1명 평가
0
0
일본 앤화를 빌려서 미국에 투자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가 낮은 나라에서 돈을 빌려 금리가 높은 나라에 투자해서 차익을 노리는 거라봅니다. 지금 일본은 여전히 초저금리라서 엔화로 돈을 빌리면 이자가 거의 없어요. 반면 미국은 금리가 높으니까, 같은 돈을 미국 채권이나 주식에 넣으면 훨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죠. 겉으로 보면 완벽한 구조처럼 보이지만, 문제는 환율이에요. 엔화가 강해지면 갚아야 할 돈이 불어나서 수익이 한순간에 날아갈 수도 있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15
0
0
가상화폐와 암호화폐 중에 무엇이 맞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는 말 그대로 실물이 없는 화폐라는 넓은 개념이에요. 온라인에서만 존재하는 돈 전반을 다 포함하죠. 게임 머니나 포인트도 사실 가상화폐에 들어갑니다. 반면 암호화폐는 그중에서도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어진 화폐 말합니다. 그러니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건 암호화폐가 맞고요. 가상화폐는 그걸 포함한 상위 개념쯤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5
0
0
40대 직장인으로 은퇴 준비를위해 지금부터 월 50만원씩 어떻게 이용하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50만 원이면 크진 않지만 꾸준히 굴리면 생각보다 힘이 큽니다. 단순하게 절반씩 나누는 것도 괜찮지만, 요즘 금리나 시장 분위기를 보면 조금 따져볼 필요는 있습니다. 일단 안정이 우선이라면 적금 70, 펀드 30 정도로 두는 게 현실적이에요. 그래야 변동성에 덜 흔들리고, 그래도 펀드 쪽에서 물가를 이길 기회를 남겨둘 수 있으니까요.여유가 있고 투자에 익숙하다면 50 대 50으로도 괜찮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15
0
0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한도 및 담보 대출 규제가 더 강화되었습니다.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대출 규제가 세게 조여지면 시장이 바로 움찔하죠. 집 살려던 사람들은 대출이 막히니까 일단 멈춰 서고. 그러면 거래량이 확 줄어듭니다. 가격은 단기적으로 안정되는 듯 보여도, 사실 이건 ‘숨 고르기에 가깝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금 여력이 있는 사람들만 시장을 움직이게 되고 결국 양극화가 심해집니다. 금융시장 전체로 보면, 대출 줄이는 게 리스크 관리엔 좋지만 소비나 투자 흐름은 확실히 식습니다.
경제 /
대출
25.10.15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