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다한증환자의 발냄새 제거 수술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다한증이 생기는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자율신경 조절의 이상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땀구멍을 막는 수술은 없지만 땀구멍을 막는 드리클로라는 바르는 약이 있습니다. https://namu.wiki/w/%EB%93%9C%EB%A6%AC%ED%81%B4%EB%A1%9C드리클로는 주기적으로 계속 사용해야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이게 불편한 경우 3~6개월에 1번씩 손발바닥에 보톡스를 주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부분은 피부과 진료가 필요합니다.또 수술적인 치료방법도 있는데요. 보통 흉부외과에서 수술합니다.수술 직후 땀분비가 바로 줄어들어 효과는 확실합니다.그러나 보상성 다한증이라는 부작용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손발바닥 땀은 줄었는데 겨드랑이나, 엉덩이나 머리에서 땀이 많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다한증 치료 방법이 다양한데 일단은 약물치료를 먼저하고 그다음에 보톡스 마지막으로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쓴 것 외에도 치료 방법이 많은 그나마 하기 편한 방법으로 설명드렸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8
0
0
목젖 구내염 생기는 원인, 치료방법 알려주세요(사진첨부 혐오주의)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구강 궤양이 생기는 경우 가족력, 베체트병, 상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상처가 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됩니다.치료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 드시면서 상처가 회복되길 기다리는 겁니다.오라메디 같이 스테로이드가 들어있는 연고를 바르면 더 빨리 호전되기도 합니다.클로로헥시딘 같은 소독약이 들어있는 가글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한 줄 요약 : 꼭 치료하지 않고 지켜봐도 되지만 연고를 바르거나 가글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2.01.08
0
0
두피에 생기는 여드름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이 여드름 때문에 탈모가 생기는지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두피에 지루피부염과 모낭염이 동반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피지가 많아지면 피지를 먹고 사는 효모균이 증식하고 자유지방산을 많이 만들어 두피에 자극이되어 습진과 모낭염을 만듭니다.탈모가 원래 있는 분들은 지루피부염 때문에 탈모가 일시적으로 악화되기도 합니다.또한 모낭염이 심하게 곪는 경우 모낭을 파괴하고 흉터를 형성해서 그 부위에서 머리가 다시 안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지루피부염은 일반적으로 완치는 되지 않고 호전 악화를 반복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전용 샴푸와 물약 도포로도 관리 가능하므로 가까운 피부과 진료 후 치료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8
0
0
무지외반증에 대해 궁금한게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무지외반증은 점점 진행하기 때문에초기 심하지 않은 무지외반증에는 교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결국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가까운 정형외과 족부전문의에게 진료 받아보시고 수술이 필요한지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도할 수 있는지 결정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2.01.08
0
0
폐암, 몇기부터 완치를 기대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폐암은 크게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나눕니다. 소세포폐암의 예후, 5년 생존율이 다른 종류의 폐암들과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소세포폐암은 대부분 수술이 불가능해 5년 생존율은 대략 7%입니다.비소세포폐암에는 폐의 선암, 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이 있습니다.수술이 가능한 경우 예후가 훨씬 좋지만 대부분 늦게 발견하기 때문에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비소세포폐암의 경우에도 대략 1/4이하 밖에 안됩니다.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항암화학치료, 방사선치료, 표적치료제 등으로 치료해서 암이 줄어들어 수술이 가능해지면 수술을 나중에 하기도 합니다.비소세포폐암의 5년 생존율은 10% 정도입니다. 수술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이 40~50% 정도 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년 생존율은 1기 환자가 60~80%, 2기 환자가 30~50%, 3A기 환자가 10~30%, 3B기 환자가 5%, 4기 환자가 2%입니다. 장기 생존자의 경우, 매년 3~5% 정도로 이차 원발암이 발생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아래 링크 내용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9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0*요약: 모든 병기에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생존율이 낮습니다. 생물학적 표적 치료제가 있고 현재도 사용하고 있으며 여러 치료제의 임상시험도 여러 병원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01.08
0
0
혈액이 몰리면 붓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신체 일부 부위를 제외하면 혈관과 림프관이 직접 연결된 곳은 없습니다. 혈액이 모세혈관으로 가면 그곳에서 조직으로 유출이 되어 조직액을 구성하고 조직액 중 일부가 림프관으로 배액이 됩니다.따라서 혈액이 몰리면 조직액 양이 많아져 붓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림프관의 문제가 생겨서 배액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도 붓기가 생긱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01.08
0
0
대상포진 후 한약? 영양제? 어떤게 더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대상포진은 척수 신경절에 잠복해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는 질환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신체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더 자주 발생합니다. 평소에 식사를 골고루 잘 하시다면 한약이나 영양제는 필요가 없습니다. 잘 드시고 잘 쉬시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한약이나 영양제보다는 대상포진 예방접종이 훨씬 더 도움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2.01.08
0
0
헬리코박터 치료 약 먹으면 위통증이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헬리코박터 제균치료 중 복통이 발생하셨군요.이때는 두 가지 경우를 감별해야될 것 같습니다.1. 헬리코박터 감염으로 인행 위궤양이 있는 경우 복통과 구역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2.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사용하는 약제들이 위장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처방받은 약을 다 드시고도 제균치료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부작용 때문에 실패하는 것은 아니고 내성균주가 있다거나 하는 문제입니다. 제균이 되지 않는 다면 약제를 변경해서 치료를 하게 됩니다.현재 말씀해주신 상황이 텍스트만으로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증상이 지속/악화되는 경우 진료보신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01.07
0
0
얼굴과 신체에 모기 물린거같은 자국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일시적으로 피부가 부풀어 올랐다가 보통 24시간 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피부병변을 말씀해주신 것 같습니다.이런 증상의 경우 대부분 두드러기로 진단이 됩니다.이런 증상이 6주 이상 반복되는 경우 만성두드러기라고 하면 적극적인 약물치료를 시도하고 원인을 찾을 수 있다면 원인 회피를 같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약물치료는 항히스타민제로 시작하게 되며 20년 이상 장기간 복용해도 대부분 큰 문제가 없는 약입니다.병원에 가기 전에 병변이 없어지는 경우 피부증상이 생겼을 때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놓는 것이 그나마 진료시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겨울철 손 발 습진 치료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겨울마다 재발하는 피부질환으로 고생이 많으시겠습니다. 계절성으로 재발하는 피부질환의 경우 온도나 습도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나라의 겨울은 춥고 습도가 낮기 때문에 피부가 쉽게 건조해집니다. 건조해지는 것 만으로 습진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됩니다.연고제를 처방받았는데 호전이 되지 않은 경우 두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연고를 충분히 바르지 않으셨거나 처방받은 연고가 현재 상태에세 비해서 약한 경우 입니다. 손 발바닥의 경우 각질이 매우 두껍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강한 연고제를 필요로 합니다.핸드크림이나 바디크림을 사용해서 건조감이 있을 때마다 보습해 주시는 것이 먼저 필요하고연고를 하루 2회 눈으로 병변의 호전이 보일 때까지 도포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완전히 호전된 후에도 연고를 바로 끊기보다는 도포간격을 천천히 늘려가면서 중단하시는 것이 갑자기 나빠지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