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생리때 철분제 먹는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특이병력 없는 20대 여성분들의 경우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월경과다 등으로 인한 철결핍성 빈혈입니다. 따라서 철분제 복용으로 치료할 수 있고 특별히 증상이 느껴지지 않으신다면 몸에 문제가 생길 확률은 낮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3.03.03
0
0
킥보드 주행중 낙상으로 머리 부딪침. 두통, 어지러움은 없음. 다만 좀 묵직함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뇌진탕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통이 심하거나, 오심 어지럼증 등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뇌출혈이나 두개골 골절 등을 확인해보기 위해 CT 를 찍어볼 수 있습니다. 걱정이 많이 되신다면 찍어서 뇌출혈, 골절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3.03.03
0
0
헌혈차에 올랐다가 기준 미달이라고 해서 못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대한 적십자사 헌혈 관리 기준입니다. 어떤 기준 미달인지 확인해보시고 교정해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몸무게, 혈압, 맥박, 체온 측정몸무게는 남자 50kg 및 여자 45kg 미만, 혈압은 수축기 혈압 90mmHg 미만 또는 18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100mmHg 이상, 맥박은 1분간 50회 미만이나 100회 초과, 체온 37.5°C 초과 시 헌혈이 제한됩니다.혈액형 검사 (초회 헌혈자에 한함)채혈현장에서는 A,B,O,AB형에 대한 혈구형 검사만 실시하고, 헌혈 후에 검사센터에서 혈구형, 혈청형 등 자세한 검사를 실시합니다.빈혈검사혈색소 수치가 성분헌혈은 12.0 g/dL 이상인 경우, 전혈 헌혈은 12.5 g/dL 이상인 경우 헌혈이 가능합니다.혈소판 수 측정혈소판 수가 15만 개/μL 이상일 경우 혈소판성분헌혈이 가능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3.03.03
0
0
혈변을 보다가 말았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젊은 여성분들의 경우 변에 피가나오는 이유는 변비나 치질 등의 양성질환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항문외과 먼저 방문해보세요. 변이 딱딱하게 되어 발생했을 수 있으나 섬유소가 들어간 야채 등도 잘 드시고 좌욕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3.03.03
0
0
아이가 갑자기 사탕을 먹다가 목에 걸려서 기도가 막힐경우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1세 이하, 2세이하일시 체중 10kg 이하인 환아 기준입니다. 이외의 경우 성인과 똑같은 방법으로 시행합니다.즉시 하임리히법을 시행해야합니다. 기도가 막혔을 경우, 우선 주변사람에게 119 신고하도록 요청하시고, 아이의 얼굴이 우로 향하도록 자신의 팔위에 올려놓고 손으로는 아이의 머리와 경부가 고정되도록 잡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팔을 이용해 환자의 얼굴이 아래로 향하도록 돌려서 턱을 잡은 손이 환자를 떠받쳐 줍니다. 아이의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하고, 영아를 안은 팔을 허벅지에 고정하고 손바닥으로 견갑골을 5회 두드립니다. 이후 등을 받치고, 검지와 중지를 흉골에 올려놓고 5회 압박합니다. 이후 구강내 이물질이 있다면 확인하여 제거합니다.미리미리 동영상으로 확인해놓고 연습해본다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3.03.03
0
0
다른혈액형은 수혈을 못하는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보통 초응급상황이 아니라면 병원에서는 같은 혈액형의 피를 수혈합니다. 응집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인데요. 혈액형은 크게 ABO, Rh식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적혈구에는 항원이 있고, 혈장에는 항체가 있어 서로 만나 반응하게 되는데, 이를 응집반응이라고 합니다. O형인 경우에는 적혈구에 응집원(항원)이 없기 때문에 수혈을 해도 응집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량의 혈액을 수혈하는 경우에는 주는사람의 항체에 의해 받는사람의 항원이 응집되므로 같은 혈액형의 피를 수혈해야 합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3.03.03
0
0
공복혈당.. 당뇨관리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공복혈당은 100 미만이 정상입니다. 또한 126이상일 때 당뇨로 분류됩니다. 100-126 사이는 내당능 장애라고 하여 당뇨 전단계로 분류되기 때문에, 당뇨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니 지금부터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3.03.03
0
0
고혈압약은 평생 먹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중단시 혈압이 다시 상승할 확률이 높습니다. 조절이 잘 되고 있다면 그만큼 관련 합병증 확률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꾸준히 잘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후에 혈압이 너무 떨어지게 된다면 중단하는 경우도 있긴 있습니다. 약을 드시더라도 식단관리 유산소 운동 등은 하시는 것이 좋으니 꾸준히 약과 병행해주세요.
의료상담 /
내과
23.03.03
0
0
요즘 탈모가 생겨서 걱정이데 방지하는법을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가족력이 있는데다 이미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기능성 샴푸나 생활습관 만으로는 탈모를 막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녹시딜 등 머리에 떨어뜨리는 약도 있으니 약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약 없이 예방을 원하신다면 스트레스를 막고, 매일 머리를 감아 두피를 깨끗이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3.03.03
0
0
폐사진을 찍어보고 싶은데 방문해야 하는 병원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염진희 의사입니다.우선 일반 동네 내과, 사진촬영이 가능한 곳으로 방문하시어 기본적인 진료와 검사를 해보시고, 내과 선생님께서 큰 병원에 가보시는 것이 좋겠다고 하시면 그때 종합병원으로 가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3.03.03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