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경제관련 용어중에 난외거래는 무엇을 말하는 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난외거래란 은행의 권리 의무가 확정되지 않아 재무상태표상(On-balance sheet) 자산, 부채로 기록되지 않는 거래를 의미하는데요대표적인 난외(Off balance sheet)거래로는 신용 대체거래(예: 채무보증), 특정 거래 관련 우발채무(예: 계약이행보증, 입찰보증, 환급보증 등), 무역금융(예: 신용장), 증권인수보증(NIF, Note Issuance Facility), 금리 및 외환 관련 파생상품거래의 신용리스크 상당액 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난외거래는 보증료 등을 통해 은행의 수익성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리스크 이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거래구조 등으로 인하여 방만하게 취급될 경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1.15
0
0
경제관련용어중 KIKO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이 계약한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 돈을 벌지만, 계약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손실을 보게 되는 옵션상품입니다.예를 들어 매월 수출대금으로 1달러를 버는 기업이 있습니다. 이 기업이 [계약금액 : 1달러, 계약환율 : 900원 ~ 1100원, 권리행사가격 : 1000원]인 키코에 가입했다고 합시다.계약한 기업이 수출대금 1달러를 바꾸려고 은행에 갔는데, 그날의 환율이 1달러에 899원입니다. 다른 업체라면 899원을 먹고 떨어져야 하지만, 키코에 가입한 업체는 1달러를 1000원에 팔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환율이 1달러 1099원이라면 어떻게 할까요? 1달러를 1000원에 팔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하면 됩니다. 권리를 포기하고, 그냥 시장에서 1달러를 1099원에 팔면 됩니다.여기까지는 좋습니다만 문제는 환율이 계약한 범위를 넘어설 때 입니다. 만약 환율이 900원 이하로 떨어지면 키코 계약은 무효가 되며, 환율이 1100원을 넘어서게 된다면 무조건 1000원에 팔아야 하기 때문에 손해를 입게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1.15
0
0
평소궁금하간데 실업률하고 주식시장하고 관련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실업률이 증가한다는 것은 경제가 안 좋아짐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역사적으로 미국 다우지수와 미국 실업률과의 관계를 보면 미국 실업률이 5.4%에서 9%까지 증가할때에는 굉장히 가파르게 주가가 하락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미국 실업률이 2009년 7월 이후 증가율이 적어지자 이후 주가는 쌍바닥을 형성하면서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줬습니다.이처럼 과거 실업률은 주가와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미국 연준이 금리를 결정함에도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1.15
0
0
주식을 팔고 출금을 왜 바로 못하는거죠?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증권 예탁결제제도는 3일 거래 방식(D+2)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주식을 팔면 그 날을 포함해 사흘째가 돼야 실제 돈이 들어온다는 것입니다.예컨대 1만원에 샀던 주식 100주를 월요일에 매도(1만2000원)했다면, 120만원의 주식대금(수수료 포함)은 수요일이 되야 출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업일 기준이므로 만약 수요일이 공휴일이라면 목요일이 되야 돈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3일 결제제도는 주식을 살 때나 팔 때 모두 적용됩니다.그렇다면, 왜 주식은 현금처럼 주고 받는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일까요? 전문가들은 바로 화폐로 사용할 수 있는 현금과 달리 주권(주주의 지위를 나타내는 유가증권)은 현금화를 위한 환전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예를 들어 1만원짜리 현금을 들고 슈퍼에 간다면, 돈을 지불하고 1만원어치 물건을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1만원짜리 주권을 들고 슈퍼에 간다면, 주권은 종이조각에 불과합니다. 결국 주권을 매도해, 현금화 해야만 슈퍼에서 물건을 살 수 있습니다.증권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매도자와 매수자가 만나서 돈과 실물 주권을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주권의 분실, 위조 등의 단점이 있었다"며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1974년 실물 주권을 예탁하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설립됐고, 예탁결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행정적 절차에 필요한 시간을3일로 지정해 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1.15
0
0
카드번호로 결제하는 경우(온라인결제) 카드비밀번호 전체가 아닌 앞자리 두자리만 입력해도 결제가 가능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온라인 결제의 경우 비밀번호 앞자리 2개 만으로 결제를 할 수 있기는 합니다만,통상 온라인 결제를 할 때 비밀번호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성명, 생년월일, 카드비밀번호 외 거래비밀번호를 요구하는 등 다른 보안사항을 물어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그저 카드를 훔치거나 습득했다는 것만으로 온라인 결제를 하기는 쉽지 않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1.15
0
0
전쟁이 나면 주가가 떨어지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쟁일 발발하면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의 가격 상승이나, 원자재 운송 지연 그리고 금과 같은 안전자산의 가격 상승 등 직간접적으로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에 따라 증시도 영향을 받게 되고,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아 현금을 많이 보유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전쟁이 발발하면 투자자의 투자심리 악화로 매도가 늘어남에 따라 주가지수는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1.15
0
0
금융연관비율이란 무엇인가요?그리고 금융의 증권화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융연관비율은 일국 내의 실물자산에 대한 금융자산의 비율로 경제성장과 금융구조의 관계를 표시하는 자료로 이용됩니다.골드스미스(R.W. Goldsmith)가 사용하기 시작해 골드스미스 비율이라고 하는데요이는 실물면의 자본축적 잔액에 대한 금융면의 금융자산 잔액의 비율로 유형고정자산의 증대를 위한 금융조직의 발달 정도, 즉 금융구조의 고도화 또는 금융자산 축적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겠습니다.금융의 증권화는 금융시장에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증권을 이용한 자금조달 및 운용이 확대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통상적으로는 대출채권 등 고정화된 자산을 매매가능한 증권형태로 전환하는 자산유동화(Asset Securitization)를 뜻하는 말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1.15
0
0
봉차트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봉차트에서 직사각형의 높이는 시가(장시작 할때의 가격)와 종가(장이 끝날 당시의 가격)의 차이를 나타냅니다.직사각형의 아래 위로 꼬리가 위나 아래로 달린 경우는 그날의 최고가 또는 최저가를 나타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1.14
0
0
공모주 시초가 매도 문의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시초가가 2만원에 형성된다고 쳤을 때, 그보다 낮은 가격으로 9시가 되기 전에 매도를 써 내면100% 2만원에 팔리게 됩니다.만일 2만원을 쓴 경우는 대부분 매도가 되지만, 안되는 경우도 드물게 있을 수 있으므로반드시 매도하려고 할때는 그보다 낮은 가격으로 호가를 내는게 좀더 확실한 방법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1.14
0
0
200만원씩 10개월 적금 불입시 이자는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천만원의 연이자 2.72%를 적용하면 이자는 54만 4천원입니다.이자소득세는 15.4%를 납부해야 하므로, 83,776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인460,224원을 수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1.14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