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증권거래세와 양도소득세는 이중과세 아닌가요? 왜 둘다 과세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부에서는 증권거래세와 양도소득세는 과세목적과 과세객체(거래와 소득)가 달라 이중과세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고, 다른 선진국의 경우에도 소득세와 거래세를 같이 부과하고 있다고 합니다.(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부동산의 경우에도 동일한 자산에 대해 양도소득세와 취득세 모두 부과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주식은 양도차익 2,000만원 이하 투자자(570만명, 95%)는 양도차익을 비과세하여 증권거래세만 부담하게 되므로 사실상 양도세를 내는 경우는 별로 없다는 말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9
0
0
단기간에 급등하는 주식들은 대부분 세력들이 연관되어 있는경우가 많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어떤 주식이든 단기간에 크게 급등하는 주식들은 당연히 주가를 움직이는 세력이 있다고 봐야 합니다.그런 급등에는 많은 거래대금과 거래량을 동반하는데, 제 아무리 슈퍼개미라 할지라도 그 정도로 주가를 움직일 수 는 없습니다.다만, 그 세력이 개인일지, 외국인일지, 기관일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만, 세력이 있다는 것만은 확실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9
0
0
주식에서 사용하는용어로 블루칩스톡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블루칩 스톡이란성장성과 안정성, 그리고 수익성이 큰 우량주나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우량주를 뜻한 말입니다.국내에서는 삼성전자, 포스코 같은 기업이 있겠고미국은 GM과 AT&T 등이 대표적 블루칩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9
0
0
한국전력은 민영기업인가요? 아니면 공기업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전부터 민영화 논란이 있어 왔지만, 아직까지 한국전력은 공기업입니다. 지분비율은 22년도 기준 정부와 산업은행이 각 18%, 33% 이고,외국인은 14%, 기타 35% 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7
0
0
주식 주문할때 시초가 매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장 정규시간 9시 첫 거래인 시초가 거래는 동시호가로 9시전에 주문을 미리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때 들어가는 주문은 체결되지 않고 주문만 받습니다. 동시호가는 호가 중 가장 많은 주문이 된 가격으로 결정되는데, 매도의 경우는 동시호가보다 낮아야 체결이 되고, 매수의 경우는 동시호가보다 높아야 체결이 됩니다. (예를 들어 동시호가가 100원일시 90원으로 매도해야 팔림)위처럼 지정가로 매수/매도하지 않고, "시장가"로 거래해도 됩니다. 시장가는 주문시의 현재가격(9시 이전인 경우동시호가 가격) 그대로 매수/매도하는 방법입니다.이상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7
0
0
현금영수증을 올리면 왜 포인트를 주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이버플레이스에 등록한 영수증 이미지와 내용은 네이버 서비스 개선과 인공지능 분야 기술 등 연구개발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결국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대한 감사 의미로 리워드를 제공한다는 말이지요.또한 영수증 금액에 관계없이 건당 50원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4.17
0
0
에비따라는 용어의 의미는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를 공제하기 이전의 이익으로, 편의상 영업이익과 감가상각비를 더해서 구합니다.EBITDA는 순수하게 영업활동으로 현금을 창출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코스닥 기업들 중 수년간 일정수준의 EBITDA를 기록하는 업체는 많지 않습니다. 그만큼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만이 가능한 일입니다.회사가 대규모 시설투자를 집행해 이를 상각할 경우 영업이익은 큰폭으로 감소하지만 EBITDA는 변동이 없습니다. 또 외환차손 등이 발생하면 영업외손실이 늘어나 당기순이익이 타격을 받지만 이 또한 EBITDA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순수하게 기업의 영업능력 수준을 볼수 있는 지표인 셈이지요.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손실이 발생했는데 EBITDA가 흑자고 일부 현금흐름이 흑자로 전환됐다고 해서 이것이 “회사가 재무적으로 타격을 입지 않았다”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그러므로 EBITDA 또한 투자시 참고정보로만 활용하는게 적절하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4.17
0
0
입출금을 왜 한도를 30만원으로 정해 놓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이스 피싱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서 은행들이 한도제한 계좌를 운영하고 있는 것인데, 은행을 이용하는 개인 입장에서는 불편한 것은 사실입니다.은행에 내방하거나 서류를 전자적으로 제출하셔서 거래 목적이 분명하게 확인되야 제한이 풀리게 됩니다. 세부적인 확인범위는 은행마다 차이가 있습니다해당 은행에 한도계좌를 풀기 위한 절차를 문의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4.17
0
0
전기자동차에 대한 가격경쟁은 전기차 가격의 하락을 얼마나 하락시킬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에는 전기차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배터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기자동차의 가격이 멀지 않은 시기에 휘발유 자동차의 가격과 비슷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전기차에 붙은 가격표는 휘발유 차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난해 말 현재 미국 내 전기차의 평균 가격은 6만1천488달러로 휘발유 차와 트럭의 평균 가격(4만9천507달러)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러나 현재 미국 시장에서 제너럴모터스(GM)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이쿼녹스의 경우 전기차 모델이 약 3만 달러, 휘발유 모델이 약 2만6천600달러에서부터 출발합니다.전기차 모델이 휘발유 모델보다 3천400달러 비싸지만, 전기차 소비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세액공제를 감안한다면 가격 면에서 전기차가 우위에 서는 셈입니다. 전기차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부품인 배터리의 생산비용 절감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최근 고가로 거래됐던 리튬의 공급이 안정화됐고, 미국 내에 건설된 배터리 공장의 대량 생산도 생산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합니다.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가격은 최고치에서 20%가량 하락했고, 코발트의 가격은 지난해 5월 이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미국 내 청정에너지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도 전기차 업계의 가격 인하 경쟁을 불렀습니다. 선두업체인 테슬라가 세단인 모델3와 모델S, SUV인 모델Y와 모델X의 판매가를 최대 20% 할인하자, 포드도 테슬라 모델Y의 경쟁모델인 머스탱 마하-E의 가격을 인하했습니다.기술의 발달과 치열해지는 경쟁은 소비자에게는 좋은 일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전기차 가격과 함께 충전소 확충 등 인프라도 더 좋아진다면 전기를 살만한 여건은 지속적으로 좋아지리라 생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4.17
0
0
입출금 통장 해지를 하루에 은행 2곳에서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통상적으로 예금통장에 잔액이 없으면 굳이 해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겠으나, 해지한다고 해도 별 문제는 없을 걸로 보입니다. 다른 은행이라면 여러 통장을 해지하더라도 따로 불이익은 없을 것입니다.질문자님이 보유한 통장이 마이너스통장이 아니라면 아무런 문제될 것이 없으나,혹시 마이너스통장이라면 신용점수에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을 때 불리한 금액이나 금리를 받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신중히 고려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4.17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