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도가높아지면 왜 추워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내려가는 것은 고도 약 80km까지는 지구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표에서부터 올라갈수록 기온이 내려갑니다. 고도 10~13km에서 50km 사이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증가하는데, 이는 이 구간에 오존이 있어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이후 80km까지는 다시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온이 내려갑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1일 전
0
0
지진이 짧게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진은 지각 내에 축적된 응력(stress)이 일시에 풀리면서 만들어진 파동인 지진파가 지각 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을 말합니다. 이때 응력이 일시에 풀리기 때문에 지진이 지속되는 시간은 수초에서 1분 이내입니다. 규모 5인 지진의 지속 시간은 10~30초이며, 규모가 클수록 지속 시간이 깁니다.따라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이동하는 것은 위험하며, 가장 먼저 책상 밑으로 들어가는 등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곳을 찾은 후 진동이 멈추면 건물 밖으로 대피해야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일 전
5.0
1명 평가
0
0
화산이 폭발하면 화산재로 인해 기온이 급강하 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화산이 분출할 때 발생하는 화산재로 인해 기온이 내려갑니다. 화산 인근 지역만 아니라 멀리 있는 곳도 영향을 받습니다. 화산 분출 시 대기 중으로 올라간 화산재는 태양빛을 반사하여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감소시킵니다. 이로 인해 지표 부근의 기온이 내려갑니다. 대규모 화산의 경우 화산재가 성층권까지 올라간 후 기류를 타고 먼 곳까지 이동합니다. 이렇게 되면 화산재로 인해 태양빛이 반사되어 기온이 내려갑니다. 1991년 분출한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으로 인해 2년 동안 전 지구의 온도가 2도 내려갔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일 전
0
0
엘니뇨 현상이 무엇이며 주로 언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엘니뇨 현상은 적도 부근에서 동에서 서로 부는 무역풍이 약해지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적도 부근 해상에서 부는 무역풍에 의해 표층 해수는 동에서 서로 이동(적도 해류)하며, 동태평양 연안에는 용승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동태평양의 표층 수온은 서태평양의 표층 수온보다 낮은 상태입니다. 그러나 무역풍이 약해지면 적도 해류가 약해지고 동태평양의 수온은 평상시에 비해 상승합니다. 이렇게 동태평양 해역의 표층 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엘니뇨 현상이라고 합니다.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 서태평양 지역은 평상시에 비해 표층 수온이 낮아져 하강 기류가 발달합니다. 이 하강 기류에 의해 서태평양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감소하여 가뭄 등의 피해가 나타납니다. 반대로 동태평양의 표층 수온이 상승하면 상승 기류가 발달하며, 이로 인해 강수량이 증가하여 홍수 등의 피해가 발생합니다.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해지면 동태평양의 표층 수온은 더욱 낮아지는데 이를 라니냐 현상이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3일 전
0
0
우주에서 가장큰 행성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우주에서 발견된 행성 중 가장 큰 것은 지구에서 44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ROXs 42B의 동반성으로 알려진 ROXs 42Bb입니다. ROXs 42Bb은 목성에 비해 질량은 약 9배, 반지름은 약 2.5배입니다. ROXs 42Bb는 직접 촬영을 통해 발견했으며, ROXs 42Bb의 공전 주기는 약 2000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4일 전
0
0
바다 깊은 곳에는 수온이 어디까지 내려갈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수온은 표층에서 가장 높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감소합니다. 수심이 3000m 이상인 곳에서의 수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0~3℃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찬물은 극지방의 표층에서 냉각된 해수가 침강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4일 전
5.0
1명 평가
0
0
빛의 50미터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빛은 진공 중에서 1초에 30만km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50m를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5X10^-2/3X10^5=1.7X10^-7초가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4일 전
0
0
날씨가 추우면 왜 습도가 낫고 날씨가 따뜻하면 습도가 높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습도가 낮은 것은 기온 때문이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대륙의 동쪽 연안에 위치하므로 여름에는 해양성 기단의 영향을, 겨울에는 대륙성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기단의 성질은 기단이 만들어진 지역의 지표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해양성 기단은 습도가 높고, 대륙성 기단은 습도가 낮습니다. 우리나라는 겨울철에는 대륙성 기단의 영향을 받으므로 기온이 낮고 습도도 낮은 것입니다. 여름에는 해양성 기단의 영향을 받으므로 기온이 높고 습도도 높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은 기온이 높은데다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으므로 그늘에 있어도 수증기로 인해 찜통더위를 피할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5.11.21
0
0
해양 순환이 기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이유와 그 변화가 기상이변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해수의 순환은 표층에서 일어나는 순환과 연직 방향으로 일어나는 심층 순환의 2가지가 있습니다. 이들은 별개의 순환이 아니라 연결되어 있습니다. 저위도에서 가열된 해수가 고위도로 열을 전달하고, 냉각되어 다시 저위도로 내려옵니다. 또한 고위도에 해당하는 그린란드 부근과 남극 주변에서는 냉각되어 밀도가 커진 해수가 침강합니다. 특히 그린란드 부근에서 침강하는 해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가는 멕시코 만류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그린란드의 대륙 빙하가 녹아 만들어진 담수가 이 해역에 유입되면 해수의 밀도가 작아져 침강이 어려워집니다. 이렇게 되면 저위도에서 올라오는 멕시코 만류의 흐름이 약해지고, 고위도로 전달되는 열에너지가 감소합니다. 열에너지의 감소로 고위도의 기온은 내려가고, 저위도는 열을 전달하지 못한 채 머무르는 형태가 되어 기온이 올라갑니다. 즉, 위도 간의 열에너지 편차가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5.11.20
0
0
인류 최초로 달에 처음 내린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아폴로 11호에는 닐 암스트롱(Neil Alden Armstrong), 마이클 콜린스(Michael Collins), 에드윈 "버즈" 올드린(Edwin "Buzz" Eugene Aldrin Jr.) 등 3명의 우주 비행사가 탑승했습니다. 이 중 달에 가장 먼저 발을 디딘 사람은 닐 암스트롱입니다. 이 때가 1969년 7월 21일입니다. 암스트롱이 달에 처음 내린 뒤 20분 후에 올드린도 달에 발을 디뎠습니다. 콜린스는 이들 2명이 임무를 마치고 사령선으로 복귀하여 다시 지구로 귀환한 것입니다. 콜린스는 이들 2명이 임무를 마치고 복귀할 사령선을 조종하고 있었기에 달에 내리지는 못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5.11.19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