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종시대 과학자 장영실의 가장 큰 업적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생각에는 첮째 한글을 완성하려고 시도를 한 점이 제일 큽니다. 그리고 장영실의 물과 해시계요 ㅎ
학문 /
역사
23.05.19
0
0
조선의 민족대표들이 작성한 독립선언서를 비밀리에 일본으로 전달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게 가능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련한 첩자와 배달꾼들에 의해 가능합니다. 배를 타고 건너든 다른 수단을 이용했든지요
학문 /
역사
23.05.19
0
0
정조의 백성을 위한 업적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의 중흥 군주로 평가받는 제22대 임금. 본명 은 이산. 할아버지인 영조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장용영 창설, 탕평책 추진과 같은 정책으로 왕권 강화 를 시도하였으며, 규장각을 설치하고 수원 화성을 건 립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대게 모범적인 왕입니다. 세종대왕 못지않게요 ㅎ
학문 /
역사
23.05.19
0
0
정종은 태종이라고 묘호를 받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후대 왕들은 묘호를 올림으로서 선왕과 자신의 정통성을 동시에 세우려 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기 때문에 그 반대로 3대 임금인 태종의 형이었던 정종은 승하한 이후 200년이 훨씬 넘도록 아무런 묘호를 받지 못했는데, 태종의 후손들이 대대로 조선의 왕위를 이었기 때문이다.
학문 /
역사
23.05.19
0
0
피카소의 그림이 그렇게 비싼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피카소나 고흐와 같은 유명 화가의 예술품의 경우 수요가 많지만, 단 한 점밖에 없기 때문에 희소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또 이 예술품들은 작품적인 평가가 높음과 동시에 '더 이상 만들어질 수 없는 것'이라는 가치 때문에 희소성의 빛은 더욱 발하게 된다.
학문 /
미술
23.05.19
0
0
조선왕실에서 적장자의 왕위 계승이 적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이 휼륭하다 해서 모든 왕자가 휼륭해진다라는 법이 없습니다. 왕이 가져야할 도덕 등 부족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9
0
0
역설적인 말이 대화시 화술에 도움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적당한 역설은 화술에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역설은 남을 기분 상하게 하고 해서 외톨이가 되어법니다.
학문 /
철학
23.05.19
0
0
세계최초의 문자언어는 무언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쐐기 문자(cuneiform) 또는 설형 문자(楔形文字)는 수메르인들이 기원전 3500년경부터 사용했던 문자로 현재 기록/발굴 중 가장 최초의 문자라고 하니 놀랍습니다.
학문 /
역사
23.05.19
0
0
만파식적이라고 하는 것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만파식적'이란 세상의 온갖 파란(萬波)을 없애고 평안하게(息) 하는 피리(笛)라는 뜻. '적'이 곧 피리이기 때문에 줄여서 '만파식'이라고도 불렀다. 통일신라기 왕실에서, 정치적 불안이나 국난이 진정되고 태평성대가 오기를 염원하는 제례(祭禮)에 사용했던 피리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19
0
0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중 '사미인곡'의 주요내용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미인곡 개요 선조 때의 정치가 정철의 가사작품으로 조정에서 탄핵당한 뒤 고향인 전남 창평에서 지내며 지었다.<사미인곡>은 미인을 생각하는 노래라는 뜻으로, 미인은 선조 임금을 비유한 것이다. 선조 임금을 생각하는 간절한 마음을, 임을 그리는 여인의 간절한 마음에 비유하여 자신의 충정을 드러냈다.고유어를 잘 부려 써 서포 김만중의 극찬을 받았다. 김만중은 그의 저서 <서포만필>에서 ‘나라의 시문이 자기 말을 버리고 다른 나라의 말을 흉내내어 쓴 것이라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흉내내는 것에 지나지 않는데, 속미인곡, 관동별곡 세 편의 노래는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이 담겨 있으면서도 천박함은 없다’고 하였다.정철은 사미인곡을 지은 뒤 속미인곡을 창작하였다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19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