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적립식 투자는 어느정도 기간을 바라보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기간의 적립식 투자는 하락 시장에서는 눈덩이 만큼 큰 손실을 입게 되지만 가치투자 처럼 초장기로 보는 적립식 투자는 매달 투입되는 금액이 적기에 안전합니다. 하락장에 최소 3년 이상을 보고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수익 날 확률이 크고 단기 투자 대비 훨씬 안전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7.1 나와서 나스닥 급등하는데 한국증시에는 어떤영향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각 나라의 지수 향방은 다 연계 되어 움직입니다.금일 미국 소비자 지수 예상치 대비 하회로 나오면서 급등하였는데 양봉 마감시 내일 국내 증시도 갭상승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주식의 유상증자에도 종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상증자 문의 주셨습니다.유상증자는 주권 발행에 따라 유상 증자 방식을 구분합니다.기존 주주에게 주식 보유 비율만큼 신주 인수권을 부여하여 유상증자를 하는 방식인 주주 배정 방식이 있으며누구나 증자에 참여 할 수 있는 일반 배정 방식이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인수 합병을 위해 기업 간, 3자 배정하는 방식이 있습니다.주주 배정 방식은 대부분 악재이고 3자 배정 방식은 호재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연준이 금리를 계속 올리면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는데 왜?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를 잡아야 경제 성장과 안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금리 인상이라는 최후의 카드를 써서 최우선적으로 물가를 잡고 있는 겁니다. 비록 빚있는 사람들이야 고통이겠지만 물가가 잡히면 금리는 서서히 떨어질 겁니다.
경제 /
대출
22.12.13
0
0
블록체인 코인시장 경제에서 NFT라는 개념은 대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희소성을 갖고 있으며 예술작품이나 게임 케릭터 등에 쓰입니다.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 되며 거래는 팔라나 OPENSEA 등에서 가능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CPI 발표와 금리인상의 상관관계를 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준에서 기존의 고용 상태나 다른 지표들도 보겠지만CPI가 예측치 대비 하회하여 나올 시, 어느정도 물가는 고점을 치고 조금씩 내려가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CPI 지표가 낮게 나온다는건 물가가 조금씩 잡히고 있는 것으로 그동안 유지해왔던 긴축 정책으로 인한 금리를 긴축 완화 할 수 있습니다. 즉,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진행 할 수 있다는 것이죠. 그와 반대의 경우라면 긴축 조절은 시기 상조가 될 것이고 금리 점도표를 더 올릴 수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예금금리랑 대출금리 다른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출 금리는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합산하여 산정 되기에 예금금리보다 높습니다.게다가 은행의 예금이자는 대출이자로 충당하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더 높아야 은행이 돌아갑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3
0
0
매파적 발언을 했을때 시장에는 어떤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비둘기 발언 시, 시장은 상승 매파 발언 시, 시장은 하락합니다. 비둘기 발언은 물가 하락 조짐이 보이니 긴축 속도 조절을 하겠다 등의 발언이 될것이고매파는 물가가 아직 잡히지 않아 금리 지속 인상하여 높은 수준의 금리 수준을 이어가겠다 등의 내용이 있을겁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투자에서 레버리지, 좋은 선택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레버리지란게 잘 쓴다면 큰 수익을 볼 수 있지만 그 반대라면 빠르게 계좌를 깡통 만드는 지름길이죠. 본인만의 원칙과 기준이 있다면 레버리지를 쓰는것도 괜찮다고 보지만 그게 아니라면 안쓰는게 좋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대출 상환 방법 종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원금 균등과 원리금균등의 차이점은 간단합니다.원리금균등 : 원금이자 합해서 매달 동일 금액을 지불원금균등 : 원금이자를 같이 내지만 매달 상환액 금액이 줄어듦. 원금의 비중이 커서 원금 균등 대비 납입이자가근소하게 적습니다.
경제 /
대출
22.12.13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