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통장 개설 시 20일 제한이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단기간에 다수의 계좌를 만들어서 금융사기 및 대포통장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있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20일 제한을 둔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2
0
0
경저기초관련 및 차트보는법을 배우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의 기초는 경제 신문을 보면서 전체적인 흐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공부하는게 좋고 경제 신문을 읽다가 모르는 용어는 메모해 두셨다가 검색하셔서 의미를 찾아 보면서 공부하시는게 좋습니다.차트는 보는 사람마다 기법이 다릅니다. 이평선 매매, 매물대 매매, 일목균형 매매, 특정 패턴에서만 거래하는 패턴 매매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요.기본적인 차트를 설명하는 책 한권만 정독 하시고 그 이후에는 유튜브를 이용해서 한가지 매매법만 파고 드는게 기법 완성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리고 처음부터 돈 들여서 매매하지 마시고 각 증권사마다 모의투자 기능이 있으니 모의투자를 통해서 기법 검증 후, 거래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2
0
0
최초로 지폐를 만든 나라는 어느 나라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세계 최초의 지폐는 중국 송나라의 교자입니다. 10세기 말에 쓰촨에서 철화를 대신하는 임시 용도로 발행 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지폐의 발행은 1170년 남송시대에 발행 되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2
0
0
미국은 금리를 원래 매달 조정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FOMC 정례회의는 매달 하는 것이 아닙니다.FOMC는 1년에 8번 정례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2022년 FOMC 정례회의는 1월/3/5/6/7/9월/11월/12월 입니다. 12월 한 건 남아 있네요.
경제 /
예금·적금
22.12.12
0
0
주식시장과 코인시장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매수/매도 호가가 정해지고 거래하는건 차이점이 없습니다.주식과 코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코인은 24시간 내내 거래가 된다는 것이고 주식은 정규시간 기준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거래가 된다는 점이죠. 뭐 시간외 거래시간까지 한다면 오전 8시 40분~오후 6시까지지만요. 추가로 코인은 각 코인 별로 상장 거래소가 여러개 있다는 것, 그리고 상장 거래소마다 유통 물량이 다르다는 점을 들 수 있겠네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2
0
0
올해 들어 특별히 이번 겨울에는 점점 더 경유가 휘발유보다 더 비싸져가고 있습니다 도대체 왜 이런 가격 차이가 나는지 그 이유를 자세하게 설명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본래 경유의 제조원가가 휘발유 대비 비싸기 때문에 경유가 휘발유보다 가격이 비쌉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이 케이스인데 우리나라에서 그동안 휘발유가 비쌌던 것은 세율이 높아서 비쌌던 것입니다. 세금으로 인해서 휘발유 가격이 더 비쌌던 것이고 이제는 원유 가격이 급등하여 세금이 더 비쌌던것을 희석시켜서 정상 적인 가격 차이 범위로 들어온 것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1
0
0
NFT 의 투자 가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NFT도 하나의 투자 방식일 뿐 NFT 자체에 큰 가치는 없다고 봅니다.가상 화폐 전반적으로 약세중인데 NFT 역시 FTX 파산 이후로 NFT 시총 30% 이상 감소하였습니다.시장이 안좋으니 NFT 관련 스타트업 기업들도 정리해고에 들어가는 등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트래블룰에 궁금한 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는 그 방식으로 세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추후에 금투세가 도입이 된다면국내 거래소로 입금 시, 금투세에 적용되는 비과세 이상의 금액은 자금 소명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다우존스 지속가능 경여지수의 영향도 및 우리나라 어떤 기업이 편업되었는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DJSI는 경제적 지표 뿐 아니라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지수로 투자기관 및 투자자들에게 기업들의 지속 가능 경영 수준 비교 및 책임투자 기준자료로 활용되어 있으며 세계적인 공신력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2022년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월드 지수에 우리나라 기업은 24곳이 편입 되어 있습니다.편입 기업은 하나금융지주,아모레퍼시픽,포스코홀딩스, 기아자동차,삼성SDS, 삼성증권, S-오일, 현대건설, 미래에셋증권,SK,LG전자, 신한금융지주, 삼성SDI, KB금융지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러지, 삼성물산, LG생활건강,현대제철, 카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SK텔레콤, 현대글로비스, 현대모비스, 현대 자동차 등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1
0
0
펀드에 가입해보려는데 펀드는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모든 투자에 안전한 것은 없습니다. 펀드도 투자한 펀드 상품 하락 시, 주식과 동일하게 손해 봅니다.하지만 펀드의 경우, 보통 장기로 보고 가입하기 때문에 매달 적립식으로 장기간 투자 시, 왠만하면 손해는 잘 나지 않습니다.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