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심리상담
인데놀 먹으면 정신없는 느낌이 들수도 있나요~?
우선 처방 받은 의사 분과 현재 증상에 대해서 상의하시길 권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하시면 좋겠네요.인데놀(Propranolol)은 베타 차단제로, 주로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불안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이죠. 보통 불안이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면접이나 발표 전에 복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데놀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피로, 어지러움, 졸음, 그리고 집중력 저하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신없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처음 복용하는 경우라면 이러한 부작용이 더 두드러질 수 있겠죠.만약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각하다면,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면접 전에 인데놀을 처음 시도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미리 복용하여 본인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6.03
0
0
조현병은 처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걸까요 ?
조현병은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인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복잡한 정신 질환입니다. 조현병은 정신질환 중 가족력이 큰 질환은 맞습니다. 가족 중에 조현병 환자가 있을 경우 발병 확률이 높아지긴 하지만, 유전적 소인이 반드시 조현병을 발생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스트레스, 외상, 약물 남용,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유전적 요인과 결합할 때 조현병의 발병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따라서 조현병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하기 보다는, 환자분 마다 차이는 있지만 생애 동안 특정 시기에 발병하는 질환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심리상담 /
기타 심리상담
24.06.03
0
0
잠을 잘때 꿈을 많이 꾸는이유가 뭔가요
꿈을 많이 꾸는 것은 스트레스, 수면의 질 저하, 수면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깊은 잠(REM 수면) 단계에서 자주 깨는 경우,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에서 꿈을 더 많이 기억할 수 있습니다.결국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의미일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수면의 질은 수면 위생과 관련이 있는데 잠자리에서 스마트폰 사용 줄이고 카페인과 알코올 섭취를 줄이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적절한 신체 활동을 통해 수면의 질을 개선해야 합니다. 만약 이러한 방법으로도 개선이 어렵다면, 수면 클리닉과 같은 병원 방문도 고려해보세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6.03
0
0
추운곳에 있다가 갑자기 따뜻한곳에 들어가면 손이 저린이유가 뭘까요?
추운 곳에서 따뜻한 곳으로 갑자기 이동하거나 차가운 물에 손을 담갔다가 빼낸 후 손이 저리는 현상은 주로 혈관 반응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레이노 증후군'이나 혈관의 정상적인 반응일 수 있습니다.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 근처의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이는 손과 발 같은 말단 부위로의 혈류를 감소시켜 체온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뜻한 곳으로 이동하면 이러한 혈관이 다시 확장하게 되는데, 이때 혈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저림이나 핑크빛으로 변하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질문자님의 경우 레이노 증후군도 의심할 수 있는데 일부 사람들은 추위에 노출될 때 또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혈관이 평소보다 더욱 강하게 수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로의 혈류가 현저히 감소하여 창백해지고, 추위에 대한 반응으로 다시 혈관이 확장할 때 저림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레이노 증후군'이라고 불리며, 대부분의 경우 가벼운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심한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불편을 초래한다면, 특히 혈색소 침착, 만성적인 저림, 통증 등 추가적인 증상이 동반될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6.03
0
0
갑자기 몸에 털이 쭈볏서는 느낌은 왜 나타날까요?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 내원하시면 좋을 것 같고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스트레스 - 심리적 스트레스나 긴장 상태가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이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온도 변화 -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나 추위에 노출되면 몸이 반응하여 피부 근육이 수축하면서 털이 곤두서는 느낌이 듭니다.건강 이상 - 갑상선 기능 이상, 감염, 알레르기 등의 건강 문제가 있을 때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약물 부작용 - 특정 약물을 복용 중이라면 그로 인한 부작용일 수도 있습니다.특별한 이유 없이 너무 자주 발생한다면 기본 검진을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관련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꾸준한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한 생활 습관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6.03
0
0
커피(카페인)을 섭취하면 각성이 되는데 건강에 안좋나요?
커피(카페인)은 각성 효과와 집중력 향상을 제공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적당량의 커피는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며, 일부 연구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과 같은 질병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수면 장애, 심혈관 건강 문제, 의존성 및 내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위장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하루 3-4잔 이하로 커피 섭취를 제한하고, 오후 늦게나 저녁에는 카페인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사용하는 진단 기준 체계인 DSM 5에서는 카페인 사용 장애가 포함됐을 만큼 너무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6.03
0
0
어떤 상황일때 내가 우울증 이라는걸 알 수 있을까요?
교과서적으로는 우울증은 단순한 슬픔이나 일시적인 기분 저하와는 달리, 장기간 지속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정신적 질환입니다. 우울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슬픔,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식욕 변화, 수면 장애, 피로감, 무가치감, 집중력 저하, 그리고 자살에 대한 생각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우울증 여부를 초기 단계에서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자기보고식 설문입니다. 대표적인 설문 도구로는 PHQ-9(우울증 간이 검사)나 BDI(벡 우울 척도) 등이 있습니다. 실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많이 사용하는 설문 도구입니다. 이러한 설문은 비교적 간단하며, 자신의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설문 결과가 높게 나오는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과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필요시 약물 치료나 상담 치료를 시작하면 우울증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초기에 우울증을 발견하고 치료를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울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며, 적극적인 대처와 적절한 치료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우울증 자가 설문은 아래 글 참고해보세요.https://blog.naver.com/kongjung_/223211814473
심리상담 /
기타 심리상담
24.06.03
0
0
혹시 이것도 공황장애 증상인가요!?
우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통해서 확인하시기를 권유드리고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질문자님이 겪고 있는 유체이탈 느낌, 심장 두근거림, 비현실감, 작은 소리에 과민 반응, 머리의 멍함 등의 증상은 공황장애의 일부 증상과 유사합니다. 공황장애는 심장이 빨리 뛰거나 두근거림, 현기증, 비현실감, 과도한 땀 분비, 숨 가쁨 등의 증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은 다른 신경정신과적 또는 다른 의학전인 원인들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일상 생활이나 평소 하던 업무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면 진료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심리상담 /
기타 심리상담
24.06.03
0
0
데자뷰 현상을 느낄 때가 있고, 그럴때마다 뭔가 너무 소름끼치는데 이유는?
네, 말씀하신 현상은 바로 데자뷰(deja vu)입니다. 데자뷰는 프랑스어로 "이미 보았다"라는 뜻이며, 새로운 상황을 이전에 경험한 적이 있는 것처럼 느끼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일상생활에서도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데자뷰는 주로 기억의 혼동 또는 무의식적 기억 등 여러 요인으로 설명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날 때 소름끼치거나 놀라는 이유는 뇌가 현재의 경험과 과거의 기억을 혼동하면서 일시적으로 현실감을 잃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일어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심리상담 /
기타 심리상담
24.06.03
0
0
안 좋은 애착유형도 인지치료가 필요하나요?
정확한 정신건강의학 진단 및 치료는 진료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아래 내용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불안정한 애착유형, 특히 공포-회피 애착처럼 극단적인 경우에는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무조건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애착 유형으로 대인관계에 반복적으로 문제가 생기고 불편감을 느낀다면 치료를 고려할 수 있겠죠.)공포-회피 애착은 대인관계에서 불안과 회피가 동시에 나타나는 형태로, 이는 개인의 정서적 안정과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지치료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역기능적 사고 패턴을 식별하고 이를 긍정적인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됩니다.인지치료가 메뉴얼화 되어있는 것은 맞지만 적용시킬 내용은 개인마다 차이를 둘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치료자와 상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공포-회피 애착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상담 /
기타 심리상담
24.06.03
0
0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