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질 위기의 직업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직업군이 해당 될것으로 봅니다. 이로인한 문제도 생기겠죠.일반적으로 매표소나 계산대 혹은 통행료 직업군이 가장대표적이며 상담원 택시 버스 운전기사 등도 해당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1.12
0
0
인간은 나이가들면서 들을수있는 주파수역대가 낮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네맞습니다. 나이대별로 들을수 있는 영역대가 다릅니다. 일부는 그렇지 않으신분들도 계시지만 기본적으로 10대 20대 30대 40대등 나이대별로 들을수 있는 주파수가 다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12
0
0
세계에는 활화산이 많다고 알고 있는데 어떻게 활화산인지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활화산은 현재 화산활동을 하고 있는 화산을 뜻합니다. 화산분출물이나 기타 활동을 하고 있는 화산입니다. 하지만 근래에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휴화산도 활화산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예 가능성이 없는 화산은 사화산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1
0
0
강보다 바다에서 수영하기 답변 하던데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강보다 바다에서 몸이 잘뜨는 이유는 염분농도에 따른 현상입니다. 단순히 몸에 뜨는것으로 비교한다면 강보다 바다가 편할순있지만실제로 수영할 경우는 바다는 파도나 바람등의 영향이 커서 오히려 강에서 하는것보다 힘들고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1
0
0
엘니뇨 현상이 일어나는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무역풍이 약화되면 서태평양 쪽에 쏠려있던 적도 부근의 따뜻한 해수가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태평양에 따뜻한 해수층이 형성하기 때문에 엘리뇨 현상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해수 온도의 분포가 달라지면 적도 부근의 대기순환이 달라지고 그 영향이 중위도와 고위도에 미치면서 대기 순환을 변하게 하므로 엘리뇨 현상이 나타나면 세계적으로 이상 기상 현상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1
0
0
바다에도 물의 흐름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물의 흐르는 것을 해류라고 합니다 이 해류는 크게 표층순한과 심층순환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바람등의 마찰로 일어나는 것을 표층순환이라하고 염분의 농도, 수온등에 의해 생기는 것이 심층순환입니다. 이 두가지가 원인이 되어 해류가 형성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1
0
0
지구에서 가장 많은 원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전체를 볼때는 수소가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지구만을 한정짓는 다면 물론 모든 물질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산소입니다. 가장 쓰임새가 많은 원소는 탄소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11
0
0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동물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송골매입니다. 패러그린 팰컨은 맹금류로 비행중 강하시 그 속도가 무려 시속 320km에 달합니다. 엄청난 속도죠?
학문 /
생물·생명
23.01.11
0
0
눈이나 비가올 때 달릴때와 걸을때 차이가 많이 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물론 차이가 있습니다. 그냥 서 있는다면 머리위로 떨어지는 비만 맞는것이고 달리게 되면 앞면과 측면에서 비를 맞게 되는것입니다. 단순히 달릴때와 걸을때를 말한다면 달릴때 더 많이 맞게 되는 것이지만 이동을 해야 한다면 결국 빠르게 비오는 곳을 벗어나 실내로 들어가야 덜맞게 됨으로 달려서 이동하는게 유리하다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1.11
0
0
뜨거운 물에 녹는 믹스(커피)는 왜 저어줘야 녹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물만 부어도 녹는것이 맞습니다. 다만 녹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를 단축하고자 저어주는 것입니다. 저어주게 되면 표면적이 지속적으로 뜨거운 물과 접촉하게 되어 녹는 시간을 단축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3.01.09
0
0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