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무거운 물건을 들때 왜 도르레를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도르래는 힘의 방향을 바꾸거나 작은 힘으로도 큰 힘을 내게하는 장치입니다.움직도르래물체의 운동방향과 힘의 방향이 같습니다.돌림힘의 평형에 의해 F x 2r = w x r , F = w/ 2 무게의 절반만큼 힘이 들어감고정도르래물체의 운동방향과 힘의 방향이 반대입니다. (방향만 바뀜)F x r = w x r, F = w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아래처럼 적은 힘으로 더 큰 무게를 들 수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10
0
0
식품을 급속냉동하면 상하지 않는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냉동고에서는 곰팡이나 세균들이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덜 상하게 됩니다. 다만, 죽는게 아니기 때문에 냉동이라고 해도 서서히 상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인덕션을 쓰고 있는데 그 원리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인덕션은 전자유도와 와전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인덕션 안에는 가열을 위한 코일이 있고 이 코일에 전기가 흐르면 전자유도의 법칙으로 자기장과 고주파 전류가 생기는데 냄비 바닥에 와전류가 흘러 냄비 저항이 커지면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철/스테인리스의 냄비가 필요합니다.구리/알루미늄은 전기저항이 없어서 이런 와전류에 저항하지 않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1
겨울만 되면 화장실을 자주가는데 원인이먼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먹는 등의 일을 하면 몸에는 수분이 공급되는데요,이 수분섭취량이 늘어나면 배출하는 양도 당연히 늘어나겠죠?호흡이나 땀 등을 통해 나도 모르는 사이 빠져나가는 수분이 대략 30%정도라고 하는데요,이것을 '불감성 수분 손실'이라고 합니다.여름에는 땀이 많이 나는만큼 수분이 배출되는 양 또한 많다고 하네요.그에 반해 겨울에는 땀이 거의 나지 않기 때문에 소변으로 배출되는 양이 많아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사람은 늙으면 머리가 흰색으로 변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머리카락 색은 모낭 속 멜라닌 세포가 결정하는데 세포는 멜라닌 색소를 합성하는데 색소의 양이 많을수록 머리색이 짙어집니다. 나이가 들수록 머리카락이 하얗게 나는 이유는 멜라닌을 합성하는 멜라닌 세포의 수가 줄고 그 기능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소금이 얼음을 녹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가 얼지 않는 이유과 비슷합니다. 염화칼슘 등이 포함되면 어는점이 물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물이 어는 조건 정도로는 얼리지 않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군대에서 먹는 군용 음식의 발열원리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포장지에 발열팩이 있어 당기면 데울수 있습니다.발열팩은 화학반응이 진행되면 생성 물질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진 반응 물질의 에너지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반응 물질이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발열 반응이라고 합니다. 내부 발열체인 산화칼슘과 물이라는 물질이 만나 열을 방출하여 음식을 따뜻하게 데울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10
0
0
사람들이 빙산의 일각이라고 말하는데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밀도는 1g/㎖, 물 100g의 부피는 100㎖/ 얼음의 밀도는 0.91g/㎖로, 얼음 100g의 부피는 110㎖물 속에 빠진 물체의 부피와 같은 양의 물이 물체의 무게로 인한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발생시키는데 만약 100g의 얼음을 물 속에 넣는다고 생각해 보면중력은 얼음의 무게 100g, 부력은 얼음 100g의 부피 110㎖의 힘, 즉 물 110g 입니다.그렇다면 부력이 중력보다 우세하므로, 얼음은 중력과 부력이 같아질 때까지 떠오르게 됩니다. 그럼 언제 중력과 부력은 같아질까? 쉽게 생각하면 부력이 중력과 같은 100g이 될 때입니다. 이때 가라앉은 얼음의 부피는 100㎖가 되므로, 얼음이 다 녹아도 이 부분만을 메워 더 넘칠 게 없습니다.빙산도 물 컵에 얼음이 떠오르는 것과 같은 원리로 바닷물 위에 떠있는데 물 컵에 떠있는 얼음 100g의 예에서 전체 얼음 부피 110㎖ 중 물 컵 아래 가라앉은 얼음의 부피는 100㎖이므로 비율로 따지면 91%정도입니다. 즉 흔히 말하는 ‘빙산의 일각’이란 9% 정도입니다.물론 바닷물의 밀도가 1보다 크기 때문에 실제 빙산의 일각은 이보다는 더 큽니다. 만약 바닷물의 밀도가 1.1g/㎖라고 한다면 빙산의 일각이란 전체의 약 17% 정도 될것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전투식량은 어떻게 음식을 데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전투식량 데워지는 이유는 포장지 속에 발열팩이 있어 당기면 음식이 데워지는 효과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과음하면 왜 머리가 아픈가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 속에는 술을 마신 후 체내에서 분해되는 알코올의 중간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우리 몸은 아세트알데히드를 해독하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머릿속 혈관 또한 확장돼 두통을 유발하고 이 성분에는 독성이 있어 메슥거림과 구토를 유발하기도 합니다.이 아세트 알데히드를 분해해야하는데 아스파라긴산, 메티오닌, 글루타치온, 카테킨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아스파라긴산은 콩나물에, 메티오닌은 북어에 많이 들어있어 콩나물국, 북엇국이 대표적인 해장 음식으로 여겨지는 것 역시 이 때문입니다. 미지근한 물을 마셔 배변 활동을 원활히 하도록 하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