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두통 매스꺼움이 있는데 왜그런거죠?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두통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올려주신 증상만으로는 특정 질환의 유무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증상이 지속되면 신경과를 방문해보세요.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4.03.26
0
0
mri 소견서 해석 좀 해주시겠습니까?
안녕하세요. 영상의학과 전문의 최원제 의사입니다.올려주신 사진은 진료소견서로 MRI 판독지가 아닙니다. 따라서 MRI 소견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설명 드릴게 없네요ㅠ검사를 시행한 병원에 MRI판독지를 달라고 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4.03.26
0
0
종양이나 혹은 어느 병원으로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지방종이나 표피낭종의 가능성이 있겠으나, 근처 정형외과나 일반외과를 방문해서 초음파 검사 등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4.03.26
0
0
삼차신경통은 어디서 진료받아야하고 치료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삼차신경통은 약으로 치료합니다.카르바마제핀으로 주로 치료하고 그 외에도 phenytoin, baclofen, valproate sodium, lamotrigine와 gabapentin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대학병원 신경과를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4.03.26
0
0
대장내시경 검사하기 전 검사가 분변검사라고 있던데 무엇을 알아내는 검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대변 속의 혈액 성분을 확인하는 검사로 위장관에서의 출혈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시 대변검사(분변잠혈반응검사)는 대장암의 선별검사로 사용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4.03.26
0
0
Pet-CT 문의드려요 작년에 검사 받은후
안녕하세요. 영상의학과 전문의 최원제 의사입니다.1년이 좀 안되는 간격을 두고 PET-CT촬영이 괜찮은지 문의주셨는데, 괜찮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항암치료를 받으시는 분들은 6~8주 주기로 PET-CT를 찍기도 합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4.03.26
0
0
소화가 자주 안되는데 왜 그럴가요??약 복용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소화불량은 비특이적이 증상으로 단순 과식으로 인해서도 생기지만, 위암 같은 위중한 병의 비특이적 증상으로도 발생가능합니다 (그렇다고 위암이라는 뜻은 아니니 너무 걱정은 마세요).우선 음식을 좀 조절해서 드셔보시고, 운동량도 좀 늘려보시는 걸 추천드리며 증상이 계속 지속되거나 걱정이되신다면 위내시경 등의 검사도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4.03.25
0
0
지금 거의 1년동안 배가 아픕니다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올려주신 증상만으로는 염증성 장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어보입니다.소화기내과를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의료상담 /
내과
24.03.25
0
0
쇄골 위에 혹이 있어서 초음파를 했는데한번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영상의학과 전문의 최원제 의사입니다.올려주신 사진상 지방으로 보입니다.초음파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에게 받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4.03.25
0
0
소아청소년 2형당뇨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원제 의사입니다.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장애나 인슐린 작용 장애에 의해 혈당이 상승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유전자 이상에 의한 당뇨병 등으로 구분되고 소아기에는 성인기와 달리 1형 당뇨병이 가장 흔하나 최근에는 비만이 증가하면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2형 당뇨병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소아청소년 시기에 발생한 1형 또는 2형 당뇨병 모두 성인에게서 관찰되는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으로 당뇨병성 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압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하고, 만성적으로 망막병증, 신장 병증,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 질환 합병증과 관상동맥, 말초동맥이나 뇌혈관과 관련된 대혈관질환 합병증이 올 수 있습니다.치료는 당뇨병의 종류, 연령, 성장기 여부, 발달, 혈당 조절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과 치료 목표를 다르게 조절합니다.1형 당뇨병의 치료에는 인슐린 투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인슐린 용량 조절, 올바른 투여법 등 실제 환자가 익혀야 할 것이 매우 많으며 소아청소년의 발달 시기에 따라 익혀야 하는 항목들도 다양하므로 전문가집단의 적절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인슐린을 맞지 않고 치료가 가능하다고 하는 주장하는 민간요법들은 소아청소년에게 치명적이라고 볼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합니다.2형 당뇨병은 운동,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교정과 함께 필요하면 약제를 투여받아야 합니다. 성인에게 허가된 약물 중 일부만 소아에게 사용이 허가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인슐린과 메트포르민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4.03.25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