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환율 고인플레 코로나 경제활동위축을 살아가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가장 문제인 경제지표는 물가지수 입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경기 침체까지 각오하며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다만 힘든시기를 연착륙하기 위하여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서서히 올리고 있으며, 서민 지원 정책도 함께 펴고 있습니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빠르게 종식되면 가장 좋겠지만, 현재로는 기대하기가 어렵고 미국의 cpi 지수가 꺾이는것을 기대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물가가 진정되면 금리도 다시 인하하고 경기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미ㆍ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이 궁금합니다ㆍ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급등하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인상의 속도조절이 나오려면 물가가 잡혀야 가능합니다. 앞으로 발표되는 cpi 지표를 주의깊게 보시고앞으로 꺾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우선 올해 말까지 약 3%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한다고 발표한 만큼 올해 안에는 속도 조절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빠르면 내년 초에 금리정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3
0
0
경제 뉴스에 보면 유동성이 좋다 나쁘다 하는데 도대체 유동성이란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동성이란 것은 자유로운 흐름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예를 들어 집과 현금을 비교하면 집으로 물건을 사려면 세입자를 구하고 부동산 계약을 하는 등 오랜시간이소요되지만, 현금은 지금 당장이라도 물건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같은 자산이라도 유동성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물건으로 보유하는 것 보다 현금으로 보유하는 것이 높은 유동성을 보유하여 활용하기 좋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역사적으로 금의 가치가 갖는 의미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은 역사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어 미국 달러의 대체제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미국의 위기가 찾아 왔을 때 금가격이 급등하였고, 미국경기가 잘나가면 금 가격은 침체하게 됩니다.요즘은 강달러 기조가 유지되어 전세계적으로 달러로 자산이 쏠리고 있습니다.따라서 금가격은 하락이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올해 말까지는 약 3% 기준금리로 인상계획이 있는 만큼금가격은 올해 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금 가치의 상승은 항상 상대적으로 이루어 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3
0
0
요새는 하루만 맞겨도 이자 준다는 은행권 늘어가는데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결산원가식은 결산일에 금리를 통장에 넣어준다는 뜻입니다.예를들어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주지만 이자를 주는 정해진 날짜에 지급하겠다는 뜻입니다.각 은행별 상품의 이자지급 시기를 확인하시면 정확하게 아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3
0
0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중 뭐가 더 심각한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는 글로벌 경제가 경기침체를 어느정도 각오하고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기 때문에 주요 이슈는 물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물가를 잡기 위한 대책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이고 경기의 하강을 연착륙 하기 위한 조치 입니다.급격한 인플레이션이 해소 된다면 금리 인상도 멈출 것이고 경기도 다시 회복세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전세자금대출조건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강제로 회수를 당하는 경우는 없습니다.다만 추가로 신축빌라를 구매하실 때 전부 본인의 자금으로 구매하시는 것이 아니라면,추가 대출시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3
0
0
환율이 많이 올랐잖아요. 이에 따라 국내에서 변동되는것들에는 무엇이 있나요? 그 여파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이 오르면 수출기업에는 호재로 작용하지만 수입물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현재는 급격한 환율의 상승으로무역수지가 지속적으로 적자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 전반적인 물가도 함께 올라가고 있습니다.또한 환율의 상승은 국내의 외국자본의 유출로 이어져서 자산시장의 하락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한국은 특히 imf 사태를 겪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외환 보유액에 민감한데 환율 상승을 방치하면 외환보유액이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원달러 환율이 계속 오르는데 언제까지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 연준이 올해 말까지 약 3%의 기준금리로 인상한다고 발표한 만큼 올해까지는 강달러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추가적으로 향후 발표되는 미국 cpi 지표를 체크하시고 꾸준히 꺾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인플레이션이 꺾이고 미국의 금리인하 발표가 되는 시점부터 환율이 안정될 것이고 당분간 1,300원대 환율이 뉴노멀로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3
0
0
월달러 환율 위기의 신호인가? 라는 명제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출경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수입에는 악영향을 미쳐서 종합 경상수지로 따지면 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추가적으로 현재 금리를 25bp로 낮게 올릴 것으로 예측되어 다음달에 한미간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그렇게 되면 지금보다 더욱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금리는 인상을 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환율의 상승은 외환보유액의 빠른 감소로 이어지고 외국자본의 국외 유출로 이어지기 때문에 과거 imf 사태를 겪었던우리나라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2
0
0
3241
3242
3243
3244
3245
3246
3247
3248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