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환율 1,341원 최고치 경제적 관점으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의 이상 급등은 국내 외환시장의 불안정을 가져오고 외화 보유고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우리나라는 특히나 IMF사태를 겪었던 적이 있기 때문에 외환보유액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국가입니다.따라서 환율이 1,340원을 돌파한 것은 의미 있는 지표로써 8월 기준금리 인상을 25BP 보다 더 큰 폭으로올려야 할 수도 있는 이유가 되었습니다.미국이 9월에 빅스텝을 밟게되면 필연적으로 한미간 금리가 역전되어 환율이 더욱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무역적자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주 금통위의 결정이 향후 경제상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2
0
0
미국 금리와 우리나라 금리가 역전시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달러는 국내의 원화보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때문에 금리가 동일하다면 투자자는 대부분미국 달러에 투자를 진행할 것입니다.하지만 우리나라는 항상 미국보다 최소25bp 앞서는 금리인상으로 외화자본의 이탈을 막아왔습니다.최근에는 이러한 금리가 반대로 역전되면서 달러의 유출을 가속화 시켰습니다.예를 들어 1금융권 대신 2금융권에 저축하는 이유는 예적금 금리를 높게 주기 때문인데, 오히려 1금융권이예적금이 높아지게 된다면 2금융권의 메리트가 사라지게 되는 현상과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22
0
0
경제 위기일때 달러가격이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달러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원화 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으로 수요가 몰리는 것입니다.글로벌 경제위기가 오게 되면 국내에 투자한 외국자본이 다시 해외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환율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추가적으로 현재는 미국이 급격한 금리 인상을 통해 달러의 가치도 상승하고 있어서 환율 상승의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환율을 다시 전처럼 돌리려면 국내의 기준금리도 큰 폭으로 인상하거나, 외국 투자자들의 투심이 살아나야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22
0
0
금리인상하면 집값.주식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를 인상한다고 하여 무조건 자산시장의 하락을 이끄는 것은 아닙니다.오히려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은 경기가 버텨줄 체력이 된다는 것을 반증하는 지표로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또한 현재 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한 상황에서 25bp 인상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매년 물가는 오르는데 쌀값은 왜 떨어질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간 1인당 쌀소비량은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수요와 공급에 법칙에 의해서 공급은 유지되지만 수요가 감소하여 쌀값은 하락하게 됩니다.또한 쌀은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해가면서 공급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이 줄어들가능성도 매우 낮아 쌀 값은 지금보다 떨어지거나 유지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국내 주식 배당락이 미국보다 크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 주식의 배당락일에 하락폭이 더 크게 느껴지는 이유는 국내 주식은 대부분 1년에 한 번만 배당하는 경우가많지만 미국은 분기별, 반기별 배당하는 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이 있습니다.따라서 배당락일에 국내 주식은 1년치가 한 번에 떨어져서 크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반면 미국은 1년에 2~4번 나눠서 떨어지기 때문에 그 폭이 적어 보이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잭슨홀 미팅은 언제 시작되고 무엇을 하는 모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978년도 부터 매년 8월에 열리기 시작했습니다.잭슨홀미팅에서는 주로 경제정책이나 금융시장에 관한 연구 및 향후 전망들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자리입니다.경제학자와 중앙은행 총재들도 참석하기 때문에 이 미팅에서 언급되는 정책들은 실제로 실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또한 현재 경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시각도 알 수 있어서 향후 경제정책 방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경제 예측이 어려운 만큼 해당 미팅의 결과를 보고 향후 금리의 방향이나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08.22
0
0
기준금리와 대출금리의 괴리??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돈의 원가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대출금리는 이에 마진을 붙여 판매하는 개념이라서금리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다만 금리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은 은행마다 수익을 챙기기 위함이기 때문에 은행의 수익을조금 줄이고 고객 친화적인 대출금리를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오늘 부터 모든 은행의 예대금리차가 공시되니 무분별하게 대출금리를 올리는 은행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2
0
0
DSR규제에 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무분별한 대출을 막아 향후에 차주들의 단체 부실위험을 줄이고자 DSR규제를 통해 대출의 총량을 조절하는 정책을 폈습니다.지난 정부의 생각은 소득수준에 맞는 집을 구매하는 것이 맞다는 취지였습니다. 하지만 현재는질문자님의 말씀처럼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상황에서 거래가 위축될 수 밖에 없습니다.DSR의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규제를 풀어주면 고금리 시대에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있어서 현정부에서도 이를 가볍게 대처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22
0
0
AI는 무슨 지표를 보고 매수와 매도를 결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로보어드바이저가 어떤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하는지는 각각의 로보어드바이저 회사마다 상이 합니다.또한 방대한 데이터를 딥러닝을 통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히기도 어렵습니다.다만 좋고 나쁨을 인지하여 성장하는 형태로 인간이 발전을 시켜갈 것입니다.현재 로보어드바이저의 단점으로는 투자를 중단하는 선택지는 없다는 부분 입니다. 대부분 증권사와 협업하여상품을 만들다 보니 무조건 투자하는 방향으로만 설정이 되어 있는점이 아쉬운 부분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22
0
0
3241
3242
3243
3244
3245
3246
3247
3248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