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집 인테리어비용 사업자 번호로 세금 계산서 발급 받으면 문제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업과 무관한 매입세액은 매입세액 불공제대상으로 부가가치세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매입세액 공제를 받으신 상태에서 이 사실이 적발될 경우 관련세액이 추징됨가 동시에 가산세가 함께 부과될 것입니다. 보통 양도소득세 계산 시 취득원가로 인정받을 수 있는 비용은 부가가치세를 포함하므로 이때 함께 비용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양도소득세 계산 시 인테리어비용은 재건축 등과 같은 자본적 지출에 해당하는 비용이 아닌 내부 인테리어 공사비용일 경우 인정받기 힘듭니다. 따라서 해당 여부를 잘 판단하셔서 인정받을 수 있는 부분들은 개인 주민등록번호로 세금계산서를 끊어서 증빙으로 보유하고 계시다가, 차후 양도소득세 계산시 필요경비로 인정받으시면 되겠습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8.03
0
0
종합소득세신청 기간을 놓쳤어요. 벌금 무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마 사업소득으로 아르바이트 대금을 지급받으신 것 같은데, 이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사업소득으로 3.3% 떼인 금액들(원천납부세액)과 1년간의 총 사업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비교하여 앞의 것이 클 경우 환급세액, 뒤의 것이 클 경우 납부세액이 발생할 텐데, 6개월에 대한 알바의 소득이 그리 크지 않으시다면 보통 환급세액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납부세액이 0원이므로 그에 따른 무신고가산세도 없고 기한 후 신고를 통해 환급받으시면 되지만, 혹시나 그 금액이 크거나 원천징수된 세액이 없을 경우 납부세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무신고 가산세(납부세액의 20%)를 추가로 납부하셔야 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8.03
0
0
미수금을 기말 회계처리할때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의 요지를 잘 모르겠지만, 수익과 미수금이 일치할 경우 그 미수금은 보통 수익과 함께 잡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미 존재했던 미수금을 차감하려면 미수금이 대변에 와야하는데 이때 같은 대변에 존재해야하는 수익과는 양립할 수 없습니다. 미수금과 수익이 발생하는 상황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미수금 35,000 / 자산 30,000 / 수익 5,000이거나미수금 30,000 / 수익 30,000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8.03
0
0
종합소득세신고 안해도 되는지?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출이 별로 없어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필수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환급세액이 발생하실 경우엔 기한 후 신고를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지만, 만약 신고를 하지 않으신 기간동안 납부세액이 발생하실 경우 해당 납부세액의 20%를 추가로 무신고가산세로 부과하고, 납부기한으로부터 실제 납부일까지의 기간동안을 계산하여 납부불성실가산세도 부과하게 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는 말 그대로 '신고'를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세목이므로 통지되지 않는다 하여 신고를 하지 않으실 경우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는 점 유의하셔야 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8.03
0
0
제가 깜빡하고 부가세를 못냈어요 ㅠ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부가가치세 납부기한은 7월 27일이므로 납부기한으로부터 실제 납부일 까지 납부불성실가산세가 붙게됩니다. 납부일에 따라 그 가산세액도 결정되므로 가까운 세무서에 방문하시거나, 담당 세무서 공무원에게 전화하셔서 정확한 금액을 파악하신 후 납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금·세무 /
부가가치세
20.08.03
0
0
프리랜서 홈택스 꼭 가입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꼭 홈택스에 가입하지 않더라도, 인근 세무서에 직접 방문하시어 관련 세무업무들을 처리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홈택스에 가입하시어 홈택스를 통해 전자신고하실 경우 훨씬 편하고 간단하며 빠르기 때문에 다들 추천하는 것 같습니다. 프리랜서의 경우 관련 사업소득지급명세서들이 홈택스로 전자집계되기 때문에 홈택스를 이용하시는 편이 차후 소득세 신고 시 훨씬 편리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8.03
0
0
소득신고를 (2018년도)안했드니 세무소에서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2018년에 대한 종합소득을 신고하지 않으셨으므로 우선 무신고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이는 18년도의 소득금액에 대하여 환급세액이 아닌 납부세액이 발생할 경우 그 납부세액의 20%만큼을 추가로 가산세로 납부하셔야 하며, 2018년 5월 말까지 납부하셨어야할 금액을 지금까지 납부하지 않으셨으므로 18년 5월말부터 지금까지의 날짜만큼 납부불성실가산세를 계산하여 이 또한 추가로 납부하셔야 합니다. 즉 무'신고'와 무'납부' 각각에 대하여 가산세를 납부하셔야 하므로 납부세액이 발생하신 경우 하루빨리 기한 후 신고와 함께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기한 후 신고 시 증빙 불가능한 경비는 인정받기 힘드시므로 꼭 증빙자료들을 구비하셔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7.30
0
0
양도소득세가 나올텐데, 적게나오게 지금 해야할 일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조세특례제한법 제69조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감면 규정에 따르면 8년 이상 해당 지역과 인접, 근접한 지역에 거주하시면서 '직접' 경작을 하셨을 경우 양도소득세를 일정한도 내에서 100% 감면해주는 규정이 있습니다. 그 감면범위가 매우 큰 만큼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므로 현재 가진 정보로는 그 여부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까운 세무사 사무실에 방문하시어 해당 규정의 적용 여부를 판단해보시거나 직접 해당 규정을 찾아보시어 판단해보시고 해당 감면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되실 경우 양도를 진행하시면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해당 요건을 충족시키신 후 양도하시면 그 세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감면액이 한도를 초과할 것 같다고 생각되시면 분할하여 여러 해에 걸쳐 양도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30
0
0
아파트를 부인한테 이전 하려고 합니다. 세금에 대해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혼 전에 증여를 하셔야한다면 부부 간 증여재산공제액의 한도는 6억원이므로 6억원까지의 재산에 대해서는 증여하셔도 증여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이혼 후 이를 양도하실 경우, 1세대 1주택에 해당하시고 2년 이상 보유하셨을 경우 비과세가 됩니다. 1세대 1주택이 아닌 다주택자인 경우에는 그 양도차익에 대하여는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6억원 이내에서 최대한 자산의 평가액을 높게 잡아 신고하시면 차후 양도 시 양도소득세를 낮출 수 있는 것입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30
0
0
조부로부터 증여받은 주택을 5년보유후 매매하면 양도소득세 대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2주택 중 1주택을 양도하셨고 증여받은 1주택만 5년 째 보유중이시므로, 증여받을 당시부터 조정대상지역이었다면 2년 보유, 2년 실거주 모두 충족하셔야 하고 조정대상지역이 아니었다면 2년 보유할 경우 1세대 1주택 비과세규정을 적용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7.30
0
0
1558
1559
1560
1561
1562
1563
1564
1565
1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