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연준의 금리와 물가지수 목표치는 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 목표는 2~3%대, 금리는 5.25%로 예상합니다. 금리는 경제 상황에 따라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년 금리 예상은 점도표의 중간값으로 추정하는데 이번 회의시에 아마 떨어질 가능성도 있을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4
0
0
이번 fomc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지금 기준으로 50bp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25bp를 올리면 좋겠으나,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한국은 올해 금리 회의가 끝났습니다. 내년 1월에 개최하는데, 아마 올릴것 같습니다. 안올릴경우 한미 금리차이가 1.25 이상이 발생되므로 25bp 정도 올릴거라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4
0
0
경제기본지식이라는데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의 의미는 무엇일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물가 상승이 아닌 5프로 이상의 물가 상승율이 발생했을때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물가가 하락되는 현상입니다. 보통 경기 침체가 되면 디플레이션에 빠졌다고 합니다. 일본이 장기적으로 디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인플레이션 현상입니다. 보통 경기 침체면 디플레이션에 빠지는데, 이상하게 인플레이션이 유지 되는 현상입니다. GDP 성장율은 마이너스 이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더이상 금리 인상의 효과가 볼수 없는 최악의 상황이라 볼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장기간 유지 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집니다. 그래서 전세계 모든 정부에서도 스태그플레이션을 피할려고 하는것이 주 목적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4
0
0
주식상장빔을 이용한 돈벌이는 끝났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상장빔은 보통 증시가 활황일때 나오는 현상입니다. 지금은 코로나 이전 수준보다 거래대금이 역대 최저 수준이고, 주식 자금이 대부분 예금 채권으로 이동 중이므로 상장빔이 나올수 없는 상황이라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형 IPO도 없기 떄문에 힘듭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CPI 발표 뉴스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CPI는 소비자 물가 지수 입니다.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동안 연준이 4회연속 자이언트 스텍(75bp) 올린 이유가 바로 CPI 급등이었기 떄문입니다. CPI 가 피크아웃이 된다면 연준도 금리 속도 조절을 할수 밖에 없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4
0
0
인플레이션에 대한 설명을...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 현상입니다. 주요 요소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에너지,식료품,주거,의료, 자동차 등 몇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보통은 2~3% 상승이 이상적이나, 지금은 7% 이상 고물가 현상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체감되는 부분은 아마 자동차 유가나 식료품이나 외식비를 보시면 체감 하실수 있을겁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식당에 가면 8천원 정도면 한끼 해결 가능했으나, 요즘은 만원이 거의 최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죠. 그만큼 물가 상승이 크게 되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4
0
0
미국 cpi 발표는 매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니요. 6주간격으로 진행함니다. 매달 하는가 아닙니다 연준 12명 인원이 결정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4
0
0
비상장회사들이 상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상장으로 투자금 확보 목적입니다. 두번째는 주가 상승으류 지분 매각을 통해 자금 확보 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왜 한국 금리도 올려야 합니까 내리면 않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젤 큰건 금리차로 인해 국내 투자금 유출되는게 문제 입니다. 1프로 이상 차이가 나면 위험합니다. 그래서 미국 금리에 의존 적일수 밖에 없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4
0
0
오늘 발표하는 CPI 와 며칠전 발표된 PPI 상관 관계??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PPI는 약간 후행적 지표입니다. CPI는 좀 더 선행지표로 보여지구요, PPI가 높다고 해서 CPI로 바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정리하면 큰 상관관계는 없지만, 어느정도 후행지표로서 PPI가 늦게 반응 하는것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2.12.13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