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일본의 양적완화는 아직도 진행 중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일본은 양적완화를 진행 중입니다.일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마이너스로 쉽게 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일본의 국가 부채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56%에 달할 정도로 최고 수준이며, 금리를 올려버리게 되면 경제 역성장이 예상되어 쉽게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9.09
0
0
GDP 성장률은 물가를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GDP 성장률과 물가는 다른 개념입니다.GDP란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 안에서 생산되는 재화 혹은 서비스의 시장 가치의 합을 의미합니다.즉, GDP 성장률은 실질 GDP를 이용해 구하는 것입니다.물가가 오를수록 명목 GDP가 오르기는 하나, 실질 GDP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GDP 성장률 자체가 물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09
0
0
미국 부채시계는 왜 등장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맨해턴에 있는 '부채 시계(debt clock)'은 뉴욕의 부동산 개발업자인 세이무어 더스트가 미국 국채에 대한 경각심을 알리기 위해 설치한 것입니다.기존에는 타임스퀘어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후에 맨해튼으로 이전되게 되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09
0
0
미국이 제조업을 자국으로 끌고 들어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해외로 진출했던 기업이 다시 자국으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는 '리쇼어링'입니다.미국이 제조업을 자국으로 끌고 오려는 이유는 1. 글로벌 경제 상황 변화 속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2. 해외 인건비 상승3. 반도체와 같은 핵심 기술의 유출 차단 등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09.09
0
0
루보 주가조작 사태가 정확히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루보 사건'은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총 6개월 간 진행된 주가 조작이며, '제이유그룹' 부회장이 다단계 방식과 투자설명회를 열어 투자자를 끌어모으고, 자금 1441억원을 이용해 728개의 차명 계좌를 만들었습니다.이러한 자금을 이용해 주가를 끌어올렸고, 투자자들에게는 통장 비밀번호 등을 알려주지 않아 매도를 못하게 막았고, 이에 따라 주가가 급등하자 매수세가 붙어 주가를 1185원에서 5만1400원까지 끌어올렸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09
0
0
금호 그룹은 한 때 재계 7위던데 몰락한 배경?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호 그룹이 몰락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무리한 M&A라고 볼 수 있습니다.박삼구 회장이 2006년에 국내 최대 건설회사인 대우건설의 주식 72.1%를 6조 4255억 원에 인수하고, 2008년 4조 1000억 원을 투입해 대한통운을 인수하였지만 2008년에 리만 브라더스 사태가 터지면서 글로벌 금융 위기가 발발되어 경기가 급격히 안좋아지자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09
0
0
IMF의 구제금융에는 요구 조건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IMF의 구제금융 조건으로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1. 재정ㆍ통화 긴축을 통한 경상수지 개선과 물가안정2. 금융시스템의 신뢰회복을 위한 금융 기관 구조조정3. 시장기능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 를 요구하게 됩니다.
경제 /
대출
23.09.09
0
0
금리인하가 되면 자산시장은 살아날 수 밖에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가 많이 낮아질수록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게 됩니다.즉, 기준금리가 낮을수록 시장에서 유동성이 확대되기 때문에 자산시장 역시 살아날 확률이 높습니다.다만, 지속적으로 유동성이 과잉 공급되면 버블이 낄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경제 /
대출
23.09.09
0
0
어닝미스는 무엇인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각 기업에서 실적을 발표하기 전에 증권사 등에서 매출/영업이익 등의 추정치를 발표하게 됩니다.실적이 이런 추정지보다 하회할 때, 어닝 미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됩니다.어닝 쇼크는 전망치보다 훨씬 많이 하회할 때, 쓰이는 단어로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쇼크'이기 때문에 주가에 큰 타격을 주게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9.09
0
0
장기투자는 무조건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장기투자는 종목 선정 역시 중요합니다.기업의 성장성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장기 투자한다고 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상장폐지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따라서, 증시 동향에 대해 공부하셔야 하며 투자하기 전에 해당 기업에 대해 충분히 공부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9.09
0
0
1342
1343
1344
1345
1346
1347
1348
1349
1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