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꿀벌4590
꿀벌459023.09.09

금리인하가 되면 자산시장은 살아날 수 밖에 없나요

뭔가 금리가 대출과 연관이 많아서

금리가 싸지면 사람들이 대출을 많이받아서

자산투자를 많이 할 것 같은데요

금리가 인하되면 자산이 상승하는것은 필연적인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많이 낮아질수록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즉, 기준금리가 낮을수록 시장에서 유동성이 확대되기 때문에 자산시장 역시 살아날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유동성이 과잉 공급되면 버블이 낄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가 되면 시장에 화폐공급량이 늘어 경기가 활성화되고 고용이 촉진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말씀해주신대로 대출이 수월해지기 때문에 개인의 대출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대출을 통한 투자도 많이 이루어져 시중 통화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로 저금리 시기에는 자산 가격이 오릅니다. 다만 경제위기로 금리가 인하되는 시점은 자산이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리가 인하되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같은 자산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 따라서 자산의 가치가 변함이 없다고 가정할 때 금리가 내려가면 가격은 상승하는 것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와 부동산(자산)과의 관계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금리인하가 부동산의 가격 상승으로 필연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대출 금리가 낮아지고 부동산 구매자들이 대출을 더 쉽게 얻을 수 있고, 더 낮은 이자로 주택 구매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동산 수요가 증가하며,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금리인하가 부동산의 가치상승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금리 인하가 지나치게 이루어지면 부동산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부동산 버블 형성 우려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정부나 중앙 은행은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필연적이기보다는 자산시장이 상승할 확률이 높은거죠. 금리가 싸지면 이자비용이 줄어들어 돈을 빌려쓰기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그 돈이 자산시장으로 흘러갈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인하를 꾸준히 하면 시중 유동성이 많이 풀려 부동산 주식등이 살아나는건 필연적인게 맞는거 같습니당!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는 대출이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기업과 개인이 저렴한 자금을 빌려 투자하거나 소비를 촉진할 수 있게 됩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되고 소비가 증가하여 경제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가 인하된다면

    저금리에서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자산으로

    자산이 이동되는 등 자산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를 하면 유동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자산시장이 상승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금리 인하를 하게 된 이유를 고려해야만 합니다. 경기 침체가 너무 강하게 나타나서 금리를 인하한다면, 기업들이 실적이 크게 악화되어 금리를 인하 했음에도 주식시장은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금리 인하 -> 시중 통화량 증대 -> 투자시장으로의 유입이 일어남에 따라 어느정도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이 '유동성 장세'가 나타나 살아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를 한다는 것은 시장에 화폐의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렇게 시장에 화폐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에 따라서 시장의 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면서 다른 자산들의 가치는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