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경유값이 왜 안떨어지고 휘발유와 가격차이가 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우리나라 절대적인 세금 감면의 폭이 경유가 휘발유보다 적습니다. 두번째는 미국에서 생산하는 오일에서 휘발유가 많이 생산되고 경유는 적게 생산이 됩니다. 아시다시피 러시아 원유는 유통이 어렵습니다. 또한 선박에서 벙커C유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환경규제로 인해 경유를 섞어쓰게 됨에 따라서 수요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쌀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1
0
0
북한 경제 안 좋은 이유에 대해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북한의 경우 3대 세습체제로 인해 비판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통로를 잃었습니다. 경제 정책도 마찬가지고요. 또한 북한의 경우 국방비의 막대한 지출 및 미국의 무역제재로 큰 이유를 들수 있습니다. 따라서 김정은 체제에서 국방비를 줄이고자 핵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이를 이용해 무여제재도 풀려고 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1
0
0
주식의 per가 낮으면 실질적으로 시장에서는 저평가로 평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로 볼수 있으며 Per가 낮으면 저평가로 보는 경우도 많지만 사실 미래 전망이 안좋기 때문에 PER가 낮은 경우도 허다합니다. 단순히 PER가 낮다고 투자하시면 안되고 기업의 여러 조건을 함께 확인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금에 투자하는 이유는 단지 시세차익을 얻기위한 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세차익을 얻기도 하지만 위험리스크 분산차원에서 투자하기도 합니다. 또한 금투자시 금예금으로 투자하신다면 수수료도 절약이 가능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금투자 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물금을 사는 것 보다는 일반 시중은행의 금예금을 사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실물금을 산다면 부가가치세가 붙지만 금예금으로 투자할 경우 관련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갑자기 환율이 떨어진 이유가 경제와 관련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주식시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지금 중국이 엄격했던 코로나 정책을 완화하고 있는 입장임으로 해외 투자가들이 중국 주식시장에 리턴하고 있는 모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중국 상황에 맞춰 해외 투자가들이 리턴함으로서 환율이 떨어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1
0
0
달러 패권은 유지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여러가지로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얼마전에는 중동국가와 석유 대금 결제시 위안화로 한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석유 대금을 달러로 지급하도록한 미국-사우디 간의 밀월관계도 종식이 온다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물론 미국입장에서는 추가적인 대책을 내놓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미국주식 공부를 할려는데 정보를 어디서 얻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Inveting.com에서 내용을 많이 확인 하는 편입니다. 미국 선물 시세도 확인가능하고 각종 기업 정보에 대해서도 잘 나와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경제관련된 공부를 해보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보자용으로 맨큐의 경제학을 추천합니다. 경제학원론책으로서 경제학과에서 배우는 책이지만 실례 중심으로 잘쓰여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쟁은 장기적으로 갈 예정이며 쉽게 끝나지는 않을 예정입니다.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견해차이가 큰것이 원인이지만 미국이 이번전쟁을 장기적으로 끌고 가서 러시아의 국력을 소진시키고자 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0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