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화이어나갈때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시어머니가 말할 때 맞받아 친다기 보다는 그냥 장단을 맞쳐 드리면 될 것 같습니다. "ㅇㅇ는 이렇게말할때가 있어~~" 라고 하면 " 아 그래요? 또 머라고 말을 하던 가요? 대단 하네요 등과 같이 그냥 장단을 맟춰 드리면 될 듯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11
0
0
재고 실사라는 말을 영어로 하면 어떻게 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재고는 우선 영어로 stock 이나 invemtory 라고 하는데 그 차이점은 Stock은 판매를 위한 상품이나 자원의 양을 의미하는 반면 Inventory는 판매 상품 뿐 아니라 전체적인 재고 자산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표현이기에 보통 포괄적인 재고 실사는 Inventory Audit 이라고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11
0
0
1인칭시점의 소설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1인칭 주인공 시점은 주인공이 '나'라는 1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전개하기에 독자에게 친근감과 신뢰감을 주고 화자의 내면적 갈등이나 감정 등의 심리 변화를 생생하게 전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론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습니다. 주인공의 주관적 시각으로 인해 이야기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지만 또한 반면에 깊은 몰입감을 줄수 있다는 장점도 있기에 선호도가 높은 것 같기도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09
0
0
'물극필반'의 뜻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물극필반 (物極必反)이란 사물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대로 간다는 의미로 사물이나 형세는 고정불변인 것이 아니라 興亡盛衰(흥망성쇠)를 반복하게 마련이라는 뜻도 담겨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동의어로 ‘세력이 강성하면 반드시 약해지기 마련이다라는 의미의 勢强必弱(세강필약) 이라는 하잔 성어도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5.07.08
0
0
소설들은 각 나라의 정서가 반영되어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나라 별로 소설의 특생이 다양 한 듯 합니다. 중국 소설은 역사적 사건과 영웅 이야기를 소재로 삼고, 권력 투쟁등도 소재가 되며 일본 소설은 보다 섬세한 인간 감성을 주로 다루고 미국 소설들은 집단 보다는 개인의 자유와 정체성을 주요 소재로 다루는 특징이 있는 듯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07
0
0
고전문학을 현대인이 읽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고전 이라고 부르는 작품들은 시대와 문화가 다르더라도 보편적인 진리를 전달 합니다. 작품 속의 주인공들이 겪는 갈등이나 번민등은 현재의 우리 각자의 자주 마주하는 문제들이며 이러한 작품들은 단순히 책에서만 나오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기에 독자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며 성찰 할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 입니다. 고전은 시간이 흐르더라도 여전히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에 현대의 독자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기에 우리는 고전을 읽어야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05
0
0
책을 번역하는 사람은 자기가 해석한대로 약간 의미를 다르게 표현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네 그렇습니다. 책을 번역 할 때는 번역가의 의견이나 개인적인 지식이 들어 가기도 합니다. 번역가의 창의적인 능력이 요구 되기에 번역을 우리는 제 2의 창작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AI 가 접근 하기 어려운 부분 이기도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05
0
0
언어를 아는 것과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언어와 우리 사고 방식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언어를 통해서 우리 어떤 상황을 분류화 하고 특정한 표현을 기억 하며 논리적 추론을 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기술이나 개념이 생겨 나면 그것을 표현 하는 새로운 단어들이 나타나고 이를 통해 정보가 습득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 하고 이러한 사고를 통해서 언어에도 상호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학문 /
문학
25.07.05
0
0
장발장이 레미제라블의 부분집합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장발장> 은 빅토르 위고가 1862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 레미 제라블>에 나오는 인물이며 소설의 주인공인데 우리 나라에서 번역 되어 소개 될 떄 레미 제라블로 번역 되지 않고 주인공 이름인 장발장을 그대로 사용 해서 번역 된 것 입니다. 레미 제라블은 원래 불쌍한 사람들 이라는 의미 입니다.
학문 /
문학
25.07.05
0
0
말을 할때 단어선택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말을 할 떄 주제에서 약간 어색한 단어를 선택 한다면 결국 다른 사람들의 예기를 잘 않듣 는다는 예기 입니다. 우선 다른 사람들이 상황에 맞는 단어 선택을 어떻게 하는지 유심히 지켜 보고 마음에 새기다 보면 나중에 본인도 모르게 자연스러운 단어 선택이 가능 할 듯 합니다.
학문 /
문학
25.07.05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