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 역사에서 사주팔자 또는 토정비결 등 역술이 언제부터 등장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단 토정비결과 관상학에 대해서만 말씀을 드릴게여. 토정비결은 미래를 예측하거나 점을 치는 방법을 적어둔 책으로 점술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토정비결은 중국 점술의 기반이자 동양 철학의 큰 영향을 준 주역을 기초로 두어 음양설을 따르는 책으로 중국의 주역과 흡사한 점은 많으나 완전히 같지는 않다고 합니다. 특히 점괘를 보는 계산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하네여. 토정비결은 사람의 생년월일로 그해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방법을 다루며 토정비결의 제목은 조선의 학자 이지함의 호 토정에서 따 온 것인데 그는 신기하게도 1517년에 태어나 1578년 정확하게 환갑의 나이에세상을 떠났다고 하네여. 그는 자신의 아내에 관한 예견과 임진왜란과 임진강의 범람, 자신의 죽음까지 예견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지함은 생활도 기인처럼 흙담집에 살아 호가 '토정(土亭)'이 됐다고 하지요.점술과 의학에 능한 것으로 소문이나 이지함을 찾는 사람들이 당시 많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관상학은 중국에서 도교를 수입하며 관상학을 처음 접했다고 합니다. 중국의 관상학이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수입된 것은 7세기 초 신라의 선덕여왕 때이구요. 당시의 스님들이 달마상법을 배워 고관대작들의 상을 보고 미래의 일을 점을 쳐 주었다고 하구요. 영화 관상에서도 유명하게 된 말" 내가 왕이 될 상인가?" 라는 대사처럼 고려 말 승려 혜징이 이성계의 상을 보고 왕이 될 것을 예언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우리나라 최초 버스회사는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 민국 최초의 버스는 1911년 한 일본인에 의해서 수입되어 운행된 8인승 버스라고 하네여. 마신시와 삼천포를 왕복하는 버스였구요. 이에비해 대한 민국 최초의 버스회사는 1931년 경성유람합승자동차회사가 한일합자로 설립되어 16인승짜리 버스 4대로 지금의 소공동 조선호텔 근처에서 시내 운행 영업을 처음으로 했다고 하며 운행 초기 당시 요금은 성인 2원 20전, 어린이 1원 50전을 받고 운행을 했다고 합니다. 당시 쌀 한가마 가격이 13원이였던걸 감안하면 상당히 비싼 가격이였을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1.08
0
0
1950년 6월 25일 발발된 전쟁의 정식명칭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6.25 전쟁, 6.25사변이라고도 했는데 요즘은 한국전쟁으로 명칭이 고정화 되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영어로도 Korean War 라고 하니 그게 맞는것 같기도 하구요. 북한에서는 한국전쟁을 조국 해방 전쟁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파이팅! 과같은 외국인은 의미를 모르는 외래어는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주변에 틀린 영어 표현인데 습관적으로 쓰는 표현들이 많이 있지요. 예를 들어 eye shopping 도 window shopping 이 되야 하지요. 또 흔히 운동 선수들 등번호를 back number 라고 하는데 사실 uniform number 라고 하는게 맞는것이구요. 또 텔레비젼의 볼때 리모트(remote)라는 것도 리모트 콘트롤러( remote controler) 라고 하는게 맞구요. 땡처리 의미인 바겐세일 ( bargain sale) 이라고 하는것도 claearance sales 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시험 볼때 하는 컨닝(cunning) 이란 뜻도 사실 cheating 이라고 해서 남을 속이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외에도 생각해 보니 너무 많이 있지만 이정도만 말씀드릴게여.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드라마 대장금의 장금이는 실존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드라마 대장금의 실재 이름은 서장금이라고 하네여. 실록에도 나와있는 걸 보니 실존 인물인것 같습니다. 중종실록에는 대장금의 본명은 서장금이었고 중종의 병을 고쳤다고 하니 의술이 상당히 뛰어난걸로 보입니다. 중종의 주치의가 되면서 일명 대장금(大長今)으로 불리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서장금은 중종의 총애를 받은 천민 출신의 의녀로 기록되어 있지만 출생연도나 개인 인적사항등 상세한 내용은 없습니다. 다만 중종(中宗)의 총애를 받은 천민 출신의 의녀로 기록되어 있어 서장금은 중종의 어의녀, 즉 중종의 주치의 역할을 담당 했다고하며 기록에 등장하는 많은 의녀 가운데 유일하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악당을 뜻하는 빌런의 어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빌런 (villian)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villanus(농장일꾼)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villa(고대 로마의농장)에서 일하는 인부라는 뜻에서 나왔지요. 그러니까 원래 농민을 뜻하는 말입니다. villa에서 유래된 단어가 하나더 있는데 , 바로 농민이 사는 곳, 즉 마을(village)인데 우리가 흔히 예기하는 아파트, 빌라할 때 그 빌라 입니다. 중세시대 영주들과 귀족들의 횡포에, 기아와 노동으로 언제나 흙투성이 얼굴, 거름 냄새를 풍기는 농민들은 도시민들에게도 차별을 받게 되었으며, 실제로도 농민 중에서는 범죄 행위등에 가담하는 사람도 많았다고 하네여. 결국 농민들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빌런은 악인이라는의미로 변하게 되지요. 이는 한국말로는 '상놈' 혹은 '못된놈' 이라는 뜻이되겠네여. 감사합니다.
학문 /
철학
22.11.08
0
0
군사정부, 문민정부.. 지금은 무슨 정부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 과거에는 정부를 칭할 때 당시 정권의 국정 기조나 철학이 담긴 이름으로 불렀자요. 전두환 군사정부, 김영삼 정부는 ‘문민정부’, 김대중 정부는 ‘국민의 정부’, 노무현 정부는 ‘참여정부’로 불려졌지만 17대 대통령부터는 정부 명칭을 별도로 정하지 않고 대통령 이름을 붙여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로 지칭했습니다. 이번에 출범한 정부도 별칭을 두지 않고 ‘윤석열 정부’로 하기로 했다고 하네여.
학문 /
역사
22.11.08
0
0
영어로 인사말을 하고 싶어요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볍게 시간에 상관없이 하는 인사말은 그냥 간단하게 Hi(하이) 하고 지나가면 됩니다. 반말이 아니니까 걱정하실 필요 없고 더 친한사람이면 Hey(헤이) 하고 반갑게 손흘둘고 자나가면 됩니다.
학문 /
역사
22.11.08
0
0
북한은 미사일 도발 비용을 어디서 충당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과연 북한은 마사일 발사비용에 얼마 정도의 돈을 쓸까하는 궁굼증에 자료를 찾아봤더니 2016년 기준 북한 국방비가 GDP(국내총생산) 대비 세계 1위였다고 합니다. 또한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에 최소 10억 달러(약 1조1200억원)에서 최대 30억 달러(약 3조3600억원)를 사용한 것으로 분석이 됬답니다. 단거리 스커드 한 발이 100만~200만 달러(약 11억2200만~22억4500만원), 중거리 무수단 한 발이 300만~600만 달러(약 33억6800만~67억3400만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은 한 발당 500만~1000만 달러(약 56억1200만~112억2400만원) 등의 비용이 들지요. 그럼 도데체 어디서 이런 돈이 나올까요? 해외에서 외화벌이를 통해 벌어들이는 돈도 있겠지만 이는 한계가 있을 겁니다. 결국 죽어나는건 북한 주민들이지요.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돈을 환수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시장 활동에서 생기는 수익들을 각종 세금과 사용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재정으로 흡수하는 방식을 취해 왔습니다. 북한은 전체 예산의 15-20% 정도를 국방비로 책정하는데 그중 대부분이 햑무기 개발등을 위한 기업지원등의 용도로 씌여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븍한의 자금차단 뿐 아니라 아제는 북한 경제체제 자체를 고사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북한이 이런식으로 돈낭비를 할수 있을지 궁굼해 집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1.08
0
0
옛 구전동화는 어떻게 전해오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선 구전동화는 전래동화와 같은 개념으로 봐야 할것 입니다. 그 이유는 전래동화란 옛날부터 전해 온 것(문헌 전승, 구전 전승 모두 포함)으로써 아이들의 동심을 그 바탕에 깔고 있는 이야기 입니다.그러므로 누가 만들었는지 그 유래나 기원은 확실치 않습니다. 다만 설화혹은 민담의 일부가 변형되어서 생겼다는 것이 주된 학설입니다.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선녀와 나뭇꾼> <금도끼 은도끼><견우와 작녀>등아 았지요. 누구나 어린시절 한번쯤은 접해봤을 이야기들이지요.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07
0
0
2404
2405
2406
2407
2408
2409
2410
2411
2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