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약·영양제
의료상담
평소에 소화가 너무 잘 안 되는데요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소화기능의 경우 먼저 내시경 검사를 받아 특별한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것을 권유드립니다.별다른 이상이 없을 경우, 가까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 소화기 관련 진료를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기타 약료상담
23.01.30
0
0
한약 복용 시 부작용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한약도 약물인 만큼 오남용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따라서 인터넷에서 스스로 처방을 찾아 달여 먹는다면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아스피린의 효과를 노리고 버드나무 껍질을 달여 먹는 것과 다를 게 없습니다.한약 복용시에는 한약의 전문가인 한의사의 상담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30
0
0
한방병원서 침만 맞으면 엄청피곤한데..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 침 시술 이후 부교감신경의 작용으로 나른한 느낌이나 졸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그러나, 일상에 영향을 줄 정도로 피곤한 느낌이 심하다면 시술한 한의사 선생님과 상담해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의료상담 /
한의학
23.01.30
0
0
은단의 많이 먹으면 은피증이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은피증은 은을 과량 섭취하거나 노출되어 피부, 눈, 점막 등이 푸른색이나 회색으로 바뀌는 질병입니다.은단을 많이 먹는 경우에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하니,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삼가해야겠습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30
0
0
골다공증에 좋은 약재는 무엇이 있을까요? 뼈가 자주 삐어서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말씀하신 증상은 골다공증과 관계가 있다기보다는 잦은 염좌로 관절에 불안정성이 생긴 걸로 추정됩니다.가까운 한의원/한방병원에서 자주 삐는 증상에 대해 상담해 보시길 바랍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30
0
0
아이들 면역력 위해 한약 먹이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한의원/한방병원에서는 소아 환자의 연령에 따라 약물 용량을 조절해 투여하고 있습니다.나이를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제가 근무했던 병원에서도 다양한 연령의 소아들이 진료를 받았습니다.좋은 처방과 함께 자녀분이 건강하게 지내시길 바래봅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28
0
0
한약복용에 궁금한 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한약 처방의 전문가는 한의사이고, 질문자님의 질병과 건강상태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도 한의사 선생님입니다.주변 분들에게 상태를 설명하고, 한의사보다 더 나은 설명을 해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그렇지 않다면 귀담아 들으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28
0
0
왜 일반 의사 선생님들은 한약을 먹으면 안된다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한약이 무슨 작용을 하는지, 뭘로 만드는지 배우지도 않고, 알고 싶어 하지도 않아서 그렇습니다.모르는 상황에선 환자에게 먹지 말라고 하는 게 가장 쉽고,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니까요.오은영 박사님이나 꽈추형 홍성우 선생님이나 여에스더 선생님 등이 한약재로 건강기능식품 상품을 만드시는 걸 보면, 아시는 분들은 이미 손대고 있다는 걸 알수 있는데도 말이죠.한의사들은 특정 상황(와파린 복용을 하거나 수술하기 전 상황 등) 에서 어떤 한약재와 처방을 사용해서는 안 되는지 파악하고 있고,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습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28
0
0
약국이나 마트에서 파는 쌍화탕은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약국과 마트에서 판매하는 쌍화탕은 조금 다릅니다.약국에서 판매하는 쌍화탕은 일반의약품으로, 반드시 원래 쌍화탕의 구성을 따라야 합니다.마트에서 판매하는 쌍화탕은 음료로, 쌍화탕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으며 효과가 있다고 보장하지 않습니다.쌍화탕은 소화기가 약한 경우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료처럼 마시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약·영양제 /
한약
23.01.27
0
0
우리사람들은계절관계없이감기는왜걸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한방내과 전문의 김경묵입니다.감기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에 의해 상기도가 감염되어 나타나는 급성 감염병입니다.바이러스에 의해 걸리는 질환인 만큼 반드시 추워야만 걸리는 질환은 아닙니다.다만 추울 때는 보통 체온이 떨어지므로 이로 인한 면역력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상태가 됩니다.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기타 약료상담
23.01.27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