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트럼프가 이대통령에게 관세 협상을 가장 잘한 리더라고 평가했는데 이유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한국과 미국의 관세협상이 타결되었고, 이에 대해서 우리나라 언론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보입니다.현재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도 11월을 기점으로 15% 적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협상과정에서 전략적 주도권을 유지하고 연간 투자 한도 및 수익 배분 조항 등에서 균형잡힌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물론 관세정책이라는 것 자체가 불공정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나, 현재 미국의 정책 속에서 대응을 해야한다는 측면에서는 최선의 노력을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일본믄 이번 관세 협상에서 망한거 같던데 사실일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일본의 협상안이 망했다(?)라고 표현하기는 힘듭니다. 다만, 국내외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협상이 더 잘했다는 평가가 많은 것을 보입니다.또한 국가간의 합의내용이 완전히 공개되지 않는 상황들, 그리고 협상 국가간 해석/의견 차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여지가 있어 어떻게 평가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시진핑 주석이 APEC 회의에서 다자주의 경제구도를 이야기했는데 미국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기사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APEC에서 다자주의 경제구조를 강조하면서 WTO 중심의 다자무역 시스템 강화를 강조했다고 합니다. 이는 현재 미국의 방향과는 맞지 않으나 한국은 중국과 미국의 협력과 견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그 안에서 균형잡힌 외교통상 정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기본적인 기조는 자유무역이기 때문에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다주주의적 체계를 버릴 필요는 없어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저희나라가 미국관의 관세협상을 다른나라들에 비해서 잘 한거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일본이랑도 비교해서 잘 한거라던데 뭐가 더 잘한거라는거죠?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한국과 미국의 관세협상에서는 15%의 자동차 관세율 등의 결과를 이끌어내면서 일본보다 더 작은 투자규모, 투자 연간상황 200억 달러 투자 분야에 대한 자유도 등을 일본보다 협상을 잘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다만, 실제로 이에 대한 결과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질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미국의 무역적자가 엄청나다고 하는데요 2024년 어느정도 적자가 났는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상당히 높으며 2024년 기준 -1,198,851,627천불의 무역적자를 기록했습니다.특히 중국과의 무역적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국과의 무역적자도 699억 달러에 달하며 최근 증가 추세를 기록했습니다.다만, 2025년 들어 미국의 관세정책이 시행되어 실제 어떻게 무역수지의 결과가 나올지 확인이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일론머스크가 한국에 스타링크를 서비스할것이라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스타링크 서비스가 하반기에 시작될 예정이라고 기사가 나왔으나 아직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https://www.erou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491https://www.mk.co.kr/news/it/11446584다만, 곧 서비스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도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5.0
1명 평가
0
0
APEC 경주선언의 핵심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대통령실에 따르면, APEC 정상 경주선언은 올해 APEC의 3대 중점과제인 ‘연결(Connect)·혁신(Innovate)·번영(Prosper)’을 바탕으로 무역·투자, 디지털·혁신, 포용적 성장 등 APEC의 핵심 현안에 대한 주요 논의를 포괄했다고 합니다.다만 자유무역에 대한 지지에 대한 내용은 옅어진 것으로 보입니다.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5/11/01/3QDLRKZWHRF7PC2W6GT54BTD7E/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공약한 보편관세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보편관세에 대한 정책은 상호관세에 의해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품목별로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정책은 결국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데 현재까지의 미국의 분석에서는 물가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분석입니다. 다만, 이러한 관세정책에 있어 아직 수출입자간 관세전가를 하지 않고 자신들이 부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져 실제로 물가가 점진적으로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미국 관세정책이 미치는 우리나라 영향은?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은 우리나라 대미수출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동차, 철강 등 주력산업이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적자 개선 등의 이점, 미국 내 투자 확대 등의 이익을 얻으나 한국의 경우 수출경쟁력 저하 등의 악영향이 있습니다. 다만, 상대적인 부분이 중요한데 미국의 경우 전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더 낮은 관세를 부과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집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최근 우리나라 경제가 반도체 의존 경향이 더 강해졌는데 관세영향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말씀하신대로 관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현재 자동차나 철강의 경우 고세율의 관세의 영향으로 대미수출에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다만, 반도체의 경우 아직 관세부과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현재 AI의 강세로 인해 반도체의 슈퍼사이클이 돌아왔다는 평가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5.11.02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