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직업의 변화에 대해 궁금합니다.
앞으로의 변화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습니다.다만, 중국의 경우 유치원부터 코딩관련 교육과 AI관련 시스템을 교육에 재빠르게 도입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춰 AI디지털교과서, AI코스웨어 등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각 학교에 전자 칠판, 노트북, 패드 등을 비치하고 있으며 선도교사를 양성하여 미래교육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AI가 발전함에 따라서 사람들이 예측하기로 세무사, 변호사, 판사, 의사 등이 없어지기 쉬운 직업으로 예술가, 음악가 등은 없어지기 힘든 직업으로 예측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AI가 발전하고 미술, 디자인, 음악 등 예술분야에 가장 먼저 큰 타격을 주었지요. 이미지 생성형 AI가 만든 작품이 상을 받고 사람보다 잘 그리는 시대가 왔습니다. 오히려 대체하기 힘든 직업들로 떠오른 직업은 소위 블루칼라 직업들이 대체하기 힘든 직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Q. 저출산문제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하나만의 문제로 생각하기는 어렵겠지요.경제적인 부분을 보자면 집값상승으로 인한 청년층의 내집마련의 어려움, 물가상승률이 높고 사교육비 등 양육비의 증가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사회적으로는 SNS의 발달로 자신의 모습과 SNS에 올라온 타인의 삶을 비교하는 것, 남녀갈등, 세대갈등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당장 자신의 미래도 불투명한데 아이를 낳고 잘 기를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 가난의 되물림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했다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