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상정고금예문과 직지심체요절의 역사적 우수성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정고금예문"예전부터 지금까지(古今) 내려오는 사람이 지켜야할 예의들을 기록(禮文)한 것으로 이후 [[최충헌]]이 책이 오래되고 낡았음을 지적하며 부족한 부분을 다듬어 새로 재작했다. 총 2부를 만들어 1부는 자신의 집에, 1부는 궁에 놔두었다고 한다. 이후 [[고려 고종]] 재임기인 '''[[1234년]]'''~[[1241년]]에 당시 집권자인 [[최이]]가 이를 '''금속활자로 찍어 배포'''했다.[* 한국사 시험 문제에서 [[이규보]]나 몽골의 침략사, 고려의 문화사와 관련지어 보기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현존하지 않는 서적이기 때문에 [[직지심체요절]] 이나 다른 고려시대의 서적들보단 출제 빈도가 낮은 편이다.~~그러나 멘붕을 막기위해 이름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그러다 몽골의 침입이 일어나게되고 급히 천도를 하느라 궁에 있던 1부는 불에타 없어지고 최충헌의 집에 있던 1부가 가까스로 남아 이를 최우가 총 28부를 복사해 나누어 주었다. 이 때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따르면 금속활자인 주자(鑄字)로 28부를 찍어 정부 기관에 나누어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것이 사실이라면 상정고금예문은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 기록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최고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1377년]]이다.] 다만 [[여몽전쟁]]으로 온 나라가 난리였던 통에 금속활자를 개발 및 주조를 할 여력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미 그 전부터 고려에 금속활자 개발 기술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으며 실제로 [[최이]]가 쓴 또다른 글에 따르면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금속활자는 남아있지 않으나 목판본은 남아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보물]] 제758호.]를 주자로 찍어내어 민간에 배포했다고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이전부터 고려가 금속활자 제조기술을 가지고 있었을 확률이 높다. 하지만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사실은 알수가 없다"직지심체요절"1377년 [[고려]] [[청주시|청주]] [[흥덕사]]에서 고승이었던 백운경한이 쓴책을 금속활자로 뜬 것]]이다. 이 경전은 학승들이 대교과(大敎科)를 마치고, 수의과(隨意科, 현재의 대학원 혹은 사회 학습)에서 공부하는 데 사용되는 학습서 역할을 했다. 그 후 행방은 알 수가 없다가 구한말에 다시금 모습을 드러냈다.구한말 당시 [[주한프랑스공사관|주한프랑스공사]]이자 고서적 수집광이기도 햤던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가 수집한 고물품들 중에 직지심체요절이 포함되어 있었다.빅토르 콜랭 드의 이름은 한자로 갈림덕(葛林德)]]이라고 한다. 아마도 '콜랭 드'를 한자로 적은 것 같다. 때문에 직지의 첫 페이지에는 갈('[[葛]]')이라는 글자가 붙어있다. 이후 1911년 앙리 베베르라는 사람이 재구입하여 소장하고 있다가 베베르가 사망한 뒤 그의 유언에 따라 1950년 프랑스 국립도서관으로 보내졌다. 1900년 파리 엑스포 한국관에 소개되기도 했으나 당시에는 서양 중심의 세계관은 접어두더라도 오리엔트(근동) 지역에서 워낙 유물 유입이 빈번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그런데 [[외규장각]] 도서와 함께 알려졌기 때문에 직지심체요절까지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게 약탈당한 것으로 오해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직지심체요절은 외규장각에 있지도 않았다. 외규장각과 직지심체요절이 프랑스로 가게 된 바에는 하등 관계가 없다. 9급 공무원 시험과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도 이 점을 노리고 문제가 출제된 바 있다. 둘 다 약탈과 관련된 문항을 고르면 틀리는 함정문제였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이라는 사실도 1972년 [[박병선]] 박사에 의해 밝혀졌다. 발견 당시 학계에서는 직지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성경|성서]]보다 더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라는 말을 믿지 않고 무시했기 때문에, 결국 박병선 박사는 혼자서 연구를 시작했고, 한국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기어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임을 입증해낸다. 이로써 그녀는 '''직지대모'''로 불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