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병마사라는건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중앙군의 지휘관이다 이들은 평시에는 임명되지 않고, 비상시 군의 출동이 필요할 때 임명되었다. 이 제도는 북방의 특수지역인 동계(東界)·북계(北界)의 양계(兩界)에 각기 군사·행정을 담당하는 기구로 두어졌다. 구성은 병마사(3품) 1인, 지병마사(知兵馬事, 3품) 1인, 병마부사(兵馬副使, 4품) 2인, 병마판관(兵馬判官, 5∼6품) 3인, 병마녹사(兵馬錄事) 4인이었다.또한 양계 병마사에는 위치가 미상인 고정적인 영(營)이 있었고, 영리(營吏)도 있었다. 따라서 양계 병마사는 관직의 이름이면서 관제의 이름이기도 하였다. 양계 병마사는 989년(성종 8)에 처음 설치되었고, 현종 때에는 군사적 기능 외에 행정적 기능이 추가되었다. 정종(靖宗) 초에 6개월 임기제가 정해지면서 지방제도로 확정된 것 같다.1039년(정종 5)에 병마녹사 가운데 1원을 감축하였다. 무신란 이후에는 문반 위주였던 양계 병마사·지병마사 등에 무반출신자들이 임명되었다. 또한 양계의 방수장군(防戍將軍)에게 병마판관을 겸대하게 했다가, 1198년(신종 1)에 병마부사로 승격하였다.이후 몽고의 침략으로 이들 지역의 대부분을 상실함으로써, 양계 병마사 제도의 존재의의가 거의 상실되었다. 1290년(충렬왕 16)의 북계 수복과 1356년(공민왕 5)의 동계 쌍성(雙城) 수복 이후 양계 병마사가 다시 파견되었다.그러나 이 때는 이들 지방에 제사(諸使)가 빈번하게 임명, 파견되는 상황이어서, 그들의 지위와 기능은 자연히 격하·약화되었다. 공민왕 때에는 왜구와 홍건적 등의 침입으로 전국이 전쟁터로 되었다. 이에 따라 1362년(공민왕 11)에 동경도(東京道) 등 12도에, 이듬해에는 안동도(安東道) 등 13도에 병마사를 파견, 병마사의 전국적인 배치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양계의 병마사는 그 명칭이 군사적 기능을 나타내고 있는 점, 강력한 지방병력이 배치된 북방 변경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점, 『고려사』 백관지의 ‘곤외(閫外 : 궁궐 밖)를 전제(專制)한다’는 기록 등으로, 흔히 북경(北境) 방위사령부 및 그 최고사령관인 것으로 생각되어왔다.그러나 제도(諸道)의 일반 지방관·안찰사(按察使) 등의 군사행동과 비교해 본질적인 차이가 없으며, 지방장관으로서의 행정면의 기능은 명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양계 병마사는 군사·행정 양면의 기능을 가졌던 것으로 이해된다.
Q.  고려시대 2성 6부는 어떤 조직체제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982년(성종 1년)에 3성 체제가 도입되어 내사성, 문하성, 상서성이 설치되었는데, 기능이 밀접한 내사성과 문하성이 합쳐져 내사문화성이 되어 최고 정무 기관으로 기능했다. 1061년(문종 15년)에 내사성이 중서성으로 개칭되면서 중서문하성으로 되었다. 당나라 제도에서는 3개의 관청이 각기 제 기능을 하는 3성 병립제였는데 반해, 고려에서는 2성 체제를 이루었다. 중서문하성이 국가의 정무를 의논하는 최고의 정치 기관이었고, 상서성은 결정 사항을 실천하는데 그쳤다. 즉 상서성과 중서문하성은 상하 종속 관계에 있었다. 6부는 이부, 병부, 호부, 형부, 예부, 공부의 순이었다. 최고 정치 기구로서의 중서문하성의 권한과 지위는 고려 후기에 오면서 도병마사의 후신인 도평의사사로 옮겨갔다. 학계 일부에서는 중서문화성을 하나의 관부로 보는 것은 오류이며, 중서성과 문하성을 병칭하는 말일 뿐 3성제였다는 주장도 있다.
Q.  기황후의 위세를 등에 업고 기철이 행한 만행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권력 남용에다 토지를 무단으로 강탈하는 등의 횡포를 일삼았다.복위한 충혜왕이 엄청난 폭정과 잔인한 만행들을 일삼자 기철은 원나라에 도움을 요청하여 충혜왕을 폐위하고 정동행성을 다시 세워줄 것을 요청했다. 충혜왕에 빌붙어 권세를 부리던 이들은 모두 원나라 사신들에 의해 처벌을 받았고, 기철은 홍빈과 함께 권정동성사(權征東省事)에 임명되었다. 충목왕 때 고려를 개혁하려는 정치도감이 활동했는데 이들은 충혜왕의 폐위와 간신들의 퇴출이라는 공동 목표를 이룬 동지였으나, 강탈된 전민을 원래대로 돌리려는 정치도감은 기철의 일족을 압박했다. 정치도감의 조사를 받던 기삼만이 옥에서 죽임을 당하자[7] 기황후의 간섭으로 정치도감은 유명무실해졌다. 충목왕이 죽은 뒤에는 덕녕공주의 명을 받고 전 정치도감판사 왕후와 함께 정동행성의 일을 맡아봤다.
Q.  일본 제국주의에서 조선이 망하지 않았다면 아직도 조선의 왕이 통치를 하는 사회일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렇지 않을것이라고 봅니다.대한민국 국민이 어떤 국민인데... 이 시대에 왕족을 모시고 살겠습니까?왕족이 이어질 수는 있겠으나 그들이 정치나 집권에 참여할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서방의 문물과 민주주의를 받아들여 오늘날과 같이 대통령 임헌제를 추구했을겁니다
Q.  고려시대 공음전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음전(功蔭田)은 고려시대에 관료들에게 공을 따져 지급하던 토지를 말한다.음서와 마찬가지로 5품 이상의 관료들에게 주어졌으며 수조권을 세습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죄를 저지르지 않으면 가문의 역사가 길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공음전이 늘어나며, 그에 따라 가문의 경제력이 폭증하게 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문벌귀족의 경제력을 책임지는 제도이다.경종 대에 전시과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개국공신과 그외 공로가 있는 사람들에게 토지가 주어졌던 것이, 현종 대에 상속이 인정되었고, 문종대에는 이게 양반공음전시라는 이름으로 법제화가 되었다. 공양왕 대에 이름만 공신전으로 변했을 뿐, 고려가 멸명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