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강요셉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음악에서 화음은 2개 이상의 의미 동시에 울리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음악을 들을 때 듣기 좋은 모든 음악은 화음으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단음이 아닌 화음은 보통 우리의 귀로도 구분이 가능하지요 화음이란 두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것을 의미하는데 주로 사ㅚ개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3화음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우리의 귀로 분별이 가능합니다 특히 고도로 훈련된 음악인의 경우 4가지 음을 동시에 눌러도 어떤 음을 눌렀는지를 알기도 합니다 일반인들도 귀에 이상이 없다면 화음인지 단음인지를 확실하게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클래식 공연관람할때 왜중간에 박수치면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연주회장에서 연주 곡목에 따로 박수를 칠 곳과 치지 말아야하는 법칙이 있어요 예를들면 여러 악장으로 되어있는 피아노 소나타나 오케스트트라 교향곡에서는 중간에 박수가 있으면 음악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없이 음악의 진행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며 성악곡에서도 특별히 연가곡 연주에는 박수를 쳐서는 안됩니다 이러한 특성들을 모르는 관객들은 모든 음악이 끝나고 지휘자나 연주자가 돌아서서 혹은 일어나서 예를 표하기 전까지는 박수를 삼가는것이 음악에 대한 예의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음악적 재능도 부모의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그렇습니다 저의 아버지는 일제 시대 때 노래 콩쿨 대회에서 상을 탔었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나는 어려서부터 노래를 잘 했고 처음으로 나간 교회에서도 찬송가를 부르는 내 목소리를 듣고 성가대를 함께 하자는 권유로 성가대에 입문했으며 나의 아들도 현재 음악 목사로 찬양을 인도하고 있으며 5살배기 손자도 음정 박자 정확하게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하는것을 보며 놀라워합니다 며느리도 노래를 매우 잘 하는편으로 교회에서 키보드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르고 있지요 물론 노래를 잘 못하는 부모로부터 가물에 콩나듯 성악가가 나오고 있으니 실망하지말고 좋은 선생님을 찾아 보세요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하이든을 교양곡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하이든을 교향곡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이유는 다른 모든 작곡가들보다 많은 수의 교향곡을 작곡했는데 자그마치 교향곡을 남들이 흉내도 못 낼 정도인 107곡의 교향곡을 작곡하여 남기었기 때문에 교향곡의 아버지라 부르는것입니다 예를들면 유명한 베토벤도 9곡의 교향곡을 작곡했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뮤지컬과 오페라의 음악 스타일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우선 오페라와 뮤지칼의 작곡가는 대학교에서 배우는 과목 자체가 다릅니다 뮤지칼 작곡가는 실용음악을 가르치는곳에서 배우고 오페라 작곡가는 음악 대학 작곡과에서 학위를 받게 됩니다. 오페라 작곡가는 성악가인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앨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의 음역에 맞게 작곡을 해야하며 실용음악 작곡가의 뮤지칼은 곡을 먼저 작곡하면 가수중 맘에 드는 가수를 골라 무대에 올리면 되기 때문에 많이 다르며 오페라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소리가 아닌 육성으로 노래하며 뮤지칼은 마이크를 통해 노래한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 되는것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해금 중 어떤 악기가 초보자가 배우기에 가장 적합한 악기 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제가 생각하기에는 그리고 추천을 한다면 바이올린을 추천하고 싶네요 왜냐하면 선생님을 구하기가 가장 쉽기 때문이며 악기도 작아서 가지고 다니기도 쉽기 때문입니다비올라나 첼로는 바이올린보다 크고 해금을 연주하는 연주자도 찾기가 쉽지 않을것 같아요 그리고 어느 종교 행사에든지 쓰일수 있는 악기가 바이올린 이라고 생각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테트라코드 라는게 무엇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Tetrachord란 4개의 음을 2도의 간격으로 배열하는것을 의미하는것인데 테트라코드는 고대 그리스의 4현이 어원으로 최고음과 최저음이 완전 4도 관계를 이루고 있는4음 음계를 말하며 7,8음으로 구성된 음계분석에 사용되곤 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창법을 익히는 것으로 음역대를 증가시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정답은 안됩니다 입니다 음역은 태어날때부터 정해집니다 음역은 성대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성대를 늘이거나 줄이거나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가끔 바리톤이었다가 테너로 바꾼 플라치도 도밍고나 몇명이 있기는 하지만 그분들은결코 최고의 고음인 하이C 이상을 노래하지는 못했지요 창법을 가성으로 바꾸면 모를까 진성으로 오페라를 무대에서 노래 할 수는 없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성인이 판소리를 잘 부르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판소리나 성악이나 비슷하리라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둘 다 득음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득음을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재능을 타고 나야하고 두번째는 좋은 선생님을 만나서 적어도 10년 이상 열심히 공부해야 될듯 말듯 할 정도로 예술은 쉬운것이 아닙니다 아무리 선생님을 만나 열심히 한다해도 정말 좋은 선생님을 만나는것도 하늘의 별 따기 입니다 나도 유학을 떠날때는 5년을 목표로 하고 떠났지만 득음이 되지않아 18년만에 귀국 했답니다 그나마 귀국하기 6년전 진짜 선생님을 만나 가능했지 지금도 수십년째 유학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성악가가 많이 있습니다 기를 꺾는것 같아 미안하지만 돈을 벌기위해 가르치는 선생님을 만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음악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음악의 높낮이를 구분 하는 용어는 어떤 용어 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음의 높이(소리의 높이) 또는 피치(pitch)는음의 높낮이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보통 A4,B3와 같은표기법을 사용하거나 Hz로 표기 합니다. 악보에서는 음높이를 줄과 칸으로 표기하며 음의 진동수가 클수록 음높이는 높아지며, 진동수가 2배가 되면 한 옥타브 높은 음이 되는것입니다 질문에 답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