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강요셉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카혼이라는 악기는 어느 나라의 어떤 악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카혼이라는 악기는 페루의 타악기 라고 합니다 몸우림 악기로 분류가 되며 페루에서 온 상자 모양의 타악기로 앞면이나 뒷면(일반적으로 얇은 합판)을 손이나 손가락 또는 때로는 붓,망치,막대기와 같은 도구로 두드려서 연주를 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줄로된 악기들은 어떤것들이 있으며 낮은음을 표현하는 악기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현악기로는 거문고,가야금,향비파,당비파,월금,금,슬,아쟁 등이 있는데 아쟁 중 정약용 아쟁은 전통 선율 악기중에서 가장 음역이 낮은 악기라고 하며 현악기중 가장 크기가 큰 악기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테너 바리톤 베이스가 정해지는 구간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우선 인간의 목소리의 구분은 음 색깔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면 되는데 사람의 생김새를 보면 거의 그 사람의 음역을 알 수가 있습니다 성대의 길이가 짧을수록 높은 음을 내는 테너나 소프라노가 되고 성다의 길이가 길수록 저음을 내게 되어 있지요 그래서 남자의 가장 높은 음을 내는 테너의 모습을 보면 대부분이 키가 적은편에 목이 짧고 목이 길수록 낮은 음을 내는 베이스가 되는것이고 중간이 바리톤이라고 보면 95프로 정확하지만 어쩌다보면 5프로의 예외는 있지만 위에 언급한대로가 대부분의 경우입니다 나는 고음을 매우 잘 내는 테너인데 목이 짧아요 질문에 답이 됐기를 바랍니다
음악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현악기 중에서 가장 높은 음을 담당하고 있는 악기는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현악기중 가장 높은 음정을 내는 악기는 당연히 바이올린이지요 바이올린은 일반적으로 3옥타브 반을 내는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연주자의 재량에 따라 더 높은 음역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고 하니까요 즉 높은 음을 만드는데는 고도의 테크닉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실질적인 바이올린의 음역은 낮은 G현에서 최저음 G(솔)와 3옥타브 E (미)음 까지 이나 독주곡이나 실내악에서는 그 이상의 음도 사용한다고 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10일 작성 됨
Q.
겨울에 듣기 좋은 노래 추천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분의 의도를 확실히 알 수가 없지만 성악을 전공하고 지난 50여년간을 성악가로 살아온 성악가가 추천하고 싶은 곡은 연가곡인 슈만의 시인의 사랑이라는 곡과 슈베르트의 연가곡 겨울 나그네를 추천하고 싶고 오페라는 푸치니의 라보엠을 추천하고 싶어요 득히 오페라 라보엠은 크리스마스를 배경으로 하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에 당시의 난로 불을 쬐며 노래하는 장면과 눈이 온 거리의 장면들 그리고 추운 겨울 폐병으로 죽어가는 여주인공 소프라노 미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가난한 시인 로돌포의 애절한 이야기가 겨울철에 아주 매력적인 오페라 라고 생각이 되네요
음악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모자르트와 베토벤은 서로의 음악에 영향을 주엇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1756~1791)는 루드비히 판 베토벤(1770~1827)의 작품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는데 베토벤은 모짜르트를 매우 높이 평가했다고 합니다 그의 음악 중 일부는 모짜르트의 음악을 떠올리게 하고 베토벤은 모짜르트의 주제에 대해 여러가지의 변주곡을 작곡하였으며 모짜르트 이전의 작곡가의 음악을 모델로 여러 작품을 만들었다고합니다 아마 모짜르트보다 14세가 어렸기 때문에 베토벤이 모짜르트의 음악을 보고 들으며 많은 영향을 받은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모짜르트는 베토벤의 영향을 받은것 같지는 않습니다 당시 모짜르트는 어려서부터 음악의 신동이었기 때문에 다른 이전의 작곡가에게도 영향을 받지않고 스스로 떠오르는 영감을 통하여 작곡 한것으로 보입니다
음악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음악을 하다가 성대결절에 걸릴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성대는 근육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운동할때도 근육이 피로하거나 무리해서 사용하면 문제가 생기는것과 마찬가지로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목감기나 기침을 많이 하는 감기로도 성대결절이 생길 수 있고 잘못될 발성으로 노래를 해도 성대결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악기중에 가장큰 악기는 어떤 악기가 가장 큰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악기중 가장 큰 악기는 현악기로는 콘트라 베이스이고 관악기로는 스자폰 입니다 콘트라 베이스 악기는 오케스트라에 사용이 되며 스자폰은 중고등학교 밴드부와 군대 군악대에서 주로 사용이 되는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하모닉 마이너 라는게 무슨스케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이란 자연 단음계 구성음 중 제 7음을 반음 올린 음계입니다. 스케일을 구성하는 음중에서 제 7음을 이끎음이라고 하지요. 리딩톤은 으뜸 음에서 반음 아래의 음으로 선율을 안정된 음으로 옮기는 성질을 가진 음을 말합니다.그래서 약간 아라비안 느낌이 나기도 하는 스케일입니다. 마이너 스케일에는 내추럴 마이너 스케일과 하모닉 마이너,선율 단음계,재즈 마이너로 나뉘고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오스트리아 오페라인 장미의 기사는 누가 대본을 쓴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오페라 작곡가와 대본가로 환상의 콤비를 이루었던 리히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와 휴고 폰 호프만스탈(Hugo von Hofmannsthal,1874-1929)은 1900년 경에 서로를 알게 되었고 두 사람이 협업을 시작한 것은 1909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초연된 오페라 "일렉트라"부터였습니다. 이 작업이 끝나자 슈트라우스는 모차르트 희극같은 오페라를 만들고 싶으니 적당한 소재를 골라 대본을 써 달라고 호프만스탈에게 부탁했고 한동안 고심한 호프만스탈은 드디어 작곡가의 마음에 꼭 드는 스토리를 구상해냈답니다. 이렇게 해서 1911년 드레스덴에서 초연된 작품이 18세기 중엽 마리아 테레지아가 지배하던 합스부르크 왕정시대 빈을 배경으로 한 오페라 "장미의 기사"였습니다. 장미의 기사란 우리말로 옮기면 함진아비쯤 되는 청혼의 전령을 뜻합니다. 18세기 빈의 귀족사회에서는 양가의 혼담이 이루어진 뒤에 신랑 쪽 친척 한 사람이 신부될 처녀에게 은으로 만든 장미를 예물로 전달해 정식 청원의 예를 가지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때 은장미를 들고 오는 친척 청년을 "장미의 기사"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