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강요셉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음악을 만들때 가사의 전달도 중요하다고 하는데 가사의 전달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음악에서의 가사의 전달의 중요성은 말 할 필요가 없이 중요한 사항입니다 특히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요하지 않고 관객에게 소리와 가사를 전달해야하는 오페라나 성가곡에서는 어느 장르보다 중요한데 유행가는 마이크를 사용해 녹음 하기에 클래식 보다는 가사 전달이 쉽지만 오페라나 가곡은 대중가요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발성 테크닉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많은 성악을 전공하는 성악도들은 반드시 유학을 다녀와야 제대로 된 발성에 관객에게 전달되는 노래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유학을 간다고해서 모두가 다 성공하는것이 아니고 천명당 1명도 되지않는 바늘구멍 같은곳으로 유학을 다녀오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유학을 가지말고 가능성을 타진한 후에 유학을 가는것이 중요하고 타당하다고 생각되네요 내가 미국으로 유학을 간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미국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로 유학을 간 성악도가 5천명이 넘었지만 실제로 성악가로 이름을 내 놓은만한 성악가는 다섯 손가락안에 있을정도입니다
음악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판소리가 전라도에서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판소리는 본래 여러 지역의 사투리로 불렸는데 듣는 사람들이 경상도나 충청도 보다는 전라도 사투리의 걸쭉한 맛을 즐기게 되고 전라도 사투리가 아니면 뭔가 밋밋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관객들의 기호에 따라 다른 지방 사투리는 없어지고 전라도에서만 발전이 되고 전승 되었기 때문입니다
음악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베토벤은 언제 비창을 완성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비창은 1798년과 1799년 사이에 작곡 되었으며 그해 가을 빈의 에더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베토벤의 후원자이자 친구였던 칼 폰 리치노프스키에게 헌정된 작품입니다. 월광 소나타와 열정 소나타를 합하여 베토벤의 3대 피아노 소나타로 불리고 있습니다 시기적으로는 베토벤의 초기 작품으로 하이든과 모짜르트라는 선배이며 스승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음악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다른 연주자들과 협연 하는 것을 싫어하는 연주자들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당연히 있기 때문에 솔로로 활동하는 음악가들이 많이 있습니다 세상에는 많은 협주곡과 중주곡이 있지만 솔로로 곡을 연주하는것을 즐겨하는 연주자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솔로를 중심으로 하는 연주자들도 가끔 마음이 맞으면 협주도 하곤 합니다
음악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세계적으로 유명한 국제 음악 경연대회 TOP5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차이코프스키 콩쿨, 반 클라이번 콩쿨,퀸 엘리자베스 콩쿨,쇼팽콩쿨, 부소니 콩쿨이 세계 5대 콩쿨로 인정되고 있어요
음악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베토벤 운명의 원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베토벤에 운명 교향곡은 원래 교향곡 5번 다단조 작품 번호 67번 이었는데 베토벤 음악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 중 하나입니다. 동양권에서는 보통 운명 혹은 운명 교향곡이라고 부르는데 서양권에서는 교향곡 5번 혹은 다단조 교향곡으로만 통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동양권처럼 운명이라는 부제가 자주 쓰이기 시작하는 추세입니다.즉 운명 교향곡이라고 부르기 전에는 교향곡5번 다단조,작품번호 67번이라고 불렀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G선상의 아리아는 누가 작곡한 곡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G선상의 아리아라는 작품은 독일의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3번 BWV 1068중 2악장 Air을 부르는 말 중 하나인데 운곡의 제목은 Suit Nr.3D-Dur BWV 1068,Air/Suite No3 in D major. 사실 G선상의 아리아는 바흐 작품의 원제가 아니라 후대에 한 바이올리니스트가 편곡한 작품을 지칭하는 이름이었는데 하지만 편곡한곡이 워낙 유명해지는 바람에 원곡마저 이 이름으로 부르게 된 독특한 사례입니다
음악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음악 공부 중 생길 수 있는 어려움에은 어떤 것이 있으셨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음악도 여러 장르의 음악이 있지만저는 타고난 좋은 목소리로 인해 성악을 공부했고 어느 순간에 정말로 최고의 교수님을 뉴욕에서 만나 나의 음악을 꽃 피울수 있어서 78년에 뉴욕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하여 93년에 오페라 라보엠으로 한국에 돌아와 열린 음악회 10회 출연과 리골렛또 춘희등 유명 오페라에 주역으로 출연하고 TV에 여러차례 출연하고 유명 오케스트라와 협연 그리고 한국 사람 테너로써 오케스트라 반주로 오페라 아리아집과 한국 가곡집 CD를 출반했고 찬송가 1,2집을 출반했는데 진짜 선생님을 만나기 전 미국에서 수많은 선생님을 찾아 다니며 레슨을 받았지만 마지막에 만났던 이탈리안 선생님을 만남으로 나의 음악이 꽃이 피게 된것입니다
음악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긴장이 많이 되는 연주를 할 때 청중이 알아채지 못 하게 긴장을 완화 하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무대 공포증은 아무나 있는것이 아닙니다 본인이 무대 공포증이 있다면 무대에 서는것을 포기해야만 합니다 물론 연습을 게을리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열심히 완벽하게 연습했는데도 무대에 올라가면 자신의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연주를 망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좀 더 완벽하게 연습을 한다면 무대 공포증은 쉽사리 사라질 것입니다 즉 완벽한 연습만이 무대공포증을 없앨수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는 우선 발성법이며 오페라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은 인간의 내추럴한 목소리를 사용하여 관객에게 전달해야 하기때문에 고도의 발성 테크닉이 필요하며 뮤지컬은 노래에 재능이 있고 춤이나 연기에 재능 있는 사람이 마이크와 스피커의 도움으로 노래하며 춤추는 종합음악 장르라 할수 있습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