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우리나라 교육제도는 오랫동안 경쟁중심,시험위주, 성적중심의 구조속에서 학생들에게 과도한압박을 가해왔습니다학업 성취가 인생의성공 여부를 가르는 절대기준처럼 인식되면서 학생들은 스스로의 개성과 흥미,성장가능성을 탐색할 여유를 잃고 높은 성적가 입시에 매몰되는 경향이 큽니다 이러한 환경은 학생들의 정신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심지어 극단적인 선택을 불러올 정도로 큰 부담이됩니다따라서 앞을나아가야할 교육제도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행복, 전인적 성장을 최우선에 두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합니다구체적으로는 경쟁이 아닌 협력과 자기주도학습을 장려하며 정답 맞히기보다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합니다
Q. 소근육,대근육 발달에 좋은 놀이가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대근육 발달에 좋은 놀이는 몸을 크게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활동들입니다 대표적으로 실내외에서 할 수 있는 기어가기, 계단 오르내리기,미끄럼틀 타기, 공 굴리기와 차기, 낮은 장애물 넘기 같은 놀이입니다이런 활동은 균형감각, 방향감각,근육 조절능력을 기르며,동시에 아이에게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알려줍니다특히 19개월 아이는 뛰기보다는 빠르게 걷고 점점 달리기를 시도하는 단계이므로 안전한 공간에서의 자유 놀이가 매우 중요합니다바깥 놀이터나 공원에서 맨발로 뛰어놀게하거나 다양한 표면위를 걷게하는것도 감각발달에좋습니다
Q. 어린시절 뮤지컬이나 문화공연관람이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뮤지컬이나 연극,클래식 공연 등은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언어,음악,움직임, 시각예술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예술형태이기 때문에 아이의 좌뇌와 우뇌를 균형있게 자극합니다이야기 구조를 따라가면서 논리적 사고와 언어능력을 사용하고 음악이나 무대연출을 통해서 감성, 공감능력, 창의력도 함께 자극받습니다또한 공연을 보며 다른사람의 감정에 몰입하고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되므로 정서적인 폭이 넓어지고사회적 이해력도 자연스럽게 자랍니다
Q. 한국에서 유망한 직종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AI개발과 데이터 과학 분야입니다 인공지능을 설계하고 학습시키는 엔지니어, 데이터를 수집,해석하여 판단을 내리는 데이터 분석가, 기계학습 모델을 서비스에 적용하는 AI응용 전문가 등은 앞으로도 꾸준히필요할 직업입니다특히 알고리즘,수학, 컴퓨터 공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구되고 이 분야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경쟁력있는 기술이 됩니다하지만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중요한 분야도 함께 부상합니다AI를 윤리적으로 관리하고 인간중심으로 설계하는 역할, 예르 들어 AI윤리 전문가, 알고리즘 공정서 평가자, 인공지능 정책 및 규제전문가 등은 앞으로 매우 중요한 직종이될것으로보입니다
Q. 엄마에게 잘하는 남편이, 자식들과도 오래 친한가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엄마에게 잘하는 남편이 자식들과도 나이들어서까지 친하게 지낼가능성은 실제로 높습니다이는 단순히 엄마에게 잘한다는 행동 그 자체때문이라기보다 그 행동에서 드러나는 정서적 태도와 인간관계의 방식이 자식과의 관계에도 그대로 반영되기 떄문입니다 배우자에게 존중과 배려를 기본으로 대하는 사람은 아이에게도 그와 유사한 관계방식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아이는 성장과정에서 부모가 서로를 어떻게 대하는지를 끊임없이 관찰하고 그 모습을 통해 인간관계의 기본틀을 배웁니다 남편이 아내에게 따뜻하게 대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하며,감정을 소통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아이는그런 부모를 신뢰하게되고 자연스럽게 오랜시가노간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집니다
Q. 학습에 대한 자기 주도성을 키우기 위해 부모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격려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가장먼저 할 수 있는 실천은 아이가 공부를 시작하려는 작은 시도 자체를 놓치지않고 인정해주는 것입니다문제를 풀기 시작한 순간, 집중하려고 앉은태도, 스스로 책을 펼친 행동 등 학습행동의 결과보다는 시작하는 자세와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짚어주는 격려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내가 하는 이 작은 행동도 가치가있다"는 경험을 하게 되고 반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또한, 아이가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 어떤 방식이 편한지를 물어보고 선택권을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Q. 아이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상처받았을 때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받거나 소외감을 느낄 때,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공감해주는 역할이 먼저 필요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또래 관계에서의 작은 갈등에도 크게 사처받고 그 경험이 자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부모가 해야할 일은 아이가 느낀 감정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지않고 그감정을 말로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것입니다아이가 느끼는 슬픔이나 분노, 억울함이 정당하다는 메시지를 주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