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구정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구정회 전문가입니다.

구정회 전문가
서강대학교 철학 학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 연출 전문사
철학
철학 이미지
Q.  북유럽신화는 세계관이 어떻게 되나요?
북유럽 신화는 그 자체로 정말 흥미롭고 매력적인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아홉 개의 서로 다른 세계가 하나의 나무처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나무의 이름은 바로 ‘이그드라실’이에요. 이 나무가 뿌리 깊이 뻗어 있는 만큼, 각 세계엔 정말 다양한 존재들과 이야기들이 있습니다.먼저, 아스가르드라는 세계를 이야기해볼까요? 이곳은 오딘과 토르 같은 강력한 신들이 살고 있는 곳이에요. 신들이 통치하고 관할하는 이 세계는 그들의 권위와 위엄을 잘 보여줍니다. 그 다음은 미드가르드입니다. 이곳은 우리가 사는 인간의 세계에요. 미드가르드는 신과 인간이 연결된 장소로, 어느 한쪽의 이야기가 다른 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툰하임에는 거인들이 살고 있습니다. 이 세계는 신들에게 도전하는 강력한 존재들이 모여 있는 곳이죠. 거인들은 저항과 야생의 상징인데, 그들의 대결을 통해서 우리는 힘과 갈등의 의미를 배울 수 있습니다.또한, 알프하임이라는 아름다운 세계가 있어요. 이곳은 빛의 엘프들이 사는 곳으로, 엘프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답니다.바나하임은 바니르 신들이 거주하는 곳이에요. 이 신들은 평화와 풍요를 상징하며, 아스가르드의 신들과 함께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도 해요. 그들의 관계를 통해 우리는 상생과 협력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불의 세계인 무스펠하임은 라그나로크라는 종말의 전투를 예고하는 장소입니다.니플하임은 반대로 차가운 얼음과 안개로 가득 차 있죠. 이곳은 사후 세계의 일부분일지도 모르고, 얼음의 거인들이 사는 곳이라고 해요. 그리고 헬은 죽음이라는 주제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세계입니다. 여신 헬이 다스리는 이곳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느끼게 해 주는 곳이에요. 마지막으로, 니다벨리르는 드워프들이 사는 곳으로, 이들은 뛰어난 장인들로 유명해요. 그들이 만든 무기들은 신들에게 큰 힘을 주기도 했죠. 이렇게 북유럽 신화의 각 세계는 저마다 독특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삶과 감정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신이나 초월적인 존재를 믿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거에는 종교가 사회에 많이 개입하였고 어느정도 권력도 가지고 있어 어떤 성격의 소유자이건 상관없이 대다수가 다 종교를 가졌었지만 요즘은 확실히 그런 추세는 줄어든 것 같네요. 아무래도 종교를 더 믿을법한 성격적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가량 자신의 현 상태가 만족스랍지 않고 힘들어서 영적인 보상이나 위로를 잗고 싶어하는 성격, 포교에 잘 설득되는 성격, 정교적 공동체를 즐기는 외향적인 성격 등)실제로 그렁게 큰 영향을 줄것 같진 않고요, 사회 전반적인 영향은 줄어들었으나 가족으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이 가장 큰 영향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천국의 개념이 시대마다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종교에서의 천국은 주로 종교의 교리에 맞게 잘 살아온 사람을 위해 보답처럼 주어지는 공간으로 쓰이죠. 이승에서 더 참고 고통과 욕망을 견뎌내면서까지 천국을 가고싶게 하려면 해당 시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이승보다 좋은 공간, 즉 이승에서의 결핍을 메꿔줄수있는 공간이어야할 겁니다. 각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시대마다 원하고 부족해하는 것이 있었을테니 거기에 맞춰 변화해온게 아닐까 싶어요.
철학
철학 이미지
Q.  각종 종교나 철학에서 천국과 지옥의 개념을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흔히 종교라는 것은 단순히 샤머니즘처럼 초현실적인 존재를 숭배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화구성원으로써의 삶의 태도, 즉 윤리적인 사상과 결부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국과 지옥이라는 관념은 아마 이러한 사필귀정에 대한 믿음을 종교적으로 전파하기 위해서가 아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자본주의의 핵심산업인 금융업은 왜 중세 종교에서는 죄악으로 단정했나요?
안녕하세요. 중세사회에서 금융업이 죄악으로 단정지어졌던 이유는 중세사회에서 기독교 종교의 권력이 막강했기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기독교 성경 구약에서는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행위를 죄악이라고 명시했습니다. 이미 가난한 사람들이 주로 돈을 빌릴 것이고 가난한 사람들을 더 가난하게 만드는, 피빨아먹는 업종이었던 사회적인 인식이 있는것이지요. 현대사회에서 사업을 하기 위한 대출과는 시대적 인식이 좀 다릅니다. 또한 당시에는 직접 땀흘려 노동하는 것의 가치를 중시했기 때문에 돈이 돈을 부르는 불로소득같은 개념을 죄악처럼 여겼던 면도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영화 매트릭스의 주인공들의 이름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철학카테고리에 부합하는 질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좋아하는 영화라 답변 드릴수있을 것 같습니다.토마스 앤더슨이라는 이름이 지어진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네오라는 이름의 뜻은 새로운, 새로운 것이 도래하는. 이라는 뜻입니다. 극중 네오는 기존의 컴퓨터와 기계에게 지배당하던 인류를 구원하고 새로운 세상으로 이끌어갈 존재이기 때문에 네오라고 지어졌습니다.극중 모피어스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꿈의 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모피어스가 앤더슨을 꿈에서 깨고 진짜 세계로 인도하잖아요.극중 악당 에이전트 스미스의 스미스는 개발자 기술자 장인이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그보다는 가장 흔해빠진 이름(한국으로 치면 김철수같은) 이라 쓰여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프로그램이고 자기복제가 가능한만큼, 어디에나 편재하는 일반적인 특성을 보여주려했던 것 같아요.
철학
철학 이미지
Q.  실존주의 철학에서 자유와 책임의 관계는?
안녕하세요. 구정회 전문가입니다.실존주의가 꼭 아니더라도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실존주의에서는 이 두 개념의 관계를 따로 정립해서 설명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존주의의 개념 자체를 이해하면 자유와 책임이라는 단어가 깊은 관계를 갖는 것을 넘어 사실상 같은 의미라고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실존주의를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는 세상에 어떠한 탑재된 목적이나 이유 없이 그저 내동댕이쳐지듯이 태어난 존재라고 생각하는 사고에서 비롯됩니다. 우리는 이유 없이, 목적성 없이 존재, 실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존재의 이유와 목적은 우리가 스스로 찾을 자유이자 책임인 것이죠.
철학
철학 이미지
Q.  순응형 인간과 고립형 인간의 차이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구정회 전문가입니다.카렌 호나이라는 학자는 인간을 주도형 순응형 회피형 3가지로 분류했었습니다. 각각의 특성은 그 이름 그대로 쉽게 생각해볼 수 있어요. 주도형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더십을 발휘할수는 있지만 다소 공격적이고 자신의 고집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이와 반대되는 순응형은 주어진 문제를 받아들이거나 이를 해결하려는 주도형 인간의 의견을 잘 받아들입니다. 이 우형은 타인과 잘 어울리며 타인들에게 잘 보이려는 경향이 있어요.마지막으로 회피형은 주어진 문제를 말그대로 피하는 경향이 있겠죠. mbti로 따지면 i처럼 고립되어 혼자있기를 선호하고 문제릉 타인과 잘 공유하지 않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헤로도토스는 왜 역사의 아버지이자 거짓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구정회 전문가입니다.헤로도토스는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써 알려져있기 때문에 역사의 아버지라고 합니다. 하지만 초기 역사 기록이었던 것만큼, 사실관계에 입각해서만 적어야한다는 규정도 없었을 때이니 각종 민화 설화 등도 구분하지않고 적었었기에 거짓의 아버지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집에서 난초키우는법 은근어렵다는데
안녕하세요. 난초 키우는 법을 왜 철학 카테고리에 질문하셨는지는 의문이지만 답변 드리기 위해 한번 찾아봤습니다.난초에 물을 주는 주기는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습도: 실내 습도가 높다면 물을 주는 주기를 길게 할 수 있습니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더 자주 물을 주어야 합니다.계절: 여름철에는 식물의 성장 속도가 빨라져 물을 더 자주 주어야 하며, 겨울철에는 조금 덜 주는 것이 좋습니다.용기와 배수: 난초가 심어진 화분의 배수 구멍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흙 속의 수분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지를 체크하세요.대체로 토양의 표면이 마르면 물을 주는 것이 좋으며, 보통 1주일에 1-2회 정도 물을 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을 줄 때는 전체 뿌리가 고르게 적셔지도록 충분히 주고, 화분 아래로 물이 빠져나오게 해야 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