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언제부터 아기들이 자기 이름을 알아듣는게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일반적으로 6개월정도 되면 자신의 이름을 불러주면 반응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아이의 이름을 자주 불러주면 그 소리가 익숙해지기 시작해 9개월 정도 되면 자신의 이름을 부를때 고개를 돌리거나 시선을 맞추는 등의 반응을 보입니다. 12개월쯤의 시기에는 자신의 이름을 듣고 반응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지며 이름을 부를때 자신이 불리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됩니다. 아이마다 발달속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부모님께서 자주 아이의 이름을 불러주면서 대화를 하게 되면 아이의 인식 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아기가 걸음마를 시작하는데 도움이 될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성장발달하는 속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10개월정도 되면 사물을 잡고 일어서는 동작을 하게 되며 빠른아이는 11개월~12개월정도에 걸음마를 떼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걸음마를 시작할때는 주변에 위험한 물건이 없는지 확인하고 안전한 공간에서 걸음마를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모님께서 아이의 손을 잡고 함께 걷는 연습을 하거나 좋아하는 장난감을 앞에두고 한발자국씩 떼도록 도와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한걸음씩 뗄때마다 박수를 치며 칭찬과 응원을 해주시면 아이가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훈육에서 부모의 감정조절이 중요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관찰하고 배우게 됩니다. 부모가 아이를 훈육할때 감정조절을 하지 못하고 큰소리를 치며 소리를 지르거나 체벌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자존감이 낮아지고 감정의 골이 생겨 나중에 폭력적인 성향으로 변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께서 이성적으로 훈육을 할때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며 대화로써 소통을 하려고 한다면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질수 있으며 자존감도 높아지고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유치원생 아이들 스스로 할 수 있게 하는 일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유치원생 아이들이 스스로 할수 있는 일들은 다양합니다. 간단한 옷이나 신발을 스스로 입고 벗기, 신발정리하기, 양말신기, 책정리, 밖에 나갔다 들어와서 손씻기, 양치하기, 밥먹은 그릇 씽그대에 가져다 놓기, 등 다양한 활동들이 많습니다. 아이에게 칭찬과 보상을 해줌으로서 스스로 잘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면 좋을듯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중학교 수학 과정은 언제부터 준비시키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학습에 대한 욕심이나 능력이 다르다보니 중학교과정의 교과목에 대해 접하는 시기는 다를수 있습니다. 보통 6학년 2학기쯤 이나 겨울방학중에 중학교 수학을 접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중학교 수학을 접하기 전에 아이의 생각을 먼저 들어보는 것도 좋으며 개인적으로는 6학년 2학쯤 중학교에서 배우게 될 내용에 대한 기초를 조금씩 다지기 시작하면 좋을듯 합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