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신생아도 틱증상을 보일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도 틱증상을 보일수는 있습니다. 틱증상은 일반적으로 4세에서 6세사이에 나타나며 의지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고 빠르게 반복하는 근육의 움직임 (눈깜빡임 ,얼굴 찡그리기, 머리흔들기, 소리내기등)또는 소리로 나타는 증상입니다. 모로반사는 신생아의 반사운동으로 가끔 깜짝깜짝 놀라서 팔,다리 , 손가락이 활짝 펴진 다음 양팔을 포옹하듯 가슴으로 오므리는 모습을 보이는 현상으로 3~6개월사이에 사라집니다. 아기의 경우 틱보다는 모로반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식사자리에서 책을 보는게 말려야 할지 아니면 그냥 둬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식사시간은 가족끼리 함께 떠들며 소통할수 있는 시간입니다. 식사시간에 책을 읽게 되면 가족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식사시간에 집중할수 없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식사시간의 중요성을 이해를 시키고 식사시간이 끝난후에 책을 읽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돌이 지난 아이입니다. 간을 한 음식이 안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돌이 지난 아이는 간을 한 음식을 먹어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섭취는 혈압상승이나 신장문제등 건강에 해를 끼칠수 있으므로 간을 약하게 해서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는 몇살 때 걷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의 빌달상태에 따라 걷는 시기는 다를수 있습니다. 빠른아인 돌전에 걷는 겅우도 있지만 보통 12개월~15개월 사이에는 걸을수 있습니다. 아기의 뒤집기 시시 또한 아이들마다 다를수는 있지만 대부분 4개월~6개월 사이에 뒤집기를 시작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겨드랑이체온계와 고막체온계어느것이 더 정확한가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겨드랑이로 잰 체온은 고막으로 잰 체온보다 0.5~1도 정도 낮게 측정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막은 체온의 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겨드랑이로 잰 채온보다 고막으로 잰 체온이 더 정확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용돈 사용법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용돈을 줄때는 꼭 필요한 것인지를 생각해서 쓰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용돈 기입장을 써보게 함으로써 수입과 지출의 내역을 보고 계획적으로 쓸수 있도록 알려주시는것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7개월아기 기침하다가 토할때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감기에 걸리게 되면 잠잘때 유독 기침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고 토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아기가 누워있으면 콧물이 목뒤로 더 잘 넘어가고 잠자는 동안애 체내 순환도 느려져서 점액이 인두에 잘 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침을 많이 할때는 미지근한 물을 수시로 마시게 하는것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4월 17일 작성 됨
Q.
보통 돌 지나고 얼마나 있어야 걸음마가 가능 한가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발달 상태가 다르기 때문애 걸음마 떼는 시기도 다릅니다. 빠른 아이들은 돌전에 떼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12개월~15개월 사이에 걸음마를 시작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발달과정에 맞춰 걸을마를 뗄수 있으니 무리하게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놀이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아이가 늘 자는 낮잠 시간에 잠을 안자고 노는 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낮잠자는 시간에 낮잠을 자지않고 노는경우라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낮잠자는 시간이 불규칙하기보다는 일정한 시간에 수면을 하도록 하는것이 밤수면에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좋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일정한 시간에 아이가 낮잠을 잘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4월 16일 작성 됨
Q.
아이가 매운 음식을 잘 먹는데 매운 음식을 많이 주면 안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인이나 아이들이나 매운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장 점막을 자극해 복통이나 설사를 일으키는등 소화기관에 안좋은 영향을 끼칠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운 은식을 좋아한다고 해도 아이의 건강상태를 고려해서 양을 조절해주고 너무 자극적이지 않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271
272
273
274
2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