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고려시대때 지방호족들이 세력이 얼마나 강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귀족이 아닌 지방의 유력자들입니다. 토호라고도 불렀습니다. 통일신라시대 말에서 고려건국 때 역사의 전면에 처음 등장한 했습니다. 이후 지역에서 강럭한 권한을 이용하여 세력을 크게 확장시켰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갑오개혁의 역사적 의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치제도의 개혁을 단행하여 개국기원을 사용하여 청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대등하게 하였습니다. 중앙관제를 의정부와 궁내부로 구별하고 종래의 6조를 8아문으로 개편하여 이를 의정부 직속으로 하였으며 대간을 폐지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왕족들이 유배를 가는것은 지금의 사형선고와 같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형벌은 대명률에 근거하여 태형 장형 도형 유배형 사형이 있었습니다. 이중 유배형은 죄의 중과에 따라 궁궐에서부터의 거리를 정하였습니다. 중죄인일수록 조정으로부터 아주 언 제주도와 흑산도로 보내졌습니다. 멀리 보냈음으로써 조정일에 관여할 수 없도록 한 것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과거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소주를 제사상에서 쓰지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상님들의 상차림은 상다리가 긴 이유가 일반 밥상보다 좋은 음식을 올리기 때문이라고 봤습니다. 술은 그다지 좋은 음식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모든 음식을 상위에 올려놓지만 술은 미리 상위에 올리지 않습니다. 술을 따를 때는 석잔을 기본으로 하였습니다.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불립니다. 또한 술의 종류도 농사일을 할 때 마시는 농주 또는 곡식으로 만든 곡주입니다. 포도주 양주 소주 고량주 등과 같은 술은 아무리 좋은 술이라고 해도 제삿상에 올리지 않았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사우디가 후티반군을 제대로 진압못하고 전쟁에서 오히려 밀린모습을 보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맨과 사우디 아라비아 남아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조직인 후티반군은 자이드파(시아파) 율법의 정치강림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예맨 수도를 장악한 이후로는 자신들을 정규군(또는 예맨공화국)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예맨 정규군 출신들이 많이 있습니다. 예맨 내전에 개입한 아랍 연합군과 알카에다 IS를 위선자로 지칭합니다. 초대 지도자의 이름에서 유래한 후티라는 명칭이 널리 쓰이지만 자체적으로는 안사르알라로 칭하며 후시라고도 합니다. 이란의 지원을 받으며 반군답지 않게 강력한 무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우디에 대한 과감한 공한으로 대치하고 있습니다.
철학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무솔리니는 어떻게 해서 파시즘을 창시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솔리니는 국가주의 협동조합주의 생디칼리즘 팽창주의 사회진화론 반공주의와 같은 다양한 정치이념들을 조합하여 이탈리아 파시즘을 만들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의 부마는 일체의 정치활동을 할수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마는 천자의 딸과 결혼한 남자입니다. 즉 공주/옹주의 남편이자 임금의 사위입니다. 풀네임은 부마도위로 황제 행차 시 황제의 암살을 막기 위해 어느 마차에 탓는지를 알 수 없도록 동행하는 예비마차인 부거를 끄는 말인 부마를 관리하던 직책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왕의 사위인 만큼 그 대우가 각별하고 왕실에서 넉넉한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편히 살 수 있었으나 명예직 외에는 벼슬을 받지 못하고 외국의 사신으로 파견되는 등 실권 없는 얼굴 마담 역할만 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술잔을 서로 짠하는 문화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술을 마실 때 잔을 부딪히는 이유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서 술을 마실 때 독을 타는 경우가 있었기에 서로 술잔을 부딪혀 서로의 잔에 술이 옮겨가 독의 유무를 확인했다는 것과 술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악마가 도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술잔에는 악마의 기운이 서려 있다고 보고 잔을 부딪혀 소리를 내면 악마가 놀라 도망간다는 것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설날에 떡국을 먹으면 1살 먹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맑은 장국에 가래떡을 얇게 썰어넣고 끓인 음식입니다. 설날에 먹는 대표적인 계절음식입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언제부터 시작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동국세시기》《열양세시기》등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문헌에 정조차례와 세찬에 없어서는 안될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조선 후기 사람들은 떡국(병탕)을 몇 사발 먹었냐 하면서 자꾸 나이를 물었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떡국을 첨세병(나이를 더하는 떡)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0일 작성 됨
Q.
지금 주세기준이나 법은 일제강점기때 만들어진건데 왜 아직도 개정이 안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주세제도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이 개발도상국으로서 보호무역기조를 유지하던 시절의 잔재 중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