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비상장주식 사기사건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비상장 주식 관련 사기 사건이 많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정보 비대칭성비상장 기업의 정보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 기업 실상을 제대로 알기 어렵습니다. 이를 악용해 부풀린 정보를 유포하고 투자자를 현혹하기 쉽습니다.2. 규제 미비상장사에 비해 비상장사에 대한 정보 공시 의무나 회계 감사, 감독이 약합니다. 이를 틈타 부실이나 부정을 은폐하기 용이합니다. 3. 유동성 부족비상장 주식은 거래가 활발하지 않아 고평가 상태에서도 매도가 어렵습니다. 이에 부당하게 높은 가격에 팔리는 경우가 많습니다.4. 불공정 거래 가능성소수 지분 보유자에 대한 정보 제공이 부족해 내부자 거래나 시세 조작 등의 불공정 거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5. 환금성 및 투자 유인비상장 주식은 주가 상승 기대로 고액 프리미엄이 주어지는데, 이는 투자자의 환금성에 대한 갈망을 부추깁니다.요컨대 비상장사의 불투명성, 규제 미비, 유동성 부족으로 기회주의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유포하고 투자자들을 현혹하기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사기 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Q. 서브프라임의 발생배경과 원인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2007년 미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금융위기의 시작점이었습니다. 이 사태의 발생 배경과 원인, 그리고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발생 배경:1) 저금리 기조로 인한 모기지 대출 증가2)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3) 신용등급이 낮은 차주에게도 과도한 주택담보대출 허용주요 원인:1)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의 부실화-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의 대출 연체와 상환 불능 사태2) 과도한 증권화(securitization)- 부실 모기지 대출채권을 당시에는 AAA 등급 증권으로 포장하여 팔았음3) 금융기관의 모럴해저드와 과도한 레버리지- 단기적 수익 극대화를 위해 위험자산을 적정 수준 이상 확대주요 교훈:1) 과도한 증권화와 레버리지의 위험성 인식 필요2) 금융기관의 건전성 규제와 리스크 관리 강화 3) 대출 심사의 엄격성과 투명성 제고4) 부동산 가격 불안정성에 대한 정책적 대비5) 금융혁신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균형있게 인식할 것결과적으로 과도한 자산 증권화, 레버리지, 모럴해저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브프라임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금번 사례를 통해 금융시스템의 건전성과 위험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Q. 한국인 신용점수의 평균값은 몇 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용평가회사의 신용등급 점수 평균값은 다음과 같습니다.NICE평가정보의 신용점수 평균:- 670점 내외 (범위: 300~900점)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신용등급 평균: - 2등급 내외 (1~10등급 체계)SCI평가정보의 Credit Score 평균:- 680점 내외 (범위: 450~850점)전반적으로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의 신용점수 평균은 670~680점 수준입니다. 체계상 중간 수준의 점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다만 이 평균값은 금융거래가 있는 성인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신용무실적자나 신용거래가 없는 이들까지 포함하면 평균은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연령, 지역, 소득수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평균 신용점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신용점수가 낮을수록 금융거래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많은 이들이 평균 이상의 좋은 신용등급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