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Herstatt 리스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Herstatt 리스크란 외환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제 불이행 위험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차액결제 외환거래 시 한쪽 거래 당사자가 외화자금을 지급했지만, 상대방이 계약대로 원화를 지급하지 않아 손실이 발생하는 위험을 의미합니다.이 용어의 유래는 1974년 독일 헤어슈타트은행의 파산 사례에서 비롯됐습니다. 당시 헤어슈타트은행은 외국 거래은행으로부터 달러화는 받았지만 독일 마르크화 지급을 하지 못하고 파산했습니다. 이처럼 시차상 결제불일치로 인한 손실위험이 바로 Herstatt 리스크입니다.Herstatt 리스크는 외환거래의 결제리스크 중 대표적인 유형으로, 국가 간 시차나 휴일 등으로 인해 빈번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위험이 현실화되면 거래 당사자에게 큰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국가신인도 추락, 외환거래 마비 등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Herstatt 리스크 관리를 위해 CLS(지속적 연계 결제) 등 외환동시결제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은행과 기업이 적절한 Herstatt 리스크 관리체계를 갖추는 것도 중요한 이유입니다.
Q. GDP디플레이터란?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GDP 디플레이터(GDP Deflator)란 한 나라의 인플레이션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한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와 서비스의 전년도 대비 가격 변동분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GDP 디플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 / 실질 GDP) x 100여기서 명목 GDP는 당해연도 가격으로 평가된 생산액이고, 실질 GDP는 기준연도 가격으로 평가된 생산액입니다.GDP 디플레이터가 100보다 크면 전년 대비 물가가 상승했음을, 100보다 작으면 물가가 하락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GDP 디플레이터가 105라면 전년 대비 5%의 인플레이션이 있었다는 뜻입니다.GDP 디플레이터는 경제 전반의 인플레이션 수준을 나타내므로 가계나 기업의 구매력, 생활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구매력이 낮아지고 생활비도 많이 들게 됩니다. 반대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구매력은 높아지지만 경기가 위축되는 부작용도 있습니다.이에 따라 GDP 디플레이터는 중앙은행의 물가관리 정책, 금리 결정, 기업들의 가격전략 등에 활용되는 주요 지표입니다.
Q. 해외 주식을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해외 배당주 투자를 시작할 때 주의해야 할 주요 사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1. 세금 문제해외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원천징수세금이 부과되는데, 국가마다 세율이 다릅니다. 한국과 체결한 조세조약 여부에 따라 세금이 경감되기도 합니다. 사전에 세금 문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2. 환율 변동성 해외 투자 시에는 환율 변동에 따른 환위험이 있습니다. 원화 대비 투자 통화가치 변동이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기업 지배구조한국 기업과 다른 기업지배구조와 회계 관행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분석해야 합니다.4. 정보 비대칭현지 투자자들에 비해 기업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므로 정보 격차에 주의해야 합니다.5. 거래 시간/비용한국시간과의 시차, 거래 수수료, 송금 수수료 등 추가 비용 발생에 유의해야 합니다. 6. 투자 한도현행 법상 해외 직접투자 한도가 연 6만 달러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배당 성향과 안정성이 높은 대형 우량주 중심으로 투자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현지 전문가의 조언을 받거나, 해외주식 펀드에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