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계은행(IBRD)의 설립목적과 하는 역할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제부흥개발은행(IBRD,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은 세계은행 그룹의 핵심 기구 중 하나입니다.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합니다.1. 개발도상국에 대한 장기저리융자- 국가 인프라, 교육, 보건, 공공행정 등 분야에 자금을 지원하여 경제발전을 돕습니다.2. 민간투자 촉진 - 민간기업의 개발도상국 투자를 위한 보증과 위험 경감수단을 제공합니다.3. 정책자문 제공- 차관국가에 경제정책, 제도개선 등에 대한 자문을 제공합니다.4. 글로벌 의제에 대한 대응- 기후변화, 식량안보, 범지구적 감염병 등 글로벌 과제에 대응합니다.국제부흥개발은행은 1944년 브레턴우즈 체제 출범 시 설립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으로 파괴된 지역의 재건과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189개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는 다자간 개발기구입니다.
Q. 1998년에는 IMF 2008년에는 리먼브러더스 사태 2020년에는 코로나 … 경제 위기가 싸이클 같은 게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역사적으로 보면 10년 내외의 주기로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이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는 경제 순환 주기와 관련이 있습니다.경제는 호황-과열-위기-침체-회복의 순환 과정을 반복해 왔습니다. 호황기에는 과도한 투자와 신용 팽창이 있고, 이후 거품이 꺼지면서 금융위기나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10년 내외 주기로 경제 충격이 반복되어 온 것은 사실입니다.하지만 최근에는 경기 순환 주기가 예전만큼 뚜렷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지정학적 리스크 등 여러 복합 요인으로 경기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럼에도 경제 주체들이 번영과 과욕으로 순환하는 속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위험 요인을 계속 주시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