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경제 활동 인원 중에서, 기초수급자는 몇 명이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024년 4월 현재 정확한 통계는 갖고 있지 않지만, 2023년 8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기초생활수급자 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2023년 8월 기준 전국 기초생활수급자 수는 약 148만 명입니다. 이는 전체 인구 대비 약 2.9%에 해당합니다.기초생활보장 급여 수급자 가구는 약 89만 가구로, 이 중 - 일반수급가구가 약 68만 가구- 거주시설수급자가 약 21만 명 수준입니다.기초생활수급자에게 지급되는 생계급여 평균 급여 수준은 가구원수에 따라 다르지만, 4인 가구 기준 월 103만원 정도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실제 수급가구 소득인정액, 가구 특성 등에 따라 급여액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가 어려운 최저소득계층을 지원하는 공공부조제도입니다. 정부는 지속적인 복지재정 확대를 통해 이들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Q. 간밤에 미국 CPI지수가 높게 나온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이유로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쉽게 진정되지 않는 몇 가지 주요 원인이 있습니다.1. 강한 노동시장미국 고용시장이 견조하여 임금 상승압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임금 상승은 구매력을 높여 물가를 자극합니다.2. 공급망 병목현상 지속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계속되면서 상품 공급이 부족해 물가를 끌어올렸습니다.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너지, 식품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쳐 물가를 자극했습니다.4. 높은 기대인플레이션높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면서 기대인플레이션도 높아져 임금 및 가격인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5. 금리인상의 시차효과금리인상의 물가억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상당한 시차가 있습니다.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단기간에 금리인상만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쉽게 제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통화정책 외에도 공급망 개선, 재정정책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