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병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전문가입니다.
김병우 전문가
PwC컨설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취득세·등록세
2023년 11월 14일 작성 됨
Q.
고인이 된 장모님 집 두명에 딸이 공동명의 하려고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1억미만의 소형주택은 세금과 크게관련이없습니다.미래가치가있다고 보시되, 한 사람이 독식하지않도록 하려면 공동명의도 좋은방법일것같습니다
양도소득세
2023년 11월 14일 작성 됨
Q.
사업자등록전 매입세액공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사업자등록신청일 직전 20일에 대해서만 매입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사업개시일아님)20일 이내에 사업자 등록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법인세
2023년 11월 14일 작성 됨
Q.
법인과 개인사업자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법인사업자는 양도가 쉽고, 개인사업자는 양도가 어렵습니다.법인사업자는 법인세를 내고, (최고세율 23%) 개인사업자는 소득세를 냅니다. (최고세율 45%)법인사업자는 규모가 커지면 감사를 받아야합니다.법인사업자는 법인과 대표를 분리해서 계좌를관리해야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지역가입자에서 직장가입자로 전환된 후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해당 직원이 유일한 근로자였을까요?직원이 있는 대표의 경우 직장가입자가되고, 직원이 없는 대표의 경우 지역가입자가 되는 점을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1. 퇴사이후에 다시 직원이 없는 대표가되신다면 지역가입자가 됩니다.2. 지역가입자는 부동산, 소득, 차량을 모두 고려하여 산정합니다. 직장가입자는 소득만 고려합니다.(직장가입자는 통상 총급여의 7% 수준으로 납부합니다.)
종합부동산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재산세는 집 가격마다 많이 달라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재산세는 공시지가, 표준시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순하게 집가격이 오르면 재산세가 오른다고 알고계셔도 됩니다.1가구 1주택 9억 이하주택이라면 재산세율 인하 특례가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연 매출에 따라서 세금이 많이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세금을 크게 2가지 1) 소득세 2) 부가세로 나눌 수 있습니다.사업소득금액은 매출 - 필요경비입니다.이익분에 대해 과세하며, 매출 그 자체가 커진다고 해서 소득세가 커지는 것은 아닙니다.다만, 부가세는 매출의 10%이며, 고객에게 받아서 보관만 하였다가 국세청에 대납하는 것입니다.부가세는 매출과 직결됩니다
양도소득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아파트 2채 매도시 양도세 유의사항 문의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1. 알고계신것이맞습니다. 1월 1일~12월 31일을 1년으로 보고, 같은해에 팔면 합산과세합니다.2. 잔금일, 등기일, 실제거주일중 빠른날입니다
법인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법인 합병 시 적격합병의 조건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사업영위기간, 지분의연속성, 사업의계속성, 고용승계를 모두 충족하는 경우 적격합병으로 봅니다.적격합병은 지분의 처분으로 보지않고 장부가액으로 이전할 수 있게합니다.(비적격합병은 양도세를 과세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은퇴한 부모님 건강보험료 그리고 피부양자 자격 조건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재산과표가 5.4억원 이하인 경우 인정, 또는 재산과표가 5.4억원을 초과하면서 9억원 이하인 경우는 연간소득 1천만원 이하이면 인정소득 기준은 지난해 9월 소득 중심의 건보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을 하면서 더 엄격해져 이자·배당·사업·근로·공적연금 소득 등을 더한 연간 합산소득이 3천400만원 이하에서 2천만원 이하로 대폭 낮아졌다.반면 재산 기준은 기존대로 소득과 관계없이 재산과표(지방세 기준) 9억원을 초과하거나, 연 소득 1천만원이 넘고 재산과표 5억4천만원∼9억원에 해당하면 피부양자 자격을 상실하도록 뒀다.재산기준은 배우자 별도로 각각 계산합니다
종합소득세
2023년 11월 13일 작성 됨
Q.
국민연금 꼭 내야하나요? 안내면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국민얀금은 소득이있으면 반드시 내야합니다.국민연금을 납부하지않으면 미납기간으로 기록되며, 압류가 가능합니다소득에 비례해서 (9%) 납부하기때문에 소득을 줄이는 방법말고는 없습니다.
131
132
133
134
1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