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김수희 전문가
엘림실내악단
음악
음악 이미지
Q.  음악을 듣다보면감성에 젖어서 빠져드는데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전문적으로 작사 작곡을 하는것은 배워야 할 지식이 많아 어렵거나 오래 걸릴수 있으나 내 감정을 표현 해보기로 하는 작사는 시를 쓰듯 감정을 글로 나타 내 보고 그 글에 작곡 하듯 음율을 넣어 보면 어렵지 않을것 같아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별주부전에서 별주부는 어떤 관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별주부(鼈主簿)의 '별(鼈)'은 자라를 뜻하는 한자예요. 그리고 나머지 주부(主簿)란 글자는 조선시대의 관직이름으로써 종육품(從六品官)의 관직에서 벼슬을 하고 있는 사람을 통틀어 '주부'라고 하였답니다.'자라'주부 (=별주부)께서는 종육품이셨다니 그리 높지도 그리 낮지도 않은 벼슬을 하고 계셨던 셈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미국의 가장 존경받는 인물인 링컨은 기도실이 따로있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일정에 기도시간이 있었던게 아니라 항상 기도 했었습니다.링컨은 기도의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는 나라가 어려울 때 쉬지 않고 기도했다. 그는 자주 이렇게 말하곤 했다고한다.“내 지혜, 내 능력, 내 노력만 가지고는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그래서 나는 하느님의 도우심을 위해 기도한다.”이렇듯 하느님의 마음에 합한 대통령 링컨을 닮으려는 노력이 일어날 때 개인은 물론 교회와 가정, 사회가 변화된다고 믿는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럽에서 어떻게 흑사병을 치료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치료제는 많아요 흑사병이 세균성이라서 매우 잡기 쉽거든요그런데 그 당시에 흑사병이 없어진건 치료제가 개발되서가 아니고약한 사람들이 다 걸려 죽고 위에서 말한 것처럼 검역을 함으로써 없어진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노비의 종류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공공에 속해있으면 공노비고, 민간에 속해있으면 사노비입니다. 노비의 종류 솔거노비와 외거노비가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성균관 입학 자격은?
성균관 입학조건에서 생원과와 진사과 중 하나만 합격하면 되었습니다.성균관 유생이 되려면 적어도 생원과와 진사과인 소과 합격을 하거나 향교나 4부학당에서 최우수 학생으로 추천 받아야만 입학이 가능했습니다.오늘날로 치면 등록금이니 하는 거 모두 없이 성균관에서 수업받는 건 반촌에서 하숙생활 하지 않는 이상에야 모두 무료였고 성균관 유생만을 위한 과거 시험도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몽골 황제의 무덤은 왜 아무도 모르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도굴꾼들을 방지하기위해서입니다. 무덤을파고는 그 인부들을 모두 죽였다죠. 무덤을 찾지 못하게 하려고 몽골족들은 강의 물을 딴곳으로 돌려놓고 무덤을 판뒤 다시 강을 원상태로돌려놓았다고 합니다(무섭은넘들).게다가 땅을 편평하게 하기위해 말로 그곳을 짓(?)밟았죠..그래서전설이 되어버린겁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화폐 사용 이전에는 물건의 값을 어떤것으로 치루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예전 화폐가 없을때는 물물 교환도 했고 금과 은 철 귀금속 같은걸로 사용도 했다고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익룡이 공룡이 아니라니? 이게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익룡은 공룡이 아닙니다.익룡은 공룡으로 분류를 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용반류와 조반류만 공룡으로 분류하기 때문입니다.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출현하였고 쥐라기, 백악기에 번성하였다. 익룡은 몸집이 거대한 반면 뼈 속이 비어 있고 골질 속에서 공기주머니가 들어 있는 작은 공간이 있어서, 날 수 있을 만큼 몸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었다. 익룡이 하늘을 날 때는 글라이더처럼 바람을 이용해 활공하였다(최근에는 날개를 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설이 대두되고 있다). 몸집이 크고 꼬리를 가진 람포링쿠스류와 몸집이 작고 꼬리가 없는 프테로닥틸루스류의 두 무리가 있다. 하늘을 날다가 물 속에 뛰어 들어 물고기를 잡아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문학적 관점에서 결혼 반지를 ‘네번째 손가락’에 끼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네번째손가락은 반지를 끼는 손가락, 또는 일명 약지라고 부르는데, 네번째 손가락은 창조력을 지닌 손가락 입니다. 특히 왼손 약지는 모든 창조력을 받아 들일 수 있으며 사랑까지도 받아 들입니다. 그리고 이 약지는 당신의 심장에 직접 정신적 전파를 보낸다는 사실 때문에 약혼 반지나 결혼반지를 바로 여기에 끼는 것이죠.고대 희랍 문화에서 발전 되었다고 합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