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유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유식 전문가입니다.
김유식 전문가
김상영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2일 작성 됨
Q.
데파스정 수면제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데파스는 벤조디아제핀 계열로 장기 사용하게 되면 의존성과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른 계열 약물(트리티코 등)이나 호르몬제(써카딘)의 도움을 받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2일 작성 됨
Q.
당뇨망막병증 검사 꼭 받아야 하나요? 두려워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안저검사 시행하게 되며 통증이 있거나 오래 걸리지는 않습니다.(간단하게 눈 기계에 대고 사진찍는 느낌입니다) 당뇨가 잘 조절되고 있는지, 미세혈관 합병증은 얼마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므로 검사 하시길 권고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2일 작성 됨
Q.
식염수를 마시면 건강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정상인이라면 특별히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을 것 같습니다. 생리식염수 맛보시면 짠데 식염수만으로 수분을 섭취하면 오히려 고나트륨 혈증이 될 가능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전해질이 들어있지 않은 물도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이어서 이온음료나 식염수를 고집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감기 증상으로 이비인후과 방문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발열이 동반되고 노란 콧물이 지속적으로 나오거나, 발열이 동반되고 기침 없이 편도쪽이 아프다면 세균 감염 가능성이 높으니 항생제를 위해 병원 내원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일반 감기약으로 충분합니다. 38도 이상의 열이 지속적으로 날 경우, 증상이 심할 경우 다른 질환으로 분류해볼 필요 있겠습니다. 다른 질환들은 검사를 통해 소견으로 분류하는 만큼 병원 내원이 필요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폐소공포증이 있는데 MRI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Mri가 필요하다면 찍으셔야 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을 사전에 투여하고 진행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부위에 따라 호흡 협조가 필요 없다면 수면으로 진행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대체로 약을 사용하면 가능한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갑자기 심한 두통과 식은땀이 나는데 무슨 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심한 두통이 처음 생기셨다면 뇌 영상 검사를 통해 기질적 원인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고 기질적 원인이 배제되었다면 동반증상 평가를 통해 1차성 두통에서 분류를 나눠보게 될 것 같습니다. 발열이 동반된다면 감염도 배제해야 하고 뇌척수액 검사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훈련소 입소 전 파상풍 주사 맞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훈련소에 들어가면 단체 접종으로 접종합니다. 일반적인 예방접종 부작용(위약감 등) 생각하시면 될 것 같고 소아때 예방접종 모두 완료하시고 별 문제 없으셨다면 과민반응은 생기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파상풍은 면역이 생성되지 않고 독소에 의한 질환이라 10년 주기의 백신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요도구 염증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요도염, 방광염 증상이 지속되신다면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린 이후 항생제 드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고 요도구만 통증이 있으시다면 부드러운 천 등으로 자극을 줄여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방광염 예방은 피로를 줄이고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고 위생을 잘 지키는 것(아래에서 위로 닦기)이 도움이 됩니다. 위험한 성 접촉이 있었을 경우는 그 원인이 아닐지도 고려가 필요하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왜 밥을 먹고나면 대체로 힘이 나기보다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식사를 하고 나면 미주신경(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식곤증 증상이 생깁니다. 적절한 신체활동을 통해 교감신경을 자극해보심이 좋을 것 같고 지속되신다면 피검사를 통해 질환을 배제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1일 작성 됨
Q.
갑자기 위경련이 심해졌는데 어떤 증상들이 위험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유식 의사입니다.위경련이라는 의학적 진단명은 없고 보통 상기 증상은 위 점막 질환(위염, 위궤양 등), 담도계 질환, 장염으로 인한 폐쇄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후 불편감이 심하시다면 내시경과 복부초음파 권해드리고 싶고 배 따듯하게 유지하시면서 진경제 계열 약물 복용해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