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백신 6개월뒤에 다시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백신마다 차이가 있지만 현재 각종 국내외 연구에서 기본접종 완료 약 4~5개월 전후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 감소가 관찰된 것을 보고되었습니다.이 때문에 추가접종을 해야될 필요성을 느꼈고, 현재 떨어진 예방효과를 보강하고자 부스터샷을 진행중입니다.부스터샷 이후 항체가가 어떻게 형성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만약 이후에도 똑같이 몇개월 뒤 효과가 줄어든다면 독감처럼 주기적으로 접종해야 하는 상황이 올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현재 상황으로는 백신패스의 효력이 6개월이므로, 6개월에 한번씩 접종하게 되겠지만 앞으로 확진자 추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백신을 아직 안맞았는데 맞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맞는다고 100% 감염을 막아줄 수는 없습니다만 다만 접종을 안했을 경우보다 감염을 더욱 예방해주고 중증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맞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예상 가능한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mRNA 코로나 백신으로 사망하는 원인으로는 심근염, 심낭염이 대다수입니다. 백신 접종 후 국내에서 확인된 심근염과 심낭염 이상 반응은 163건이며 100만 명당 발생 빈도는 모더나 6.6건, 화이자 5.5건 등 0.001%에도 못 미칩니다. 반면 코로나 감염 환자는 4명 중 1명, 사망 환자는 절반 이상에게서 심근 손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이처럼 감염보다 접종 시 이득이 크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백신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Q. 코로나 2차까지는 접종했지만 부스터샷을 맞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국내 부스터샷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데이터가 많지 않지만,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추가접종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추가접종의 이상반응은 기본접종과 유사하고, 연령별 또는 백신 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접종 후 문자 전송을 통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결과, 3일차를 기준으로 기본접종보다 추가접종의 이상증상 응답률이 낮았습니다.2. 부스터샷 접종권고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각종 국내외 연구에서 기본접종 완료 약 4~5개월 전후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 감소가 관찰된 것을 보고되었습니다. (국내) 의료진 대상 결합항체, 중화항체 검사에서 4개월 이후 항체가 감소 관찰(Vaccines, ‘21) (미국, 독일 등 6개국) 화이자백신 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 효능 96.2% → 4~6개월 후 83.7%(medRxiv, ’21) 이스라엘의 연구에서는 추가접종 시 감염 예방효과가 11배, 위중증 예방효과가 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2. 기본접종 후 시간이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자, 추가접종, 즉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화이자백신 기본접종자 중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확진율 11.3배, 중증화율 19.5배 감소(NEJM, ’21), 기본접종 5개월 후 추가접종으로 입원예방 93%, 중증감염예방 92%, 사망예방 81% 효능이 확인 되었습니다.(Lancet, ‘21) 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Q. 백신 맞고 아파야 항체가 형성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 몸속으로 백신의 항원 성분이 들어와 면역세포(B세포, T세포)를 자극합니다. 자극받은 면역세포가 항체를 만드는 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항체가 몸속 어딘가에 숨어 있다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침입하면 이를 중화하게 됩니다.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사이토카인 등 각종 물질이 분비되는 걸 면역반응이라고 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발열과 몸살 같은 이상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이처럼 이론적으로 면역반응이 활발할수록 이상반응이 관찰되기 쉽지만 꼭 아파야 항체가 형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서울대병원 박완범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송경호 교수 공동 연구팀에 의하면 아스트라제네카 및 화이자 백신의 부작용과 항체 역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두 백신 모두에서 국소 또는 전신 부작용과 항체 형성은 뚜렷한 연관성이 없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즉, 백신 부작용 정도로 백신 효과를 짐작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