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전망은 어떤가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주요 기관들은 2025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대 후반에서 2%대 초반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물가상승률이 2024년보다는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는 공급측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되고,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측 물가 압력도 낮아질 것이라는 예상에 기반합니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확대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히 존재하며, 국제 유가 등 예상치 못한 외부 변수가 물가에 다시 영향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Q. 부동산 PF 부실이 금융위기로 이어질수도 있나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부동산 PF부실은 충분히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위험 요인입니다. 건설사나 시행사가 PF 대출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확산될 경우, 금융 시스템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연쇄적인 부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건설사나 시행사가 사업 부진으로 대출을 갚지 못하면, 해당 대출을 해준 금융기관의 부실 채권이 증가합니다. 부실 채권이 늘어나면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을 더 많이 쌓아야 하고, 이는 순이익 감소와 자본 건전성 악화로 이어집니다. 특히 저축은행이나 증권사처럼 PF 대출 비중이 높거나 고위험 PF에 많이 노출된 2금융권은 더욱 취약합니다. 일부 금융기관은 부실 규모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면 파산에 이를 수 있습니다. 과거 2011년 저축은행 사태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Q. 밈코인은 그만큼 유동성이 크다고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밈코인은 매우 큰 유동성을 가진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안정적인 자산과는 거리가 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밈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복잡한 기술적 기반이나 실제 활용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주로 인터넷 밈, 유명인의 언급, 커뮤니티의 유행 등에 기반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본질적인 가치 평가가 어렵습니다. 밈코인의 가격은 주로 소셜 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형성되는 '과대광고'와 투자자들의 투기적 수요에 의해 움직입니다. 특정 밈코인이 갑자기 유명해지거나, 유명인이 언급하면 가격이 폭등했다가, 관심이 식으면 급락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