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기가 어렵고 살기 힘들다고 하는데 해외여행은 많이 가는걸 어떻게 해석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중요한 해석 중 하나는 소득 양극화 심화입니다. 경기가 어렵다는 말은 전체 경제의 평균적인 상황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격차가 커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외여행은 여전히 일정 수준 이상의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계층에게 가능한 활동입니다. 경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해외여행을 갈 여력이 안 되거나, 아예 고려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반면, 소득 상위 계층은 경제적 어려움을 덜 느끼거나, 오히려 자산 가치 상승 등으로 인해 소비 여력이 더 커졌을 수도 있습니다. 소득 상위 계층의 소비가 전체 통계에 미치는 영향은 큽니다. 소수라도 해외여행을 많이 가는 사람들이 있다면, 전체 출국자 수는 증가할 수 있습니다.
Q. 미국이 AI에 대한 큰 투자를 할 계획이라던데 애플도 AI에 많은 투자를 한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애플은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투자를 공식적으로 여러 차례 발표했으며, 특히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AP 칩의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AI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인상은 애플이 '온디바이스 AI'에 초점을 맞추면서 비롯된 측면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대규모 언어 모델 경쟁이 치열해지는 동안, 애플은 개인 정보 보호와 기기 내 AI 처리 능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해왔습니다. 애플은 지난 2월, 향후 4년 동안 미국 내 AI 개발에 5천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국 내 제조 및 공급업체에 대한 지출, 서버 제조 시설 비용 등이 포함된 것으로,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AI 인프라 확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Q. 트럼프가 EU에 관세를 50% 6월1일부터 부과할 것을 제안했다는데 트럼프는 현재 유럽에 미국상품 관세를 몇% 목표로 하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EU에 대해 6월 1일부터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는 협상용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그이 발언에 따르면, 현재 진행 중인 EU와의 무역 협상에 아무런 진전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협상하려는 것이 아니고, 50%로 정한 것이라고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현재까지의 공개적인 발언을 종합해보면, 그는 유럽 지역에 미국 상품의 관세를 50%까지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협상을 위한 '카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부과할 의도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즉각적으로 금융 시장에 영향을 미쳐 뉴욕 증시의 하락과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화폐 시장의 조정을 불러왔습니다.
Q. 은행들의 스테이블 코인과 기존의 달러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은행 시스템의 규제 프레임워크 안에 놓이므로, 예금자 보호, 엄격한 준비금 관리, 자금세탁 방지 및 테러 자금 조달 방지 등의 규제를 받게 됩니다. 이는 현재 민간 스테이블코인이 직면하는 규제 불확실성과 투명성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하여 투자자들에게 훨씬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것입니다. 특히 은행 예금과 유사한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은 큰 강점입니다. 은행은 이미 수많은 기업과 개인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존 결제 시스템 및 인프라와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은행 발행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은행 계좌와의 연동, 송금, 결제 등이 훨씬 원활하게 이루어져 실물 경제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