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3월 14일 작성 됨
Q.
뇌의 활동이 뛰어난 인간외에도 동물들도 꿈을 꿀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인간외에도 강아지나 고양이같은 반려동물들도 꿈을꾼다고합니다.이들이 꿈을꿀때에는 마치 달리는듯한 반응이나 짖는듯한 행동반응들을 살펴볼수있고렘수면상태에서 뇌의 특정부위가 활성화돠는것을 관측할 수 있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뱀은 몸통 전체가 위라고 생각 하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뱀의 위는 종마다다르지만 대개 5~20%정도가 몸의 체적을 차지하고있습니다.그래서 몸통전체는아니고 일부분에 위가 자리잡고있으며 나머지는 장이나 기타 장기, 뼈와 근육등이 차지하고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플랑크톤은 작은물고기나 작은해양생물들의 먹이가되면서 먹이사슬의 가장 바닥면을 차지하고있습니다.또한 식물성플랑크톤의경우 광합성을하며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바닷물에 녹아들게만들며 대기중으로 산소를 내보내주는 역할을합니다.즉, 육지에서 식물과같은 다양한 동물들에게 먹이원도되고 산소를 제공해주는 비슷한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12일 작성 됨
Q.
뱀의 턱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길래, 자신의 입보다 큰 물질을 먹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먼저 뱀은 아래턱이 두개로나누어져있고 그사이 느슨한인대로 이어져있습니다. 그래서 입을크게벌리면 두 턱뼈가 멀어지게됩니다.또한 윗턱도 유동적이기 때문이기도합니다.그리고 네개의 움직이는 관절과 사분골이라는 특이한 뼈를 갖고있기때문에 위아래뿐아니라 좌우로도 크게 입을 벌릴 수 있는것이죠.
생물·생명
2025년 3월 11일 작성 됨
Q.
텔로미어 단축이 노화와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할때마다 점점 짧아지는 유전자의 한 부위입니다.일정길이 이하로 단축되면 세포가 그상태로 노화되어 결국 사멸에이릅니다.텔로머라제라는 효소가 텔로미어를 복구할 수 있다고는하지만,이 효소의 무분별한 활성화는 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킵니다.연구단계에서는 이런 텔로미어의 단축을 늦추기위한건강한 식습관과 항산화제, 스트레스관리등이 연구되고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11일 작성 됨
Q.
c3와 c4 식물의 차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C3식물은 CO2를 직접 캘빈회로에로 고정하지만, C4식물은 CO2를 말산과같은 형태로 저장한 후 캘빈회로로 전달하여 광합성의 효율을 높입니다.C3식물은 온화하고 습한환경에적합하고 C4식물은 건조하고 강한햇빛이 있는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11일 작성 됨
Q.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점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박테리아 또는 세균이라고 불리는 생물은 스스로 증식하고 살아있는 세포입니다.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없이는 증식할수없는 반은 비생명체인 개체입니다.구조차이가 분명한데, 박테리아는 세포막과 세포소기관을 가지고있지만,바이러스는 단백질껍질과 유전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양서류와 파충류는 포유류와 성장단계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양서류는 알에서 깨어난 뒤 유생(올챙이)의 시기를 거쳐서변태를통해 성체로 변신합니다.파충류는 대부분 알에서 깨어나면 바로 조그마한 성체와 유사하게자라고변태과정없이 성장하는특징이 있습니다.포유류는 어미의 자국에서 태반을통해 영양을 공급받아 태어나고,출생후에는 젖을먹으면서 성장합니다.또한 양서류는 물과 육지를 왔다갔다하면서 성장하지만파충류나 포유류는 대부분 육지에서 생활합니다.또한 포유류는 장기간 부모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강한성체로 성장하지만파충류와 양서류는 대부분 부화후에 스스로 생존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코끼리는 언제부터 몸이 커지고 그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코끼리는약 5500만년전에 작은크기의 동물이었지만,포식자로부터 방어하기위하여, 긴이동거리에 적응하기위하여,더 많은먹이를 소화하기위해서 몸집을 키워왔습니다.특히 자유로히 움직이는 코는높은곳의 식물까지도 먹을수있게 발달한 조직입니다.
생물·생명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코끼리가 덩치가 큼에도 암에 잘 안걸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코끼리는 TP53유전자를 가지고있는데 인간보다 20배 이상 많이있어서세포손상을 빠르게 봉구하고 암세포를 제거하는역할을합니다.또한 암세포가 발생하면 세포자살을 유도하기도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