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현재 비트코인을 비롯하여 코인 가격들이 하락하는데
맞습니다. 정부 당국의 국내 거래소 상장 600여개 코인에 대한 상장실질 심사를 통해서 소위 김치코인 상장 폐지 가능성과 해당 코인들 리스크 찌라시가 주초부터 돌면서 아하코인 등이 급락한 바가 있는데 루머이고 허위사실입니다. 사실 당국이 코인 시장의 상장 실질 심사나 상장 유지 조건 등에 대한 평가 잣대도 없고 당연히 경험도 없습니다. 현재 주력 거래소의 상장과 상장 유지 심사 노하우와 경험에 비할 바가 아니어서 향후 제도권 편입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으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코스피 최대지수는 몇이였죠?
코스피 지수의 역사적 고점은 지난 2021년 중반이었고 당시 6월 25일 3,316을 찍은 바가 있습니다. 현재 코스피 지수는 2,789 내외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옛날에는 주식 거래를 어떻게 했나요?
말씀대로 1980년도 코스피 지수를 산정하여 운영을 했고 과거에는 주권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이 지금처럼 활성화 되어 있지는 않았습니다. 1953년 대한증권협회가 최초로 현대적인 주식 거래 시스템을 구축했고 1956년 2월경 명동에 최초로 대한증권거래소가 셋업되어 3월초부터 본격적인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당시는 전산 시스템이 없었으니 당연히 증권거래소를 내방하여 사고 싶은 회사의 주식을 신청하고 대금을 납입 후 실물 증권을 받는 시스템이었습니다. 아래 당시 초기 거래소의 모습이었고 가끔 미국 뉴욕의 증권거래소도 다양한 전산 설비 시스템이 있는데 사람들이 모여서 증권 거래를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GDP대신 GNI를 보거나 수정 GNI의 지표는 어떤 부분을 보기위해 보는것인가요
GDP는 한 국가의 총생산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GNI는 국민 소득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즉, 1인당 GNI는 한 개인이 국내와 해외에서 벌어들인 총수입의 합을 의미해서 좀 더 국민 개개인의 소득 측정에 가까운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GDP는 단어가 품고 있는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부가가치의 합이라 소득 개념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GDP와 1인당 GDP가 높더라도 해당 GDP가 특정 기업이나 집단에서 대부분 도출된다면 국민 개개인이 부유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6월 19일 작성 됨
Q.
주식배당금은 해마다 바뀌는 건가요?
배당은 주식회사가 매분기 또는 연간 순이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것인데 해당 기업 실적이 매년 다를 수 있어 배당금은 매분기 또는 매년 다르며 배당을 아예 주지 않는 시기도 있을 수 있습니다.
666
667
668
669
6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