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최근 환율을 왜 이렇게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글로벌 경기침체와 美금리인상 추세가 美달러화 가치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경기침체 리스크가 커지면 주요 투자가들과 국가들은 기축통화인 美달러와 美달러 표시 자산에 대한 수요가 커집니다. 이 와중에 美달러와 이외의 통화 가치는 떨어지게 되는데 한국의 원화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자가들은 금리 인상과 원화환율 상승으로 매도 압박이 커지게 되고 외국인 투자가의 한국 원화 표시 자산 매각은 달러화에 대한 수요를 부르고 이는 원화 환율이 다시 오르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기존 매도 계획이 없던 투자가들도 앉아서 환차손을 입게 되어 매도 니즈가 커지게 됩니다. 또한 美달러 이외의 보조 기축통화 역할을 하고 있는 유로화와 엔화도 美달러화 대비 가치가 급락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美달러와 가치를 치솟게 하는데 이런 일련의 과정이 美달러 가치를 상승케 하고 있고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물가가 너무 내리면 왜 경제가 않좋아지는지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 국가의 경제가 성장한다는 것을 일정 범위의 물가상승을 수반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일본의 지난 1990년대부터 시작된 이른 바 "잃어버린 20년"의 기간 동안 일본은 저성장에 따른 디플레이션에 가까운 상황을 겪었습니다.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에서 전국민에 소비쿠폰을 배포해도 모두 저축하거나 소비를 뒤로 미루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이는 국민들이 미래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과 두려움으로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미루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입니다. 소비를 통한 시중의 돈이 돌지 않으면 경기가 냉각되고 이는 경기침체의 시작점이 됩니다. 수요가 부족하니 물가가 오를리 없고 기업들은 많은 공급을 위해 투자를 꺼리게 되어 일자리도 줄게 됩니다. 경제 전반의 활력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사회적 경제의 제대로된 뜻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회적 경제의 정의는 대략적으로 기존 자본주의 하의 시장경제의 폐해로 소득 불평등 심화 등을 보완하기 위해 소득 재분배, 경제 구성원들간의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요즘 ESG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 보셨을 듯합니다. 사회적 경제는 일반 사기업일지라도 회사가 속한 사회에 기여를 하면서 기업 활동을 영위 해야 회사의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를 제고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십 수 년 전에는 CSR(Company Social Responsibility)로 정의 되었고 근래에는 ESG(Enviornment, Social & Governance)로 확대 적용되며 기업 운영 뿐 아니라 투자의 기준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회사가 속한 지역사회와 국가의 범위를 넓혀 지구 환경과 기업의 지배구조까지 확대되는 규범과 규칙이 기업 운영에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취지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규모가 작은 돈으로 포트폴리오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자산 배분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는 게 포트폴리오 관리의 핵심입니다. 투자 규모에 관계 없이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실행하면 나중에 큰 자금에 대한 관리 노하우와 역량도 커지게 되니 작은 규모도 쪼개서 관리하실 것을 권합니다. 다만, 부동산 같은 경우 투자 단위가 투자 매물에 따라 매우 클 수 있어 여의치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리츠 같은 상품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만 투자 범위를 좁혀서 주식이나 가상화폐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되고 종목 구성 시 같은 산업이나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보다는 기술주+내수주 등으로 구성하는 게 포트폴리오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근래 자산시장 자체가 하락 추세라면 현금 보유를 늘리는 것도 투자이자 포트폴리오 관리에 속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장기CP와 회사채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P의 약자는 Company Paper입니다. 회사채를 의미하니 CP=회사채로 보셔도 됩니다. 미국에서는 Paper 대신 Bond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회사채는 2년 이하의 단기채(short-term paper or bond)와 5년 이상의 중장기채(mid&long-term)로 구분하여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채 금리가 채권의 보유 기간(duration)이 길어 리스크가 크다고 알려져 있어 단기채 보다 높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행동주의 헤지펀드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010년대 중반부터 부각된 행동주의(Activism) 펀드는 투자한 회사 경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최근 중요시 되고 있는 ESG 경영 등의 잣대도 고려하여 피투자 회사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력을 적극적으로 개입합니다. 회사입장에서는 경영간섭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 있으나 주주가치 제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기존 주주들의 환영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오직 회사 가치 제고에 집중하다 보니 과도한 경영 간섭과 자산 펀드의 이익에 치중 된 모습도 간혹 보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행동주의 펀드 운영자는 미국의 Pershing Square Capital Management의 창립자이자 CEO인 William Albert Ackman이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 FED 흔히 말하는 연준이 정확히 무엇을 하는 집단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美연준의 역할, 역사, 조직 구조 등은 아래 링크를 보시면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역할이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는데 미국이 경우 연방제라 각 주의 중앙은행 대표들이 모여서 금리와 주요 재정정책을 결정하는데 관련 회의를 美공개시장위원회(FOMC)라고 하며 1년에 6회 내외로 열리며 오는 9월에 모여 아마도 금리 인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금융 시장 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영향력이 매우 커서 관련 회의 결과와 회의록 등에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7%B0%EB%B0%A9%EC%A4%80%EB%B9%84%EC%A0%9C%EB%8F%84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어떤 영향이?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美달러 통화는 기축통화입니다. 현재 달러 가치 상승은 경기침체와 금리 인상에 따른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현상 심화에 기인합니다. 달러가치가 증가하면 우선 수입 물가가 올라갑니다. 특히, 요즘 같은 에너지발 인플레이션 하에서는 통화가치 하락이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금리인상에 따른 외국인 투자가 이탈로 주식 시장이 연일 하락하고 있는데 환율까지 지속 급락하게 되면 기존 외국인 투자가들이 앉아서 환차손을 보게 되고 매도 압박을 받고 실제 매도 시 주식 가격과 환율에 악순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경제 전체에 큰 부담이 될 수 있고 너무 과하게 환율이 상승하면 금융위기 가능성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물론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충분하여 걱정이 없으나 위험 국가의 국가 파산 위기 증가로 이 또한 한국 같은 선진국 문턱에 있는 국가들에도 악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 국채 금리와 경제의 연관성?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국채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국채금리 하락은 해당 국채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인 바, 근래 안전자산 선호 현상과 미달러 가치 상승은 미국채 가격의 상승을 불러 왔고 이는 반대급부로 글로벌 경제가 리스크 회피 등 투자에 인색하게 되며 유동성의 회전이 느려지는 경기침체를 의미합니다.장단기 국채 금리도 경기 상황에 대한 바로미터가 될 수 있는데 경기침체가 예상되면 안전한 장기국채 투자가 몰려 장기국채(10년물 이상) 금리가 하락하며 단기국채(2년물 이하) 금리가 더 커지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국채는 기간이 길어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금리가 단기 국채 금리보다 높은 게 일반적입니다.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1,350원을 넘나드는 원-달러 고환율이 우리 경제에 가져올 효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은 한국처럼 국제 교역에 있어 양날의 검입니다. 높은 환율(=평가절하, 가치하락)은 수출 경쟁력에는 도움이 되나 수입물가에는 유리하지 않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에너지 가격 중심의 인플레이션 하에서는 고환율은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아울러 근래 높은 환율로 인해 외국인 투자가들의 연쇄 이탈을 불러 환율을 더 올리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원화만 가치가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유로화, 엔화 모두 근래 10년 사이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미달러 가치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668678688698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