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사드 정상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난 2018년 사드 기지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은 중국 시장에서 강제로 축출 당했습니다. 해당 사건은 엄청난 파급 효과를 불러와서 주요 기업들의 탈중국 러시를 불러왔고 미중 경제 전쟁이 심화 되면서 중국 시장 진출 또한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때만큼은 아니나 금번 사드 정상화 소식은 다시금 중국과의 교역과 시장 진출 등에 있어 영향을 끼치겠으나 지난 2018년 학습 효과가 있어서 큰 임팩트는 없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앞서 말씀 드린 대로 미국과 중국은 패권 경쟁 중이고 양세력간 갈라치기 중입니다. 한국의 경우 미중 무역 비중이 매우 커서 큰 난제이자 도전입니다.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치고 일관된 스탠스가 필요할 때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미국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 시총이 삼성전자보다 높은 기업들이 많은데?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삼성전자가 한국증시가 아니라 미국 증시에 상장 되었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높은 기업가치를 가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각 주식 시장별로 미국 등 선진국 시장 대비 디스카운트가 있는데 한국 증시도 미국 증시 대비 20~30%의 디스카운트가 있다는데 정설입니다. 이는 각 국의 고유 리스크(한국의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 자본시장 선진화 정도 등이 디스카운트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 관련 질문)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상증자는 익히 아실 듯합니다. 자본 확충을 위해 기존 주주와 제3자 배정으로 주간사와 확정한 주당 가격으로 자본을 확충하는 행위입니다. 무상증자의 경우 증자를 하되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 주주들에 대한 배려와 주식 가치 제고 측면에서 무상증자를 진행합니다. 또한 기업 유보 이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당이 아닌 주식의 형태로 기존 주주에 나눠 주는 것도 일종의 무상증자의 한 형태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우크라이나와 우리나라의 경제 영향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경기침체 우려로 유가는 하락 추세입니다. 익히 뉴스 등을 통해서 들으셨겠지만 유류세 50% 인하를 단행했고 근래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평균 1,800원대로 내려왔습니다. 그럼에도 아직도 높은 수준임은 확실합니다. 물가지표 등은 지속 상승 추세인데 우리 경제 특성 상 수입 물가가 전반적인 물가에 영향을 많이 끼칩니다. 말씀하신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 침공, 미중 무역 전쟁이 아직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아 당분간 고물가는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수요 감소 등으로 물가는 점진적으로 안정 추세에 접어들 것 같습니다. 여러 모로 어렵지만 더 나빠지지는 않을 듯하니 잘 버티고 견디면 좋은 시기가 곧 올 듯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배당금 잘 받을 수 있는방법이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 배당은 배당 기일(배당락) 전에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에 가까울 수록 뉴스 등에서 배당 관련 주식이라고 거의 매년 언급을 하니 포털 등에서 찾아 보시면 됩니다. 한국가스공사, KT 등이 대표적인 실질 배당률이 높은 회사입니다. 이상 간략히 말씀 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금리가 오르면 는 어떤 섹터에 투자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 시기에는 주식, 가상화폐 등 위험자산 투자는 일반적으로 피하는 게 좋습니다. 대신 수익률이 높지는 않지만 예적금이 유리한데 사실 이 또한 만족할만한 수익률이 아닐 것 같습니다. 좀 막연하지만 수억원 이상의 큰 자본금을 가지고 투자 활동을 하는 게 아니면 개인이 접근하기 쉬운 섹터인 주식과 가상화폐 투자를 염두에 둔다면 현재는 wait & see 전략이 유효합니다. 가령, 9월 미FOMC의 금리인상 이후 주식이나 가상화폐 시장에 분할 매수로 진입하는 방안 등이 예가 될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심한 시장이라 선제적으로 들어갈 필요는 없다고 판단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시장은 언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초의 주식 거래는 17세기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식민지 개척을 위해 선박을 건조하고 구매하기 위해 발행한 것이 최초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영화에도 동인도 회사가 언급 되는 걸 가끔 보는데 '하오더씨'라는 백경 모티브 영화를 보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 공부의 기초를 어떤식으로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분야가 매우 범위가 넓고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막연하여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선 경제 분야 중에 어느 부분에 질문자님이 관심이 있고 공부하고 싶은지 범위를 좁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제 일반인지, 부동산이나 주식 같은 자산 시장인지, 회계와 재무 분야인지 택하시고 해당 분야의 기초 도서나 개론서를 사셔서 조금씩 공부하시고 관련 유투브나 무료강의를 찾아 들이실 것을 권합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경제 현상과 의사결정은 경제학에 기초하니 아래 쉽게 쓰여진 경제학 사상서도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아울러 경제지나 포털 경제 뉴스 등도 자주 보셔서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습관적으로 찾아 보시면 조금씩 이해가 되실 겁니다. 경제학 전공한 저도 다른 분야는 따로 공부를 해야 했고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던 점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경기침체 극복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경제 상황을 경기 침체로 판단하는 것도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지난 2~3년 동안 제로금리 수준의 유동성을 무한정 공급하여 점진적 금리 인상으로 유동성을 흡수하면 경기 연착륙을 주요국가들이 계획했을텐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중 무역 전쟁 지속 등의 악재 속에 현재와 같은 고물가와 경기 불확실성이 동시에 닥쳐버렸습니다. 다소 운이 없었습니다만, 선제적인 금리 인상 등으로 물가는 어느 정도 제어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경기 반등은 아마도 내년 상반기는 정도에 판가름이 날 듯합니다. 현재는 향후 경기 전망 하기가 매우 힘든 시기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 인플레이션은 진짜 고점 찍은걸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난 7월 미국의 물가지수가 8.5% 올라 예상치를 밑도는 수준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물가 상승의 정점에 이른 것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시장에서 이슈화 하며 미국 주식 시장은 전일 3대 지수가 모두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속단하기에는 이른 것이 휘발류 가격이 경기침체 등의 우려로 지난 달 대비 7.7% 하락한 영향이 컸고 식료품 가격은 10% 넘게 올랐습니다. 경기는 아마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쉽지 않을 듯합니다. 9월 중 한 번 더 미연준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고 4분기는 경제 상황에 따라 동결 또는 소폭 상승이 예상됩니다. 내년 경기는 그야말로 시계제로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미중 무역전쟁 심화 등의 불안 요소가 여전하여 해당 건들의 해결이나 완화가 확실해질 때까지 경기는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줄 것 같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682845?sid=104
8768778788798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